# 화장품에서 레올로지(유변학)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폴리머의 특성 파악부터 제형화까지 논문의 주요 목적은 레올로지(유변학)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폴리머 화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처방 개발자가 특히 레올로지 개질제(modifiers)와 관련해 제품 개발에 보다 효과적이고 과학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하기 쉬운 레올로지 기법을 통해 조사된 복잡한 폴리머 특성과 실제 파라미터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에 제시된 간소화된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점증과 구조화의 핵심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처방 개발자가 표준 기술 문서에서 제공하는 보다 기본적인 점도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 제품의 요구에 맞는 더 낮고 효과적인 농도로 레올로지 개질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림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주요 성분으로 사용해 재미있는 질감을 만드는 시중 제품들 이 연구에서는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Beheneth-25 Me
# 바스프, 지속가능한 처방 개발 - 포괄적접근법 지속가능한 소비문화의 확산은 퍼스널케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천연 성분, 생분해성, 미세 플라스틱 무첨가, 온실가스(Greenhouse Gas, GHG) 배출량 감소는 환경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주제이다. 동시에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에 성능은 타협하지 않는 제품을 기대한다. 이 3가지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BASF는 생태적 책임과 소비자 만족의 균형을 이루는 포괄적인 처방 개발 전략을 개발해 브랜드가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BASF의 포괄적인 처방 개발 전략은 화장품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성능, 지속가능성, 경제성 간의 시너지 효과를 탐구한다. 이 접근 방식은 전체 처방 개발을 최적화함으로써 이 3가지 측면 간의 이상적인 균형을 찾는 데 있어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경제성 – 2024년 소비자들은 뷰티와 퍼스널케어 제품 구매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점점 더 많이 채택하고 있다. 여기에는 할인과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찾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할인 혜택을 검색해 과대 평가된 제품을 밝히는 ‘디인플루언서(deinfluencers)’를 팔로우하는 것이
# 향료의 안전한 사용 : 향료 업계가 책임감 있고 자발적으로 스스로규제하는 방법 향기는 매일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조용한 조력자이다. 아침의 첫 순간부터 편안한 저녁의 의식에 이르기까지 향기는 우리의 웰빙과 기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상쾌한 샤워 젤로 샤워를 시작하면 새로운 하루를 상쾌하고 긍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샤워 젤의 상쾌한 향은 상쾌한 느낌을 주며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갓 세탁한 빨래 냄새는 청결함과 안정감을 떠올리게 하고 갓 구운 빵과 향긋한 커피 향은 오감을 자극해 집처럼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등 하루 종일 향기는 모든 곳에서 우리와 함께 한다. 이러한 향기는 종종 아늑한 가족과의 순간, 특별한 축하 행사 또는 평온한 어린 시절의 추억과 관련이 있다. 좋은 향수는 자신감을 높여주고 특별한 저녁 행사를 위한 카리스마를 강조할 수 있다. 동시에 뜨거운 목욕에 에센셜 오일을 첨가한 향기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좋은 방법이다. 평화의 오아시스를 만들어 일상을 진정시키고 감각을 진정시켜 준다. 일상의 고단함을 잊고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곳이다. 향기의
# 웰빙 & 뷰티: 감정 표현과 특성화 아름다움과 웰빙의 연관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소비자들은 외모만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 웰빙에도 기여하는 제품을 점점 더 많이 찾고 있다.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피부와 뇌는 동일한 발생학적 기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 뇌 사이의 강력한 연관성이 확인됐다. 이러한 상호 연관성은 피부의 불편함이 전반적인 웰빙에 큰 영향을 미치고 때로는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반대로 심리적 고통은 피부 항상성을 방해하는 스트레스 매개체를 생성해 피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장품은 피부뿐만 아니라 감정과 전반적인 웰빙에도 영향을 미친다. 감정은 복잡한 과정으로 직접 평가하기 어렵다. 현재 감정을 직접 평가할 수 있는 기기는 없기 때문에 정서적, 생리적, 표현적 차원 등 다양한 감정 요소를 고려하는 객관적인 분석 방법이 개발됐다. 감정을 특징짓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핵심 요소가 있다. 