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이지현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1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1월호는 피부임상을 주제로 ▲인공지능(AI) 기반 피부노화지수 평가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피부 노화지표로서 최종당화산물(AGEs) 분석을 위한 시험 부위 선정에 대한 연구 ▲외부 환경에 의한 피부장벽 손상과 보습에 의한 피부 건강 연구 ▲AI 기술을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한 흡수도 연구 : 피부임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2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2월호는 독일의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피부 건강의 활성화 : 스포츠의 이점과 식물 생명공학의 시너지 효과 ▲친환경 처방 개발(formulation)의 12가지 원칙 ▲천연 유래 폴리글리세릴 기반 유화제 - 지속가능한 퍼스널 케어를 위한 새로운 해결책 ▲아름답고 매혹적인 모발의 비밀을 알아 보세요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1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그리고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11월호는 독일의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이모텔 오일 - 튼살과 피부 완성을 위한 고급스러운 엘릭서 ▲피부에서 영감을 받은 제형화가 용이한 세라마이드 혁신 제품 ▲피부 관리의 새로운 전략 :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위한 포스트바이오틱스 ▲헤어케어에서 실리콘 오일의 고성능, 지속가능한 대안으로서의
#AI 기술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한 흡수도 연구 :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 향상 라만 분광법은 비침습적이고 정밀한 물질 분석이 가능해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데이터 해석과 신호 노이즈로 인해 흡수도 측정의 정밀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최근 AI 기술이 도입되면서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라만 분광기의 흡수도 분석에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기술을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해 피부 흡수도를 분석하고 육안 평가의 주관성을 개선하며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한다. 연구는 AI 기반 시각화와 정량화를 통해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며 피부 흡수도 데이터 분석의 효율을 높이고 객관성과 정확성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뒀다. 연구 대상자의 자료 수집을 위한 Nanofinder Fel xG 라만 분광기 최근 피부임상연구센터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연구소는 연구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선진임상연구센터는 2024년 6월 개소해 연구 결과의
#외부 환경에 의한 피부장벽 손상과 보습에 의한 피부 건강 연구 피부장벽은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각질층, 지질막, 그리고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로 구성돼피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미생물이나 유해 물질의 침입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양한 외부 자극은 피부장벽의 구조와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강한 피부장벽은 최적의 수분 공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환경적 요인, 피부 상태(예: 습진, 건선) 또는 노화로 인한 피부장벽의 손상은 경표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증가시켜 건조하고 자극을 주며 피부가 손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대로 적절한 수분 공급은 피부의 재생 능력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장벽으로 작용해 이 두 가지 요소 간의 상호간 관계를 보여준다. 피부 보습은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보습은 피부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고 이를 피부 안쪽으로 끌어들여 수분 손실을 줄이는 여러 가지 방법을 포함한다. 또보습제는 피부장벽의 구조를 개선하고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 통합적 도구 방법론을 통한 화장품 제형 개선 : 리뷰 빠르게 변화하고 과학과 혁신이 주도하는 현대 화장품 산업은 효과적이고 쾌적한 제품에 대한 끊임없이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처방 개발자는 최고의 효능 성분을 선택하고수백가지의 프로토 타입을 만들 필요가 있다.또규제 제한과금지 조치를 피해완벽하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악의적인 언론과 싸우고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대량 생산 비용을 줄이는 등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개발 중인 성분과 제형의 미시적 특성과 거동을 조사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거시적 특성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도구적 기술에 의존할 수 있어야 한다. 저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도구적 기술과 필요 불가결한 처방 개발자의 전문성을 결합한 이러한 접근방식은 제품 성능을 최적화하고 궁극적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리뷰는 독자에게 공식화 과정을 지원하고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도구 기법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화장품 업계에서 쌓은 학문적, 전문적 경험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진화하는 화장품 과학 분야에서 안정성, 안전성, 쾌적성, 포뮬러
