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마은재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5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올해로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스페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5월호 테마기획은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OEM ODM 관련 105개 업체의 지난해 경영 실적을 분석했다. 국내 화장품 OEM ODM 관련 105개 업체의 전체 매출액은 10조 758억 원으로 전년 8조 5,144억 원과 비교해 18.3% 증
[코스인코리아닷컴 마은재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4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올해로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스페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4월호 테마기획은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공개기업 76개사의 2024년 경영실적을 집계, 분석했다. 전체 매출액은 33조 5,776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8.8% 늘어난 규모다. 영업이익은 2조 3,060억 원으로 1년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3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올해로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스페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3월호는 테마기획으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를 기준으로 화장품 OEM ODM 업계 최근 3년간 경영실적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108개 화장품 OEM ODM 업체를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동안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3년 매
# 물속에서 폴리머 형태를 특성화하는 고급 분석 기법 마이크로 플라스틱과 나노 플라스틱에 대한 정의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지만 입자와 용액 사이의 단단하거나 잘 구분된 계면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용액에 용해된 단일 분자와 구별된다. 그러나 나노 규모에서 이러한 차이를 감지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산란 기법을 사용해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의 거동을 나노 크기의 폴리스타이렌 비드와 비교했다. 동적 광 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과 소각 X선 산란(SAXS, Small Angle X-Ray Scattering)을 통해 수용성 폴리머와 분산된 나노 플라스틱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했다. 수용성 폴리머와 불용성 폴리스타이렌의 나노 스케일에서 서로 다른 산란 프로파일을 볼 수 있었다. PVA 18-88(용해성 필름형 세제에 사용)과 PEG 8000은 단일 분자로 용해되어 임의의 코일 형태를 나타냈다. 그들은 시간이 지나도 응집되지 않았다. 나노 폴리스타이렌 비드는 딱딱한 입자 특성을 보였다. 원자력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
#AI 기술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한 흡수도 연구 :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 향상 라만 분광법은 비침습적이고 정밀한 물질 분석이 가능해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데이터 해석과 신호 노이즈로 인해 흡수도 측정의 정밀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최근 AI 기술이 도입되면서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라만 분광기의 흡수도 분석에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기술을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해 피부 흡수도를 분석하고 육안 평가의 주관성을 개선하며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한다. 연구는 AI 기반 시각화와 정량화를 통해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며 피부 흡수도 데이터 분석의 효율을 높이고 객관성과 정확성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뒀다. 연구 대상자의 자료 수집을 위한 Nanofinder Fel xG 라만 분광기 최근 피부임상연구센터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연구소는 연구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선진임상연구센터는 2024년 6월 개소해 연구 결과의
