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화장품 연구개발 제조생산 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 박은희)가 안정적이면서도 피부 침투율이 우수한 새로운 리포좀 조성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3월 20일 ‘경피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활성성분을 피부 각질층으로 침투시키기 위해 유효성분을 캡슐레이션한 다양한 리포좀 기술을 시도해왔지만, 실제 각질층막을 통과하는 리포좀 기술을 구현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에 코스메카코리아 연구팀은 하이드로지네이트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 폴리소르베이트 80, 리조레시틴을 포함하는 새로운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했다. 그 결과 종래의 리포좀에 비해 안정성이 높고 경피 수분 손실도 저감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 피부침투가 우수하며 생체 내 이용률과 흡수율이 높아 보습, 보습지속 효과도 뛰어났다. 해당 리포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활성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어 천연 추출물, 보습제, 미백제, 주름개선제 등 화장품에 사용하는 다양한 유효성분을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코스메카코리아는 지난해 9월 뮌헨에서 열린 세계…
고압유출 플라센타 추출물 보습성 태반은 자하차(紫河車)로서 본초항목에도 수록되어 있는 자양 강장 작용이 있는 소재로 되어 있다. 이 태반에서 추출된 플라센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저해작용과 세포부활작용이 있는 미용소재로서 화장 품과 의약부외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본지에서도 in vitro 시험으로서 섬유아세포에 대한 효과1)나 in vivo시험으로서 핸드크림에 배합한 효과2)가 소개되고 있다. 또 피부 각화세포에 대해 I형 콜라겐, 케라틴 10, 필라그린의 발현이 촉진되는 것3)도 보고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플라센타 추출물은 외용의 화장품 소재로서 충분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림1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의 유전자 발현 촉진작용 당사에서는 일본 국내의 SPF(Specific-PathogenFree, 특정병원체 부재) 농장에서 채취한 돼지 태반의 수용성 성분을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수심 10,000m의 마리아나 해구의 수압과 같은 100MPa의 고압 처리를 통해 ‘Nichirei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이하,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 또는 고압 PE라고 기재)을 개발했다. 고압추출 플라센타 추출물은 기존 정제수 추출법
MC-PDRN : DNA 통해 피부 속부터 겉까지 관리해 주는 Regeneration 소재 최근 뷰티 업계는 SNS와 Youtube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트랜드에 민감한 셀프 뷰티족이 증가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강력해진 항노화 홈케어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셀프 뷰티족의 증가로 ‘가성비 갑’ 홈케어 아이템이 각광받고 있으며 향후에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1 DNA 분석 by DNA electrophoresis 모아캠은 이러한 트랜드에 맞춰 피부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을 데일리 케어로 집에서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 검토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연어주사, 백옥주사, 물광주사 등 다양한 미용주사 중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연어주사의 효능성분인 ‘PDRN’을 화장품에 적용시켜 제품을 개발하고 효능을 확인했다. PDRN(Polydeoxyribonucleotide)이란 약리효과가 있는 DNA 중합체(조각)를 의미하며 피부손상부위에 반응해 염증을 줄여주고 조직을 재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PDRN은 연어 부산물인 정소에 풍부하며 사람의 염기비율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PDRN은 인체 내…
차조기(자소)잎 수확시 손거칠어짐에 대한 피부장벽 크림의 예방효과 니가타 현에 있는 농가의 수는 약 80,000개 경영체가 있고 이것은 전국 총농가수의 3.6%를 차지한다(2015년 도, 전국4위)1). 쌀을 필두로 대두, 수박 등의 수확량도 전국 상위를 차지하며 2016년 농업생산액은 2,583억 엔에 이른다. 한편, 농업종사자(15세 이상의 세대원 가운데 조사기일 전 1년간 자영농업에 종사한 자)의 고령화가 문제되고 있는데 2005년부터 2015년에 걸쳐 평균연령은 55.1세에서 58.0세까지 올랐고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36.4%에서 45.6%에 달하고 있다1). 사진1 청자소(青紫蘇, 차조기 잎) 니가타 현에서 생산되는 농작물의 하나로 차조기(자소)잎을 들 수 있다(사진1). 차조기 잎에는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성분인 perillaldehyde나 perilla ketone이 함유되어 있다. 농업종사자 18명을 대상으로 손거칠어짐 현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차조기 잎에 의해 손 거칠어짐이 일어난다고 15명(83%)이 응답했다. 피부는 적당한 수분을 갖지 못하면 갈라지고 그로 인해 가려움이나 통증 등 일상생활을 지내는데…
