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임정연 기자] K-뷰티 대표주자 아모레퍼시픽이 유난히 맥을 못추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LG생활건강이 면세점을 제외한 모든 사업 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다. 지난 3년 동안 역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31일 발표된 2분기 실적도 부진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1조 557억 원, 영업이익은 60% 감소한 352억 원을 기록했다. LG생활건강의 2분기 영업이익이 3,033억 원인 것과 비교할 때 차이가 크다. # 아모레퍼시픽, 상반기 매출 -23.4%, 영업이익 -67% 감소 면세점, 오프라인 실적부진 '긴터널' 올해 상반기 실적도 다르지 않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의 상반기 매출은 2조 4,601억 원, 영업이익 1,04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4%, 영업이익은 67% 감소했다. 이는 국내 온라인 채널 매출이 약 60%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영향과 채널 정예화 작업으로 면세, 백화점, 로드숍 등 주요 오프라인 채널 매출이 하락하며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면세점, 백화점 등 오프라인 채널 비중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과의 관계 개선 기대감으로 화장품업종 투자심리가 개선됐다. 화장품업종 지수도 전주 대비 9.3% 상승했다.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화장품업종 지수가 전주 대비 상승하고 투자심리도 개선되고 있다”면서 “중국과의 관계 개선 기대감과 순환매, 국내 브랜드 업체들에 대한 경쟁력 재평가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 화장품기업 연도별 중국향 화장품 수출금액 현황 (단위 : 천달러, %)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정부가 코로나19로 미뤄진 올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위한 준비에 본격 돌입했다는 소식에 따른 것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은 이르면 9월, 늦어도 11월에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한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 가능성은 물론 ‘중국 인바운드의 회복’ 시그널로 여겨지면서 화장품 업종에 훈풍을 이끌어냈다. 연도별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액 현황 (단위 : 10억위안) 아울러 전반적인 증시 반등 속에서 소외됐던 업체들에 대한 순환매, 코로나19 타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업체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한 국내 브랜드 업체들의 경쟁력이 재평가를 받으면…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현대백화점그룹이 새로운 성장 기반을 얻기 위한 인수합병(M&A) 카드로 화장품을 택했다. 패션 계열사 한섬을 통해 기능성 화장품 기업인 클린젠을 인수한 데 이어 이번에는 현대HCN을 통해 화장품 원료 회사인 SK바이오랜드를 품에 안았다. 이를 통해 현대백화점그룹은 뷰티&헬스케어 부문으로 외연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핵심사업인 유통, 패션 등과의 시너지를 높여 ‘토탈 라이프 케어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특히 정체된 유통 부문에 활기를 불어넣을 다양한 신사업 전략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 현대HCN 통해 SK바이오랜드 인수 현대백화점그룹은 계열사인 현대HCN을 통해 SKC가 보유한 SK바이오랜드의 지분 27.9%(경영권 포함)를 1,205억 원에 인수한다고 8월 18일 밝혔다. 이와 관련, 현대HCN은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어 ‘SK바이오랜드 주식 인수 계약체결’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 현대백화점그룹이 인수한 SK바이오랜드는 1995년 설립됐으며 2015년 SK 계열사로 편입됐다. 화장품 원료와 건강기능식품, 바이오메디컬 사업이 주력이며 국내에 5개 생산공…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로 고전을 면치 못하던 화장품 주가가 최근 상승세를 보여 업계의 시선을 모으고 있다. 하반기 실적 회복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화장품 업계가 2분기를 저점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증권가의 전망이 줄을 잇고 있다. 8월 11일 화장품, 면세점주 등 중국 대표 소비재 업체들의 주가가 모처럼 상승했다. 화장품 업종 내에서는 LG생활건강을 중심으로 아모레퍼시픽,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브랜드 업체 중심의 주가 상승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특히 화장품 업종 ‘대장주’인 LG생활건강이 주가를 끌어 올렸다. LG생활건강은 장중 한때 전장 대비 10.73% 상승한 160만원까지 오르면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날 LG생활건강은 전 거래일보다 8.86% 오른 157만 3,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아모레퍼시픽(3.6%)과 신세계인터내셔날(3.8%)도 함께 올랐다. 이에 대해 조미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반적인 증시 반등 속에서 소외됐던 업체들에 대한 순환매, 코로나19 바이러스 타격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업체 대비 상대적으로 선방한 국내 브랜드 업체들의 체력 부각, 2분기를 저점으로 하반기 업황과…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 따른 뉴노멀(New Normal, 새로운 표준) 시대가 화장품 업계에도 본격화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등 기업은물론 CJ올리브영, 시코르 등 유통채널들도‘온라인과 모바일’로 활동무대를 빠르게 옮기고 있다. 이미 화장품 유통채널 가운데 ‘블루오션’으로 꼽힐 만한 곳은 온라인과 모바일뿐이라는 점에서 화장품 업계는 차근차근 온라인 시장으로 발을 넓혀오고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이러한 흐름이 가속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직접 오프라인 매장을 찾거나 방문판매 등으로 제품을 구매하던 것이 ‘언택트(비대면)’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화장품 업계의 경우 코로나19로 국가간 이동이 자유롭지 못해지면서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기대던 면세점, 로드샵 매출이 급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브랜드의 온라인과 모바일전략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 생존전략으로 자리잡고 있다. # 몸집 불리는 온라인, 모바일화장품 시장, 가파른 성장세 주목 온라인과 모바일화장품 시장은 최근 몇 년 사이 급속도로 몸집을 키우고 있다. 