# 화장품에서 레올로지(유변학)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폴리머의 특성 파악부터 제형화까지 논문의 주요 목적은 레올로지(유변학)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폴리머 화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처방 개발자가 특히 레올로지 개질제(modifiers)와 관련해 제품 개발에 보다 효과적이고 과학에 기반한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하기 쉬운 레올로지 기법을 통해 조사된 복잡한 폴리머 특성과 실제 파라미터 간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다. 여기에 제시된 간소화된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품의 점증과 구조화의 핵심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처방 개발자가 표준 기술 문서에서 제공하는 보다 기본적인 점도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특정 제품의 요구에 맞는 더 낮고 효과적인 농도로 레올로지 개질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림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주요 성분으로 사용해 재미있는 질감을 만드는 시중 제품들 이 연구에서는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Beheneth-25 Me
# 바스프, 지속가능한 처방 개발 - 포괄적접근법 지속가능한 소비문화의 확산은 퍼스널케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천연 성분, 생분해성, 미세 플라스틱 무첨가, 온실가스(Greenhouse Gas, GHG) 배출량 감소는 환경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주제이다. 동시에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에 성능은 타협하지 않는 제품을 기대한다. 이 3가지 요구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BASF는 생태적 책임과 소비자 만족의 균형을 이루는 포괄적인 처방 개발 전략을 개발해 브랜드가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BASF의 포괄적인 처방 개발 전략은 화장품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성능, 지속가능성, 경제성 간의 시너지 효과를 탐구한다. 이 접근 방식은 전체 처방 개발을 최적화함으로써 이 3가지 측면 간의 이상적인 균형을 찾는 데 있어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경제성 – 2024년 소비자들은 뷰티와 퍼스널케어 제품 구매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점점 더 많이 채택하고 있다. 여기에는 할인과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찾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할인 혜택을 검색해 과대 평가된 제품을 밝히는 ‘디인플루언서(deinfluencers)’를 팔로우하는 것이
# 향료의 안전한 사용 : 향료 업계가 책임감 있고 자발적으로 스스로규제하는 방법 향기는 매일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삶을 풍요롭게 해주는 조용한 조력자이다. 아침의 첫 순간부터 편안한 저녁의 의식에 이르기까지 향기는 우리의 웰빙과 기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상쾌한 샤워 젤로 샤워를 시작하면 새로운 하루를 상쾌하고 긍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샤워 젤의 상쾌한 향은 상쾌한 느낌을 주며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갓 세탁한 빨래 냄새는 청결함과 안정감을 떠올리게 하고 갓 구운 빵과 향긋한 커피 향은 오감을 자극해 집처럼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등 하루 종일 향기는 모든 곳에서 우리와 함께 한다. 이러한 향기는 종종 아늑한 가족과의 순간, 특별한 축하 행사 또는 평온한 어린 시절의 추억과 관련이 있다. 좋은 향수는 자신감을 높여주고 특별한 저녁 행사를 위한 카리스마를 강조할 수 있다. 동시에 뜨거운 목욕에 에센셜 오일을 첨가한 향기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는 좋은 방법이다. 평화의 오아시스를 만들어 일상을 진정시키고 감각을 진정시켜 준다. 일상의 고단함을 잊고 오감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곳이다. 향기의
# 여름 피부, 식물로 리셋하다 - 싱아(Koenigia alpina)의 스킨 리커버리 솔루션 여름철 강한 자외선과 높은 기온은 피부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자외선(UV)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를 넘어 진피층까지 침투해 피부 장벽을 손상시키고 과도한 활성산소(ROS)를 생성함으로써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는 피부 세포 내 단백질, 지질, DNA 등의 구조를 변형시키며 만성 염증 반응을 일으켜 피부 노화를 촉진하고 다양한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된다. 또강한 햇빛 노출은 멜라닌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색소 침착, 기미, 주근깨 등의 과색소침착 문제를 초래하며 장기적으로는 광노화(photoaging)와 피부암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따라서 피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손상된 피부의 회복을 도울 수 있는 기능성 원료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림1λ = 365nm에서 측정한 K. alpina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HPLC 크로마토그램 이러한 배경 속에서 최근 피부과학과 화장품 연구 분야에서는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효능이 입증된 천연 유래 소재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
# 람부탄 껍질의 힘 : 민감성 피부를 위한 자극 완화 솔루션 화장품 산업에서의 천연, 지속가능한 성분에 대한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민감성 피부를 가진 소비자에게 이러한 변화는 매우 중요하다. 민감성 피부는 다양한 자극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피부로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의 약 60~70%, 남성의 50~60%가 스스로를 민감성 피부라고 일컫고 있다. 민감성 피부는 화장품 성분, 환경적 요인, 물리적 스트레스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레티놀은 주름개선 효과로 잘 알려져 있지만 홍반, 장벽 손상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자외선(UV)이나 계면활성제(SLS) 등은 피부 민감성을 악화시켜 불편함과 피부 건강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극원에 대한 자극 완화 효능을 나타내는 천연 추출물을 발굴하고자 했다. 