인지적 또는 주관적 요소 : 검증된 설문지, 리커트형 척도(Likert- type scales), 신경인지 테스트, 암묵적 연관성, 자유로운 표현 구조를 위한 텍스트 마이닝(text
# 샤워 거품의 양: 다양한 관능 패널 평가와 표준화된 기기 측정의 상관 관계 샤워 거품의 양은 피부 클렌징 제품에서 중요한 속성이며 긍정적인 제품 성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감각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이를 평가하는 것은 퍼스널케어 제품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능 평가 결과(전문가와 일반인 패널)와 도구적 분석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질감과 계면활성제 구성이 달라 거품 특성에 차이가 있는 시판 샤워 제품 5종을 테스트했다. 일반인과 다양한 전문가 패널의 주관적 결과를 다원적 접근 방식으로 표준화된 기기 측정값과 비교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거품이 약한 제품의 경우 상관관계가 낮거나 명확하게 식별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러나 거품이 강한 제형은 다양한 테스트 접근 방식과 테스트 센터 간에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해당 제품에 대한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감각적인 요소는 화장품 제품의 소비자 수용, 사용 경험, 그리고 궁극적으로 판매 가능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바디 워시나 샤워 제품에서 풍성한 거품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특징이며 제품의 성능
# 화장품 품질 시스템에서의 미생물학적 위험 관리 화장품의 미생물학적 품질에 대한 요건은 유럽연합 화장품 규정(EC Cosmetics Regulation)에 명시돼 있으며 안전성 평가에서도 검토된다. 미생물학적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요구사항은 제품 개발과 제조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달성돼야 하며 이는 미생물학적 품질 관리(Microbial Quality Management, MQM)의 적용을 통해 지켜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품질 관리 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QMS)에서 그렇듯이 위험 관리는 MQM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위험 관리는 위험 감지와 분석, 위험 평가, 대응 조치와 후속 활동의 3가지 절차적 단계로 구성된다. 이는 미생물학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절차, 조치, 규격을 정의하는 단계에서부터 적용돼야 하지만 이러한 활동을 실행하고 마지막으로 제품과 사용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미생물 오염이 감지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글에서는 위험 관리의 작업 단계와 MQM 내에서의 작업 단계 할당에 관해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그림1 위험 관리의 작업 단계 미생물학적 위험은 화장품의 제품 안전성과 관련이…
# 자외선에 의한 급성 광 손상 후 피부 회복에 T-EGF의 적용 경피 표피 성장 인자(transdermal epidermal growth factor, T-EGF)는 손상된 피부에 탁월한 회복 효과를 보이며 스킨케어 제품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햇빛에 노출되는 자외선은 다양한 유형의 피부 손상을 유발한다. 우리는 10mg/kg의 T-EGF를 함유한 애프터 선 리페어 젤을 설계하고 급성 광 손상 피부에 대한 T-EGF의 임상적 진정과 회복 효과를 체계적으로 조사했다. 그림1 TiVi 700 이미지 3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등 비노출 부위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 발적 모델을 구축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T-EGF 젤 도포 전과 후의 조직 생존력(tissue viability, TiVi) 이미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평균 TiVi 지수 값을 도출했다. 또한 T-EGF 젤 사용 전후의 피부 홍반 지수(erythema index, EI)와 피부색 a* 값을 측정했다. 그 결과, T-EGF 젤은 급성 광 손상으로 인한 피부 붉은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EGF의 피부 회복 능력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심화됨에 따라…
# 자외선 차단제 솔루션 : 필름 형성 왁스로 피부 보호와 내수성 향상 자외선 차단 제품은 유해한 자외선(UV)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필터에 의존하며 그 효과는 자외선 차단지수(SPF)로 측정된다. 자외선 산란 입자, 필름 형성제, 점증제 등의 제형(formulation) 첨가제는 SPF를 높이고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공 스타이렌 아크릴 공중합체 입자와 Triacontanyl Polyvinylpyrrolidone(PVP) 같은 합성 물질은 자외선 필터 또는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류 또는 합성의 특성으로 인해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생 가능한 원료를 기반으로 한 필름 형성제가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 천연 왁스는 재결정화 등 제형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형성 왁스이며 RSPO 인증 팜커넬오일(palm kernel oil)인 다이코코일펜타에리스리틸다이스테아릴시트레이트(Dicocoyl Pentaerythrityl Distearyl Citrate)를 소개한다. 