# 제형화에 탁월한 장점을 지닌 올리브 오일 기반의 지속가능한 새로운 액체 다이에스터4차염 환경을 생각하는 제품 시장에 혁신적인 컨디셔너인 지속가능한 리퀴드 다이에스터4차염 MICROCARE® Quat LDG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속가능성과 환경 존중을 위해 점점 더 노력하는 세계에서 이 다이에스터4차염은 높은 수준의 효과와 품질을 유지하면서 오늘날의 소비자 요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처방 개발자에게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부상하고 있다. MICROCARE® Quat LDG는 올리브 오일에서 추출한 새로운 친환경 액체 다이에스터4차염이다. 이 컨디셔너의 화학적 성분은 주로 다이올레틸다이모늄클로라이드(diolethyldimonium chloride, dioleth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글리세릴올리에이트(glyceryl oleate), 올레일알코올과 글리세린으로 구성돼 있다. 이러한 필수 성분은 높은 환경 기준을 준수하는 RSPO 인증 팜유 원료에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공급된다. 100% 활성 성분으로 효능은 극대화하고 폐기물은 최소화한 포뮬러다. MICROCARE® Quat LDG는 모발과 피부 관리부터 물티슈에 이르기까지 다양
# 아름답고 매혹적인 모발의 비밀을 알아 보세요 일상적인 헤어케어 루틴은 염색, 파마와 같은 화학적 처리부터 브러싱, 열 스타일링, 환경적 요인 등의 물리적 스트레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모발 손상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공격은 모발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모표피(cuticle)의 무결성(integrity)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표피가 손상되면 모발의 구조와 성질이 변화해 모발이 더 다공성이고 친수성이 된다. 결과적으로 모발이 덜 매끄럽고 엉키며 건강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로즈힙(rosehip)은 특히 비타민, 항산화제, 필수 지방산 함량이 높아 피부에 유익한 효과로 널리 알려졌지만 헤어케어에 대한 잠재적 이점은 아직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발의 전반적인 외관과 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모표피를 보호하고 모발 영양 공급을 촉진하는 로즈힙 열매 추출물(Rosa Canina Fruit Extract)의 효능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로즈힙 추출물의 보호와 회복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화학적 처리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고 지질 분획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70℃에서 2시간 동안 10% S
# Re-Connecting Nature™ 미생물 추출물이 함유된 로션이 피부에서 유익한 면역학적 반응 유도 실험 관련 고찰 생물다양성 가설에 따르면, 도시화된 생활방식은 면역체계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면역 매개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킨다. 도시 환경에서 자연의 생물다양성 상실은 피부와 장의 미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약한 상피 장벽과 만성 염증 위험 증가로 이어진다. Uute Scientific은 자연의 생물다양성을 도심 속 사람들에게 되돌려 주는 혁신적인 새로운 화장품 원료를 개발했다. 이 원료인 Re-Connecting Nature™(이하 RCN™ / INCI명 Humus Extract)은 600종 이상의 자연 미생물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비활성화 상태이지만 여전히 면역체계에서 생화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RCN™은 로션과 같은 소비자 제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이미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통해 효능이 확인됐다. 로션에 함유된 RCN™은 in vitro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를 감소시킨다. in vivo 실험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전통적 의학적 치료를 보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불멸의 꽃, 이모르뗄 유래 엑소좀(Immortel Stem-Exo)피부 상태 개선효능 이모르뗄(Helichrysum italicum)은 지중해의 코르시카 섬이 원산지인 허브 식물로 독특한 카레향과 함께 꽃을 꺾은 후에도 시들거나 색이 변하지 않아 ‘불멸의 꽃’으로 불린다. 이모르뗄은 고대부터 관절염 등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돼 왔으며 강력한 항산화 효능 덕분에 세포 손상과 노화지연에 효과적이라 화장품 원료로도 주목받고 있다(Iriti et al., 2010; Węglarz et al., 2022). 