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K 2025년 1월호 [피부임상] 인공지능 기반 피부노화지수 평가 예측 모델 개발 연구
# 인공지능 기반 피부노화지수 평가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피부 노화는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기인하는 내인성, 외인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피부 주름 형성, 피부색 변화(색소 침착), 건조함, 탄력 저하와 같은 임상적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피부 변화는 개인의 실제 연령에 비해 빠르거나 느리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얼굴 외모와 인지되는 매력 또는 나이에 영향을 미친다. 백인 여성의 경우 눈 주위 상태와 피부색 균일성이 인지 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아시아인에서는 색소 침착, 피부 처짐, 주름, 눈 밑 다크서클과 같은 다양한 임상적 특징이 인지 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화에 따른 임상적 특징은 인종 간 또는 생활 습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다양한 증상은 얼굴 형태와 개인의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화와 관련된 주요 임상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진단 방법이 요구된다. 연구자에 의한 육안 평가는 얼굴의 종합적인 노화 특징을 반영해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이는 주름, 피부색, 색소 침착, 피부 처짐 등의 다양한 증상을 점수화와 등급화해 평가한다. 머신러닝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