동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과일인 람부탄(Nephelium lappaceum)의 껍질에는 geraniin, corilagin, ellagic acid, gallic acid와 같은 엘라지탄닌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어 우수한 자극 완화 효능을 나타낼 수
# Vegan PDRN series : 동물성 PDRN 대체 Vegan PDRN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Poly Deoxy Ribo Nucleotide)은 보통 연어나 송어 등의 정액과 정소에서 추출해 얻게 되는데 이는 한정된 자원의 소모가 크다. 화장품 업계 트렌드에 따라 소비자들은 비건 뷰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모아캠은동물성 PDRN을 대체할 수 있으며 비건 뷰티에 부합하는 PDRN을 제안하기 위해식물에서 추출한 Vegan PDRN을 개발했다. 모아캠의 추출 기술로 정제된 Vegan PDRN을 얻어 효능 스크리닝을 진행했을 때 Ginseng PDRN과 Rice PDRN에서 미백(멜라닌 생합성 저해능), 항산화(DPPH 라디칼 소거능, ROS 생성 저해능) 효능이 확인됐다. Salmon PDRN은 다양한 성장인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재생 촉진과 탄력을 주는 원료다. Rose PDRN, Aloe PDRN, Centella PDRN과 비교했을 때 동일 농도 조건에서 Rose PDRN은 항산화(ROS 생성 저해능), Aloe PDRN은 항염(IL-6), Centella PDRN은 미백(멜라닌 생합성 저해능), 항노화(MMP-1
#피부장벽 개선과 항염 효과탁월한 소나무잎 유래 피토-세라마이드(GWSS Pine Tri-mide)연구 각질층에서 발견되는 총 지질의 40% 이상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는 피부 탄력과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장품 성분으로서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잎에서 추출한 식물성 세라마이드를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GWSS Pine Tri-mide는 소나무잎을 침유한 오일에서 특수 발효법을 통해 얻는다. 소나무잎 오일과 스핑고신을 반응시켜 소나무 유래 세라마이드 NP와 피토-세라마이드(GWSS Pine Tri-mide)를 수득한다. 상업용 세라마이드 NP와 비교해 GWSS Pine Tri-mide는 농도 의존적으로 IL-1β와 NO 생성의 발현 수준을 낮춰 우수한 항염 활성을 보였다. 또두 가지 세포주에 대해서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GWSS Pine Tri-mide를 함유한 제형으로 인체 임상 시험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에게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피부 수분 손실을 막고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Pinus densiflora 유래의
# 라만 분광기이용한 세라마이드피부 흡수 효과 배경 : 세라마이드는 피부 지질 성분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필수 표피 성분이다. 세라마이드는 뛰어난 보습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많은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세라마이드의 유익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세라마이드의 피부 흡수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라마이드가 피부 흡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라만 분광기를 이용해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과정 : 건성 피부를 가진 건강한 한국인 성인 남녀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시험군들은 시험 참여 24시간 전부터 시험 부위에 어떠한 화장품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임상센터에 방문해 항온 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 후 측정이 진행됐다. 연구 제품은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뉘며 시험군에는 세라마이드가 5000ppm 포함됐고 대조군에는 세라마이드가 포함되지 않았다. 나머지 성분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됐다. 시험 부위는 연구대상자의 양쪽 하박에 진행됐다. 결과 : 라만 분광기를 이용해 피부 흡수도 측정을 진행한 결과 각각의 제품 도포 30분후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피부 흡수량, 피부 흡수 깊이, 피부 흡수 속도가 통계적으
#모공 케어위한 피부 재생과 노화 방지에 탁월한 천연 단백질 기반 성분RejuviPoreZyme의 개발 사람의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3개의 층으로 구분돼 있다. 이 중 표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각질 형성 세포는 피부 재생과 상처 치유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표피층 아래에 위치한 진피층은 섬유아세포와 collgen, elastin, glycan과 같은 세포외기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 층으로 구성된 피부는 체내와 체외 환경을 분리해 주는 효과적인 장벽으로 기온과 습도의 변화로부터 유체가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며 물리, 화학, 생물학적인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으므로 손상된 피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회복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피부가 손상되거나 노화가 진행되는 원인은 자연 노화인 내인성 노화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 UV, 생활 패턴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이때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은 피부세포에 단백질, DNA 등의 물질과 반응해 콜라겐 결합 조직의 형성을 파괴하고 피부