특히 프랑스의 화장품 브랜드 록시땅(L'Occitane)은 이모르뗄의 유전적 특성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재배 방식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 생산자들과 협력하며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엑소좀(Exosome)은 세포내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나노 크기의 세포외 소포(Extracellular Vesicles, EVs)로 세포 간 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엑소좀은 인지질이중막(Phospholipid bilayer)으로 구성돼 있어 세포막과 유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나노 크기로 인해 세포와 세포 간의 이
# 옵트바이오,자체 분리한 마이크로바이옴 체지방 개선 이너뷰티 원료, Metabiotics OPT-A1 최근‘이너뷰티(Inner Beauty)’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너뷰티는 외적인 아름다움 뿐아니라 내적인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개념으로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건강의 조화를 강조한다. 즉, 이너뷰티는 단순히 외적인 요소에 국한되지 않고 개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그에 따른 자신감을 포함하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체지방 개선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현대 사회에서 비만과 관련된 여러 건강 문제의 증가로 인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비만으로 정의하며 최근 세계 인구 중 과체중 인구 비율은 2020년 38%에서 2025년 42%, 2030년 46%, 2035년 51%로 증가하고 비만 인구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대인들에게 산업화와 더불어 육류 중심의 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 나트륨 또는 당분 섭취로 인한 고지방, 고염, 고당,
#피부장벽 개선과 항염 효과탁월한 소나무잎 유래 피토-세라마이드(GWSS Pine Tri-mide)연구 각질층에서 발견되는 총 지질의 40% 이상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는 피부 탄력과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화장품 성분으로서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잎에서 추출한 식물성 세라마이드를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GWSS Pine Tri-mide는 소나무잎을 침유한 오일에서 특수 발효법을 통해 얻는다. 소나무잎 오일과 스핑고신을 반응시켜 소나무 유래 세라마이드 NP와 피토-세라마이드(GWSS Pine Tri-mide)를 수득한다. 상업용 세라마이드 NP와 비교해 GWSS Pine Tri-mide는 농도 의존적으로 IL-1β와 NO 생성의 발현 수준을 낮춰 우수한 항염 활성을 보였다. 또두 가지 세포주에 대해서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GWSS Pine Tri-mide를 함유한 제형으로 인체 임상 시험을 실시한 결과 영유아에게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피부 수분 손실을 막고 피부 장벽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Pinus densiflora 유래의
# 라만 분광기이용한 세라마이드피부 흡수 효과 배경 : 세라마이드는 피부 지질 성분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는 필수 표피 성분이다. 세라마이드는 뛰어난 보습력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많은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세라마이드의 유익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세라마이드의 피부 흡수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라마이드가 피부 흡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라만 분광기를 이용해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과정 : 건성 피부를 가진 건강한 한국인 성인 남녀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시험군들은 시험 참여 24시간 전부터 시험 부위에 어떠한 화장품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임상센터에 방문해 항온 항습 조건에서 30분간 대기 후 측정이 진행됐다. 연구 제품은 시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뉘며 시험군에는 세라마이드가 5000ppm 포함됐고 대조군에는 세라마이드가 포함되지 않았다. 나머지 성분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됐다. 시험 부위는 연구대상자의 양쪽 하박에 진행됐다. 결과 : 라만 분광기를 이용해 피부 흡수도 측정을 진행한 결과 각각의 제품 도포 30분후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피부 흡수량, 피부 흡수 깊이, 피부 흡수 속도가 통계적으
#모공 케어위한 피부 재생과 노화 방지에 탁월한 천연 단백질 기반 성분RejuviPoreZyme의 개발 사람의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aneous tissue) 3개의 층으로 구분돼 있다. 이 중 표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각질 형성 세포는 피부 재생과 상처 치유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또표피층 아래에 위치한 진피층은 섬유아세포와 collgen, elastin, glycan과 같은 세포외기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 층으로 구성된 피부는 체내와 체외 환경을 분리해 주는 효과적인 장벽으로 기온과 습도의 변화로부터 유체가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며 물리, 화학, 생물학적인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극을 보호해 주는 기능이 있으므로 손상된 피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회복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피부가 손상되거나 노화가 진행되는 원인은 자연 노화인 내인성 노화와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 UV, 생활 패턴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이때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은 피부세포에 단백질, DNA 등의 물질과 반응해 콜라겐 결합 조직의 형성을 파괴하고 피부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제주테크노파크가 화장품 소재 기능이 뛰어난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 활용기술 특허를 출원했다. 