그림1 편광…
# 웰-에이징위한 체내 자가-하이알루로닉애씨드보호하는 후성유전학적 접근 하이알루로닉애씨드(HA)는진피의 세포외 기질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이며 분해되면 피부 처짐과 주름을 포함한 피부 노화를 일으킨다. 하이알루로니다아제 효소들 외에도 HYBID(Hyaluronan-Binding protein Involved in hyaluronan Depolymerization, 히알루로난 분해에 관여하는 히알루로난 결합 단백질)이 진피 내 HA 분해를 담당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HYBID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HA 분해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 식물 유래 소재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섬유아세포에서 HYBID와 miR-486-5p의 발현을 PCR로 측정했다. HA 분자 크기 분포는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안산염) 표지한 대형 HA(1,200-1,600 kDa)를 섬유아세포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 내 다양한 크기의 FITC 표지 HA를 HPLC로 측정해 HA의 분자 크기 분포를 평가했다. 사철쑥꽃추출물(Artemisia capillaris flower extract,
# 획기적인 건조 필름 기술에 의한 천연 활성 성분의 생체 이용률 최적화 SILAB은 40년 동안 전 세계 화장품과 더마 화장품 시장을 대상으로 효능이 입증된 특허 받은 정제된 천연 활성 성분을 개발, 제조, 소구해 왔다. 천연 활성 성분의 생체 이용률을 최적화하기 위해 활성 성분이 고농축된 천연 생분해성 건조 필름으로 구성된 획기적인 기술인 SILAFILM®을 개발했다. 물과 접촉하면 활성화되는 이 기능성 지지체(support)는 피부 깊숙이 활성 분자를 빠르고 강력하게 방출한다. 이 새로운 기술을 통해 우리는 지금까지 액체 또는 무방부제 분말 형태로만 제공되던 천연 활성 성분의 새로운 형태로 제품을 확장했다. SILAB은 생체 중합(biopolymerization)에 대한 전문 지식을 활용해 새롭고 향상된 생체 이용률을 가진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SILAFILM®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피부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얇은 건조 필름을 생성해 활성 성분의 진정한 저장고 역할을 한다. 천연, 무방부제, 생분해성인 이 제품은 현재 소비자들의 관심사인 성능과 자연성을 겸비한 퍼스널 케어에 대한 요구에 부응한다. 그림1 특허 기술 개발의 주요 단계 감각성,…
# 메이크업 리무버 포뮬레이션을 위한 새롭고 안전한 성능 향상제 최적의 미셀라 워터(micella water) 또는 클렌저(cleanser)를 찾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클렌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유도체와 폴리글리세롤(PG)은 안구 자극, 알레르기 반응, 피부 장벽 파괴와 같은 부작용이 자주 발생하며 충분한 세정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양쪽성 이량체 계면활성제인 Dimereco ZL10(INCI Bis-(Methylene Lauramidopropyl Betaine) Hexamethylenediamide)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혁신적이고 특허 출원 중인 기술 플랫폼이다. 독특한 화학 구조로 인해 낮은 농도에서도 클렌징 성능이 향상돼 자극을 최소화하는 보다 효과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제형을 만들 수 있다. 또다기능적인 특성 덕분에 효율적인 유화와 습윤이 필요한 다양한 제형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리무버 제품의 세정 효율을 포함해 양쪽성 이량체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조사했다. 미셀라 워터와 메이크업 리무버 크림의 모델 포뮬러를 제시해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롱래스팅
# 악취를 방지하는 좋은 선택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분야는 분자 염기서열 분석의 발전으로 혁명을 일으켜 미생물 군집이 인체 피부 상태에 미치는 중요한 역할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켰다. 체취 예방 분야에서 겨드랑이 마이크로바이옴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으로 인해 미생물의 보호 기능을 존중하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대 과학은 여러 작용 메커니즘을 통합해 악취를 제어하는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에보닉(Evonik)은 응용 기술, 화학, 미생물와 분자 생물학의 첨단 방법을 도입하고 결합해 ▲미생물 ▲미생물의 신진대사 ▲인체 ▲감각 지각을 통합함으로써 현대적인 제품 개발을 할 수 있게 됐다. 체취는 성별, 연령, 인종, 건강, 감정 상태, 라이프스타일, 유전적 요인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Di Cicco 등, 2023] 원래 무취인 땀에서 인체의 피부 박테리아의 대사 활동에 의해 생성된다[Shelley 등, 1953]. 분자 시퀀싱 기술의 엄청난 발전은 인체 겨드랑이 마이크로바이옴과 그 기능과 체취 기여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마이크로바이옴 중심의 악취 예방 시장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겨드랑이 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