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완화와 붉은기 개선 소재 'MC-MoisGF' 1. 서론 코로나19 확산으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착용부위의 가려움, 홍조 등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장시간의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피부가 지속적인 접촉 자극을 받아 알러지 반응이 일어나고 마스크 속에 갇힌 습기로 인한 세균증식으로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알러지와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피부에서는 피부장벽의 손상과 피부 재생능력이 약해져 건조, 주름생성, 가려움증, 세균감염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민감해진 피부는 트러블이 발생하며 붉은기가 증가한다. 모아캠은 마스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자극 완화와 붉은기를 개선하기 위해 알러지 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소재를 검토해 최종적으로 선복화를 선정했다. 선복화는 국화과의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의 꽃을 말린 약재로 전통적으로 알러지 질환인 천식에 우수한 효능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천식, 만성기관지염 등의 약리작용이 보고됐다. 본 연구에서는 선복화를 Snowbrix-TINC™기술을 이용해…
#인체 표피세포에서 말(馬) 태반추출물의 다양한 항노화 작용 연령증가에 따른 메커니즘의 해명과 노화 방지는 현대 의학, 생물학의 중요한 테마이다. 특히 피부는 우리의 눈에 띄기 쉽기 때문에 개체의 노화를 시각적으로 느끼게 된다. 또 미용상의 관점에서도 주목도가 높은 장기(臓器)이다. 피부 노화에서 노화를 여실히 나타내는 처짐이나 주름의 개선 요구도는 현저하게 높다. 조직 레벨에서는 진피가 처짐과 주름 모두에 관여하는 한편, 표피에서는 주름에만 관여하고 있으며 표피는 진피에 비해 작게 취급되기 쉽다. 그러나 표피 레벨의 노화는 외용제 스킨케어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문제이며 표피 기능의 변화는 종종 피부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1) 진피와 같은 취급이 필요하다. 그림1 BrdU에 의한 HaCaT 세포의 노화 유도 피부 노화는 연령증가에 따른 신진대사기능과 항상성(homeostasis) 저하로 인한 생리학적인 노화(내인성 노화)와 자외선, 흡연, 대기 오염 등의 환경 인자에 의해 유도된 노화(외인성 노화)로 분류된다. 외인성 노화의 원인은 자외선 등 환경인자의 장시간 노출로 인해 생기는 피부조직 내 산화프로세스로 판명되기 때문에 항산화 소재를 기반으
#친환경 DNA 추출법을 이용한 항노화 소재 'MC-PhytoDNA® Rose' 로 Veganism을 완성하다 1. Abstract 연어의 정소에서 추출한 PDRN(Polydeoxyribonucl eotide)은 우수한 피부 활성을 통해 항노화 소재로서 사용되지만 Vegan 화장품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모아캠은 식물의 뉴클레타이드를 연구해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한 결과, 모아캠만의 특허기술인 PhytoDNA® 추출 기술을 얻게 됐다. 이 PhytoDNA® 추출 기술을 화장품에 자주 사용되는 대표 식물인 장미에 적용해 MC-PhytoDNA® Rose가 탄생했다. 장미에 PhytoDNA® 기술을 적용했을 때 흡광도와 전기영동 분석을 통해 저분자화된 장미 DNA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품의 피부생리활성연구를 통해 항산화(ROS), 피부진정(IL-8), 항주름(MMP-1) 등 우수한 효능을 확인했다. 2. PhytoDNA® 일반적으로 DNA를 추출, 정제하는 방법은 유기용매(Phenol, Chloroform)를 사용한다. 그러나 모아캠은 피부에 유해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대신 친환경 DNA 추출방법을 연구했고 모아캠만의 Ph
#화장품, 퍼스널케어 제품 제조현장에서의 미생물 트러블 사례 방부제를 최소한으로 사용해 방부력을 최대한 발휘하 도록 하는 방부처방 설계기술이 지금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다1)2). 그러나 최신 기술을 구사해 어렵게 방부처방 설계를 한 제품이라도 다음 제조단계에서 관리가 소홀해지면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수나 종류의 미생물이 제품에 혼입될 가능성이 있다(1차오염이라 한다). 방부처방 설계과 제조현장의 위생관리는 미생물 제어의 양쪽 바퀴로 서로 삐꺽거리며 굴러가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미지1 화장품, 퍼스널케어 제품의 제조현장에서는 어떻게든 살아남으려고 필사적으로 생물(미생물)이 자신의 성질을 변화시켜서라도 제조관리의 빈틈을 노리고 있으며 현장을 설계하고, 운용하고, 운전하는 사람의 조그만 방심이 그 빈틈을 주게 된다. 천연원료 도입과 처방의 다양화, 과도한 생산의 효율화 등이 진행되면 그 기회도 점점 많아질 것이다. 제조현장의 미생물 트러블은 그 원인을 알고 보면 ‘뭐야, 그런 것이었나’라고 깨닫는 일도 많지만 학문적 지식만으로 트러블에 이른 원인을 포함해 그것을 미리 알고 예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많은 기업은 과거 자사의 트러블을 해석하고…