Offensive한 방부제 Defense 전략 방부제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방부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기술 방부제 규제 강화의 움직임이 가속되고 있지만 방부제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안전성이 높고 우수한 방부제의 용도를 좁히고 있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 화장품 제조기업은 필요 최소한의 방부제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부 처방설계 기술을 개발해 그것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이를 통해 유용한 방부제의 다양성을 지킬 수 있다. 이러한 ‘Offensive한 방부제 Defense’는 본래 목소리 높여 말할 것은 아니고 보다 높은 품질의 화장품 개발을 목표로 하기 위해 당연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림1 방부력과 인체 안전성과의 관계 방부제와 그 사용법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 견해는 이미 몇가지 보고 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적절한 방부 처방설계, 즉 규제 상한의 방부제량을 안이하게 배합 하는 것이 아니라 최소한의 방부제의 양으로 화장품의 안전성을 높게 담보하면서 품질을 떨어뜨리는 미생물을 유효하게 억제해 내성균을 만들지 않기 위한 연구를 기술한다. 일본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하게 제품을 전개시키기 위해 염두에 두어야 할 주요한 방부 인자인 8종의…
Cytolytic™ Technology를 적용한 유산균 발효 미백소재 개발 (Development of whitening material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using Cytolytic™ Technology) 최근 천연과 안전한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발효 기술을 적용한 화장품의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발효는 미생물이 갖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하고 기존 물질을 유용성분으로 생물전환하는 과정이다. 발효를 거치면 입자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피부흡수율을 증가시키고 효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림1 Skim milk 농도에 따른 CFU 비교 결과 또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기존의 발효식품에 사용되는 미생물을 화장품 소재에 다양하게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식품에 사용하는 미생물은 오래전부터 사람이 섭취해 왔기 때문에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균주로 안전하다고 여겨진다. 발효유로 정의된 요거트는 예전부터 천연 팩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고 피부밝기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요거트 제조에 사용되는…
인체유사성분에 기인한 피부보습제 최근 국내 보습, 수분크림 시장은 더욱 활성화됐으며 수분 크림은 피부관리 필수 아이템 중 하나다. 더군다나 겨울철에는 건조한 날씨로 인해 피부의 수분 량이 줄어들게 되고 영양과 수분을 뺏긴 피부는 푸석 푸석해진다. 건조한 피부는 피부노화, 주름 등을 유발 하며 다양한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에 건조한 피부에 필요한 인체유사성분에 기인한 피부보습제를 소개한다. 그림 MC-BNC와 대조군 사용 후 피부수분량 비교 피부 각질층(stratum corneum, SC)은 피부에서 최외각 층에 존재하고 외부환경에 직접 접하고 있어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질층은 두 가지 성분, 즉 죽은 각질세포로부터 생성된 단백질과 각질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각질세포간 지질로 이루 어져 있으며 그 외 표피지질,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한다. 천연보습인자는 우리 피부의 각질층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보습 성분이다. 피부 표면 각질층 중 각질 세포에 있는 천연보습인자는 아미노산과 젖산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피부 수분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정상피부보
보습성분 필라그린(Filaggrin)에 대한 가수분해 유글레나(Euglena) 추출물의 효과 피부는 외계와 생체조직을 구별하는 인체 최대의 장기이고 여러 가지 자극에 노출되어 있다. 피부는 단층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세포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표피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외래의 자극에 최초로 드러나 있어 생명활동 유지를 위해 외계로부터의 이물 침입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 하기 위해 장벽기능을 갖는다. 또 이 장벽기능은 수분증발에 의한 건조를 막는 (보습) 등의 역할도 담당한다. 많은 연구에 의해 피부의 장벽기능은 필라그린(FLG)으로 불리는 단백질에 의해 부여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어 FLG가 보습 뿐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 발증요인의 하나인 것도 밝혀져 있다(그림1)1)-3) . 그림1 피부구조와 필라그린(FLG)의 장벽기능3) 이번에 우리는 새로운 가수분해 유글레나추출물이 표피를 구성하는 각화세포의 세포증식 촉진과 필라그린 발현량을 높이는 것을 발견해 이제까지의 연구지식과 함께 본고에서 소개한다. 유글레나(Euglena gracilis , 연두벌레)는 현미경의 발명자인 네덜란드 생물학자 레벤후크(Leeuwenhoek)에 의해 발