[코스인코리아닷컴 한지원 기자] 오랄케어, 화장품 ODM OEM 전문기업 케이엠제약(주)이 기존 발포정 형태의 의치(틀니) 세정제에서 사용성을 대폭 개선한 거품 타입 의치와 치아교정기용 세정제를 개발해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이번에 개발된 거품 타입 세정제는 액상 제형을 버블 용기를 통해 거품 형태로 토출하는 방식으로편의성과 휴대성이 뛰어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풍부한 거품이 의치나 치아교정기의 표면을 부드럽게 감싸면서 음식물 찌꺼기, 얼룩, 플라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정종윤 케이엠제약(주)R&D센터장은 “이번 제품은 천연 유래 효소 성분인 파파인을 활용해 강력한 세정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자일리톨, 녹차추출물, 병풀추출물 등 자연 유래 성분을 조화롭게 배합해 세정력과 안전성, 기분 좋은 향과 사용감까지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품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의치 세정제가 주로 고령층 틀니 사용자에 한정되어 사용되어 왔던 반면, 이번 제품은 치아교정기 착용자까지 사용 가능하도록 적용 범위를 확장한 것이 큰 특징이다”며, “의치 사용자뿐아니라 치아교정기를 사용하는 청소년에게도 유용한 솔루션으로기능성과 사용자 중심 설계 면에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1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11월 공개된 화장품 분야의 특허 건수는 총 140건으로 전월의 159건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이 가운데 국내 기업이 47건(33%)을 공개했는데 전월의 76건(48%)에 비해 비율은 감소했다. 반면, 해외 기업이 공개한 특허는 57건으로 41%를 차지해 전월의 26%를 크게 넘어섰으며 국내 기업의 공개건수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개인이 15건(11%), 대학 산학협력단 12건(9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9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9월 공개된 화장품 분야의 특허 건수는 총 134건으로 전월의 201건에 비해 60여 건 이상 감소했다. 해외 기업은 35건을 공개해 전월의 46건에 비해 감소했으나 비율은 26%로서 전월의 23%와 비슷했다. 또국내 기업은 42건(31%)을 공개해 전월의 73건(36%)에 비해 많이 감소했으나 국공립기관, 법인은 13건(10%)으로 전월의 8건(4%)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 한편, 대학 산학협
#구멍갈파래 효소가수분해물 유래 펩타이드피부건강 기능성연구 인체는 정상적 기능을 방해하는 외부 독성 물질들에 일정하게 노출돼 만성 질환들을 방지하는 건강-증진제의 광범위한 사용을 유발하는 심각한 건강상태와 질병을 일으킨다. 최근 항암, 진통효능, 항염. 혈압 조절, 항균효과와 장기능의 강화처럼 다양한 건강증진 혜택을 제공하는 생물활성 펩타이드들의 구조, 조성과 서열 특성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합성제품인 경우는 약물에 기인하는 신장독성, 신경독성, 심장독성과 생식독성을 포함해 부작용들을 피할 수 없다(Gutier-rez et al., 2016; Oun et al., 2013; VanAcker et al., 2016). 그러나 식품단백질은 장기간 식품으로 사용해 안전성이 확인됐기 때문에 특히 생물활성 펩타이드의 자원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생물활성 펩타이드들은 다양한 아미노산 서열과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인체에 어떤 건강증진 혜택을 제공하는 식품단백질의 특이한 절편들이다(Wu et al., 2017). 식물과 동물성단백질의 일차구조에서 암호화된 불활성 아미노산 서열들은 원래 단백질에 유리되고 활성분자로 전환돼 호르몬-유사 활성을 가진 생리 조
# 천연물 리간드의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조절통한 피부장벽 기능 개선분자 기전 연구 피부 장벽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고 체내 수분을 유지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 장벽의 건강은 필라그린(FLG)과 같은 단백질에 크게 의존한다. 필라그린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에서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를 유연하게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는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물로 널리 사용되지만 장기간 사용 시 피부 장벽의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스테로이드가 코르티솔 수치를 증가 시키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표피 지질의 생산이 줄어들고 피부의 pH 가 상승하며 코르네오데스모솜의 밀도가 감소한다. 코르티솔은 2가지 주요 수용체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와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수용체(MR)에 결합해 작용한다. GR에 결합하는 것은 주로 항염증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만 MR에 결합하면 필라그린의 생산 감소와 같은 피부 장벽 기능의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사 활성을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본 연구에서는 MR 길항제가 코르티솔의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