#천연항균제 MC-Abios100 : 자연주의 화장품에 천연보호막을 더하다 1. 서론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증가로 자극이 없는 천연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유기농 전문 조사 기관인 오가닉모니터(Organic Monitor)는 전 세계 유기농 화장품 시장이 매년 20% 대 성장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했고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도 해외 자료와 현지 동향을 근거로 글로벌 유기농 퍼스널 케어 시장이 연평균 9.3%의 고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천연지향적인 제품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물 유래 항균제의 수요 역시 급증했으나 천연 항균제 대안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모아캠은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천연 항균제 소재를 연구하면서 천연추출물의 항균작용에 효과가 있는 소재들을 선정해 MC-Abios100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했다. 2. MC-Abios100의 7가지 식물 모아캠은 전통의약서 중 동의보감, 아유르베다 등에서 소개된 생약과 항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을 항균 스크리닝을 통해세균(Bacteria), 효모(Yeast), 곰팡이(Mold) 등 화장품
#항산화 항노화 타깃 성분 'BioGenic Ferulic Acid 200(BG Ferulic acid 200)' 1. 서론 식물에서 추출되는 페놀계 화합물들은 뛰어난 약리활성성분을 가지고 있다. Gallic acid, homogentisic acid, gentis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caffeic acid, phloret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veratric acid, naringin, hesperidin, salicylic acid, protocatechuic acid, quercetin, naringenin, hesperidin 등은 대표적인 페놀류 화합물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수산기를 비롯해 카르복실기, 메틸기, 질산기와 같은 구조들을 갖고 있어 작용에 따라 다른 물질과 치환되면 다양한 약리 활성과 항산화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같이 다양한 페놀계 화합물 중 우리는 ferulic acid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Ferulic acid는 hydroxy cinnamic acid로서 페놀성 유기 화합물이다. 이 성분은 주로 쌀, 밀, 귀리와 같은…
#열노화 타깃 신개념 쿨링 신소재 (특허출원 제10-2019-0124535호) 'PCM 마이크로 캡슐레이션' 1. 열노화 예방의 필요성 고령화, 액티브시니어의 부상, 건강증진과 웰빙에 대한 욕구 증대 등으로 인해 항노화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항노화 관련 산업이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뷰티 업계에서도 항노화 관련 제품의 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서의 항노화는 aging,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로 대표된다. 따라서 피부 주름개선과 자외선 차단 등에 부합하는 성분들이 항노화 화장품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과 생활 방식 등이 점차 변화하며 새로운 개념의 피부 노화 원인들이 제시되고 있다. 수년 전부터 집중적으로 조명 받고 있는 원인 중 하나가 적외선에 의한 열노화이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피부 표면온도는 31℃이다. 그러나 한여름 직사광선에 15분 이상 노출되면 우리 피부 온도는 41~43℃까지 상승한다. 피부온도가 올라가면 피부의 콜라겐 분해가 가속화되어 피부 탄력의 저하, 주름생성이 유발되고 광노화도 가속화되어 결과적으로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킨다. 그림1 노화의 원인과 열노화 이와 같은 열에 의한…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이 공동연구를 통해 백탁 현상이 없으면서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반사하는 ‘다공성 마이크로 무기 소재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 혁신적인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 수 있는 관련 연구 성과는 소재 분야에서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Particle & Particle Systems Characterization’ 3월호 온라인판에 게재했으며 4월호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게재된 논문명은 Transparent and UV‐Reflective Photonic Films and Supraballs Composed of Hollow Silica Nanospheres이다. 피부 노화는 대부분 빛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피부 손상을 일으키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반사 또는 흡수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자외선을 반사하는 무기 물질로는 산화아연(ZnO)과 이산화타이타늄(TiO2) 등이 주로 사용하지만이 소재는 그대로 사용하면 입자의 높은 굴절률로 인해 백탁 현상이 발생하고 제품의 제형이 뭉치는 등의 단점도 갖고 있다. 이와 같…