제주테크노파크(원장 문용석) 청정바이오사업본부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제주산 수정목의 캘러스(식물세포 배양체) 추출물에서 상처 치유와피부재생 개선 효능을 확인한 데 이어최근 ‘수정목 캘러스의 배양 및 추출 방법, 이들에 의해제조된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를 출원했다고밝혔다. 수정목(Damnacanthus major Siebold & Zucc.)은 꼭두서니과 호자나무속으로 제주 자생식물이다. 멸종위기종은 아니지만 국내는 주로 제주에서 서식하고 개체의 크기가 작아 대량 확보가 어려운 식물이다. 예로부터 수정목의 뿌리 부위는 각종 통증과 염증, 타박상 등 병을 약용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수정목 야생 개체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확인하고 산업화에 적용할 수 있는 대량생산을 위해 캘러스 배양을 시도했다. 특히 수정목 캘러스의 효능 증진을 위해 특정 미생물을 성장자극제(바이오 엘리시터)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피부재생과상처 치유 효과가 상승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캘러스 배양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편집위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7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7월 공개된 화장품 분야의 특허 건수는 총 227건으로 전월의 217건에 비해 다소 증가했다.이 가운데 해외 기업체는 43건으로 전체19%를 차지해 전월에 비해 건수와 비율이 약간 증가했다. 또국내 기업체는 106건(47%)을 공개해 전월의 92건(42%)에 비해 약간 증가했다. 이어서 대학 산학협력단도 44건(19%)으로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나 국공립기관, 법인은 16건(7%)으로 전월의 34
[코스인코리아닷컴 한지원 기자] 힐링그리코스메틱(대표이사 문석현)이 녹이는 더마필름형(하이드로매트릭스) 화장품 제조 특허를 취득했다. 기존의 화장품은 기초성분, 활성성분, 보존제 구성물질을 배합해 제조한다. 하이드로매트릭스는 힐링그리코스메틱이 4년여간 개발해 지난 9월 특허를 취득했다. 특허공법에 따라 배합, 인큐베이팅, 성형 등 특별한 제조방식을 이용해 화장품 제조 방식의 혁신을 일으켰다. 특히 하이드로매트릭스 특허 제조 방식의 중요 기술인 인큐베이팅은 배합물에 포함된 활성소재를 4배 함량으로 농축시킨다. 하이드로매트릭스는 얇은 하이드로패드로 이루어져 있어 집게나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피부에 얹어 토너나 화장수를 바르면 앰플로 변해 피부에 흡수된다. 한편, 힐링그리코스메틱은 특허 제조방식을 통해 친환경 패키지, 웨이스트제로와 같이 화장품에 요구되는 가치소비, 디깅소비 트렌드에 초점을 둔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자세한 제품 문의는 이메일(healingree@gmail.com)로 하면 된다.
# 지용성과 수용성 유효성분동시 경피전달위한 마이크로니들 기반 약물전달시스템연구 화장품을 사용해 피부에 전달하는 유효성분은 크게 지질 성분을 사용하는 지용성과 친수성 성분을 사용하는 수용성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지용성은 보습과 수분 유지, 피부 보호 등에 장점이 있으나 무거운 사용감과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 자극이 일어나는 등의 불편함을 유발하고 수용성은 피부 자극이 적고 안정적이며 흡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약물 전달의 한계성과 낮은 지속력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질이 서로 다른 유효성분을 동시에 경피로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채널링 시스템(Dissolving Microneedle Channeling System, DMCS)과 마이크로니들 유사입자(Microneedle-Like Particles, MLP)를 활용해 기존의 방식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화장품에서의 응용 가치와 잠재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in vitro 시험에서 KS 세럼은 MLP TP 실험군이 가장 높은 침투 깊이와 단면적 수치를 보였고 CS 세럼 사용 실험에서는 DMCS가 가장 높은 침투 깊이와 단면적 수치를 보였다. 광학
#올레산anti-androgen mechanism 조절통한 안드로겐성 탈모증예방,치료 효과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인간에서 흔히 발생하는 탈모 유형으로 안드로겐인 testosterone이 5α-reductase에 의해 더 강력한 안드로겐인 dihydrotestosterone(DHT)으로 전환돼 androgen receptor(AR)와 결합해 발생한다. Androgenetic alopecia(AGA)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안드로겐을 조절하는 anti-androgen mechanisms에 달려있으며 크게 안드로겐 억제, 5α-reductase 억제, AR 억제 3가지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DPCs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5α-reductase 억제능을 가진 unsaturated fatty acids(UFAs)의 5α-reductase 억제능과 모발 주기 조절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최적의 UFA를 탐색하고 DHT로 유도된 AGA 동물 모델에서 최적의 UFA의 AR 조절과 모발 성장 촉진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최적의 UFA가 AGA 발병 메커니즘에 관여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in vitro 실험에서는 UFAs의 안전성과 hDPCs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