침투 촉진제 NeosolueTM -Aqulio에 의한 표피, 모발에 대한 유효성분 침투 촉진 및 유효성분의 효과 향상과 메커니즘 피부 최외층의 각질(Stratum Corneum, SC)은 소수성(疎水性)이 풍부한 생체 장벽의 역할을 한다1) . 하지만 이 배리어(barrier) 기능은 화장품 유효성분이 표피에 도달하는데 방해가 된다. 지금까지도 많은 침투 촉진제가 개발되어 왔지만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침투 촉진제에 대한 요구는 아직도 높다. 그래서 우리들은 양친매성(両親媒性) 에스터인 bis-ethoxydiglycol cyclohexane 1,4-dicarboxylate (NeosolueTM -Aqulio, 그림1)를 표피와 모발에 대한 침투 촉진제로서 설계해 합성을 실행했다2) . 이 연구에서는 NeosolueTM -Aqulio의 침투 촉진제로써의 효과를 표피 모델과 모발을 이용해 평가하고 더불어 유효성분의 효과 향상과 각질층에 침투 촉진 메커니즘에 대해서 검토했다. 그림1 Neosolue™-Aqulio의 구조 인체 재구축 표피 모델 LabCyte(J-Tec)와 Franz형 확산 셀(PermeGear)을 이용해 Neosol
펩타이드 MKP 섭취에 의한 발한의 체감에 미치는 영향 피부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원인으로 외부환경 (건조 또는 자외선) 이외에도 노화, 폐경, 월경주기, 수면 부족, 변비, 스트레스, 피부관리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존재한다. 피부의 윤택함은 피부건강과 미용에 중요한 항목의 하나이며 스킨케어 등에 의한 보습과 땀샘에서 나오는 땀에 의해 증가하고 피부표면에서 일어나는 불감증설(不感蒸泄, 신체에서 끊임없이 증발하고 있는 수분으로발한을 제외한 것)에 따라서 감소한다. 체내에서 피부로의 수분공급은 혈류에 의해 서도 좌우되고 발한 저하와 저온의 겨울은 피부의 건조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피부에서의 증발량을 억제 하는 피부막과 세포간지질량이 감소하고 있는 고령 자나 피부질환자에서도 피부건조는 일어나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 그림 조사 실시 일정 심부 체온과 발한의 양, 피부혈류량은 정(+)의 상관 관계인 것이 알려져 있으며1) 고온환경에서의 순화에 의해 발한량이나 피부혈류량의 증가를 통해 열 방출 메커니즘이 개선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2) . 또피부의 수분량은 땀샘에서 나오는 땀에 의해 증가하고 피 부표면에서 불감증설에 의해 감소하기 때문에 피부 건강과 미용에 있
플라센타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유효성 - 플라센타추출물 배합 미용액의 항주름 시험 플라센타에는 증식인자, 호르몬, 효소, 생리활성 펩타이드, 비타민, 미네랄 등 생체의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1)2) . 인체 플라센타추출물은 의료 현장에서 주사제로 개발 되어 상처 치유를 시작으로 면역기능 조절, 항염증, 항혈소판 응집, 줄기세포의 보호와 재생, 여성호르몬 밸런스 조절, 멜라닌 합성 조절 등의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9) . 그림1 플라센타추출물 배합 미용액 연속사용에 의한 각질층 수분 량의 변화 그 후 동물성 돼지나 말 등의 플라센타추출물이 경구(經口) 투여에 따른 OTC 의약품, 건강식품에 이용 됐고 피부에 외용(外用) 도포 소재로도 의약외품 미백의 주제(主劑)나 기제(基劑), 그리고 화장품성분으 로서 개발되어 플라센타추출물 배합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주)교와(協和)에서도 플라센타추출물 배합 건강식품과 화장품을 프라코라(fracora)브랜드로 개발해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에 연구의 대상으로 돼지 플라센타추출물의 메커니즘은 in vitro, in vivo 실험에서 섬유아세포 증식인자 신호를…
코르크 참나무(학명 : Quercus Suber)는 지중해 지방에서 자라며 150~200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코르크 참나무에서 얻어지는 코르크는 화재, 해충, 그 밖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는 스폰지 형태의 물질이다. 수세기 동안 와인병을 밀봉하는데 사용돼 온 코르크에는 항염 성분이 매우 풍부해 포도주의 맛이 변질되지 않도록 유지해준다. 코르크 참나무 너겟은 코르크 제조 과정의 부산 물이다. 이 너겟은 고함량의 항염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 너겟을 폴리페놀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코르크 참나무 뿌리, 잎, 꽃과 혼합했다. 또한 높은 함량의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진 버진 코코넛 오일은 효능 성분이 피부속으로 침투할 수 있는 완벽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시스템을 가진 Diam Oeloactif Ⓡ 는 100% 안전하고 매우 안정적인 뛰어난 원료이다. 수용성기와 양친매성 성분의 함유량이 높은 버진 코코넛 오일을 베이스 오일로 선택해 코르크 참나무 껍질, 뿌리, 잎, 꽃을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영하 80도에서 동결 건조 후 분쇄해 버진 코코넛 오일과 함께 초음파 기능이 결합된 전자파 추출기에 투입한다. 코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