#천연 다기능 항균 부스터 'ACTIVONOL-3' 1. Paradigm shift - Sustainable development 현대사회의 극심한 환경 오염과 빈부격차의 심화 등 성장 위주 경제의 한계를 마주하며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서 지속가능발전이 부각되고 있다. 지속가능발전은 미래가치를 보존하며 현재 세대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발전을 추구하는 패러다임이다1). 또 이러한 상황에 맞게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도 제품의 선택과정에서 제품의 생산과정을 고려해 선택하는 책임있는 소비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에 의한 패러다임 변화로 종래의 석유 기반 산업에 대한 대안으로 바이오 기반 산업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화석원료 기반 화학제품인 화학소재, 연료 등의 생산에서도 바이오 공정이 연평균 18%의 속도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2~3). 2. 1,3-Propanediol 1,3-Propanediol은 기존의 석유화학 공정에서 바이오 기반 공정으로 전환이 이루어진 대표적인 소재로 플라스틱, 식품, 섬유, 화장품 소재로 사용되며 해마다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4). 1,3-Propanediol은 PTT(Polytrimet
[코스인코리아닷컴 오영주 기자] 국내 더마코스메틱 대표 기업 더마펌(DERMAFIRM)이 다년간의 연구 끝에 리포좀(Liposome) 기술을 통해 '아스타잔틴' 성분을 안정화시켜 화장품 적용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스타잔틴은 최근 각종 연구와 논문에서 피부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지며 비타민C의 6,000배, 코엔자임큐텐의 800배나 되는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입증 받아 ‘자연계에 존재하는 가장 강력한 항산화제’로 각광받고 있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이를 쉽게 제품에 적용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아스타잔틴이 열과 빛에 불안정하여 장시간 노출될 경우 색이 빠지는 단점이 있고 붉은색이 빠지면 항산화 효능을 잃기 때문에 아스타잔틴을 어떻게 안정화시켜 화장품에 적용하느냐가 관건이었다. 이와 관련, 더마펌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안정적이면서도 피부 침투율이 우수한 리포좀 기술을 토대로 아스타잔틴 성분을 안정화시켜 화장품 적용에 성공했다"면서 "더마펌이 보유한 리포좀 기술은 펩타이드, 히알루론 크로스링크, 콜라겐, 천연 추출물, 미백성분 등 화장품에 사용하는 다양한 활성성분을 다양한 컨셉으로 리포좀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고 말…
#너도밤나무싹추출물이 각질층 기능 관련 효소에 미치는 영향 인간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표피에서는 표피의 주요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가 기저층에서 분열해 케라틴이나 지질 등을 생성해 분화, 성숙하면서 상층으로 이동하는 각화(keratinization) 과정을 거쳐 피부 표면에 각질층(stratum corneum)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각질층은 생체를 피복해 수분을 유지하고 침입 물질을 방어하는 등의 역할이 있으며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생체조직을 보호하는 생리적 장벽이다. 각질층이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피 기저층에서의 세포증식과 피부표면에서의 세포이탈(각질층 박리, desquamation)의 균형이 적절해야 한다. 표 너도밤나무싹추출물이 정상 인체표피 케라티노사이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각질층 박리과정은 정밀하게 제어된 캐스케이드(cascade) 반응이다.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화세포(corneocytes)는 기본적으로 desmoglein I 등의 접착 분자를 통해 cormeosome 또는 corneodesmosome이라 불리는 구조에 의해 접착돼 있다. 이 접착구조에 관여하는 desmosom
# 말 플라센타 추출물에 의한 피부장벽 기능 강화 인간의 피부에는 표피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이 피부상재균총으로 존재하고 피부의 외부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해당 보호기능은 피부상재균총의 밸런스에 의해 유지되고 있지만 극단적인 온도 변화, 건조, 자외선, 화학물질 노출 등(환경적 요인)과 외상, 정신적 스트레스, 질병에 의한 신체적 이상(심신적 요인)의 영향으로 피부 보호기능의 현저한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특히 피부상재균총에서 좋은 균으로 알려진 표피포도상구균은 글리세린 생산에 의해 피부 건조방지와 pH 조절에 의한 잡균증식 억제기능이 있다. 또 표피포도상구균은 피부 표피 각화세포에 작용해 항균 펩타이드로 알려진 β-디펜신의 발현을 유도해 피부의 나쁜 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2). 그림1 말플라센타 추출물의 표피포도상구균 증식 촉진효과 즉, 환경적 요인 또는 심신적 요인에 의한 균총의 밸런스가 무너짐으로서 표피포도상구균이 감소하면 피부상태나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플라센타 추출물은 오랫동안 미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