이미 전체…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국내 화장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화장품 관련 매출 분석, 인기 제품 분석, 유통채널 분석 등 화장품시장 분석데이터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전문업체가 크게 증가하고있다.이러한 화장품 시장 데이터는 인기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여서 시장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뷰티 소비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현재 화장품 관련 판매, 랭킹이나 트렌드 등 마케팅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CJ올리브영, 마켓컬리, 메저차이나, 레페리,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오픈서베이, 올리브영, 이베이코리아(지마켓, 옥션),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홈쇼핑, 화해(가나다 순)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본지는 이들 데이터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전문업체들의 특징을 정리했다. <편집자> # 홈쇼핑, 온라인몰 등 유통채널, 화장품 매출 정보 공개 화장품 브랜드에 ‘자리’를 빌려주는 백화점이나 면세점은 화장품 판매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소극적이지만 홈쇼핑, 온라인몰이나 H&B스토어 등 유통채널은 기간별, 시즌별 화장품 판매 데이터를 발표하고…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신세계인터내셔날이 화장품 제조 사업에서 손을 뗐다. 이탈리아 화장품제조업체 인터코스와의 합작사를 통해 화장품 제조 노하우를 습득한 만큼 앞으로는 브랜드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 신세계인터내셔날,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 지분 전량 매각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 6월 30일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의 보유 지분 50%를 합작파트너인 인터코스에 전량 매각했다고 밝혔다. 매각 금액은 172억 2,250만원이다.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도 7월 7일 신세계인터내셔날이 가지고 있던 자사 지분 50%를 인터코스아시아퍼시픽이 172억 2,250만원에 인수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는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지난 2015년 세계 최대 규모의 색조 전문 화장품 제조업체인 이탈리아 화장품제조업체 인터코스와 50대 50 비율로 공동 출자해 설립한 합작법인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화장품 시장 진출, 인터코스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신세계인터코스코리아의 지분을 전량 매각함에 따라 신세계인터내셔날과 인터코스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됐으나 전략적 제휴 관계는 지속될 전망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바이오 제약기업 메디톡스가 대웅제약과 벌이고 있는 5년 간의 보툴리눔 툭신(보톡스) 균주 분쟁에서 승기를 잡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진행 중인 민·형사소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메디톡스 손 들어준 ITC “대웅제약 ‘나보타’는 불공정경쟁 결과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7월 6일(현지시간) 메디톡스가 대웅제약을 상대로 제기한 보툴리눔 툭신 균주와 제조기술 도용에 대한 예비판결에서 “대웅제약이 메디톡스의 영업비밀을 침해했다”고 판결했다. 이에 대웅제약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미국명 주보)’를 관세법 337조를 위반한 불공정경쟁의 결과물로 보고 10년간 수입 금지명령을 권고했다. 이번 사건은 지난해 1월 메디톡스와 엘러간(현 애브비)이 대웅제약과 에볼루스를 미국 ITC에 제소하면서 시작됐다.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보툴리눔 균주와 보툴리눔 톡신 제제의 제조공정을 담은 기술문서 등을 훔쳐 갔다며 대웅제약과 파트너사 에볼루스를 영업상 비밀침해 혐의로 제소했다. 이번 논란의 핵심인 보툴리눔 균주는 이른바 ‘보톡스’로 불리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의 원료다. 메디톡스는 ‘메디톡신’, 대웅제약은 ‘나…
[코스인코리아닷컴 중국 통신원 송란] 중국 화장품 관련 법규가 30년 만에 대폭 개편됐다. 중국 국무원은 6월 29일 '화장품감독관리조례(化妆品监督管理条例, CSAR)'를 공식 제정, 공포(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령 제727호)했다. 이번 화장품 감독관리 조례는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된다. 내년 1월 1일부터 ‘화장품감독관리조례’가 시행되면 종전 ‘화장품위생감독조례’는 30여년 만에 폐지된다. 이번에 새롭게 공포된화장품감독관리조례는 ▲화장품의 정의 ▲화장품의 분류와 관리 ▲신원료의 정의와 관리 ▲화장품 허가와 등록 ▲화장품 효능 광고 ▲화장품 라벨 표시 ▲치약 및 비누 관리 ▲시행일자와 유예기간 등에서 기존 조례와 비교해서큰 폭으로 개편됐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비안등록자에 대한 개념이 명시됐고 특수화장품이 기존 9개에서 5개로 축소된 반면 특수화장품 허가증은 기존 4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다. 또 치약이 일반화장품으로 전환됐다. 특히 신원료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강화했으며 화장품 효능 광고 기준도 해당 자료를 공개해 사회로부터 감독을 받도록 하는 등 대폭 강화했다. 다만,조례 개정 시행 이전에 허가를 받은 육모, 제모, 가…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 정부의 ‘한한령(限韓令, 중국 내 한류 금지령) 해제’ 기대감에 화장품 관련주가 하루 새 급등락을 보이며 술렁였다. 중국 최대 여행사가 한국 관광상품을 판매한다고 발표하면서 한한령 해제 기대감으로 화장품, 여행 등 관련 주가 급등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 같은 주가 반등은 하루 만에 사그라드는 모습이다. # 중국 최대 여행사 한국 관광상품 판매 소식에 ”한한령 해제?“ ‘한한령 해제’를 둘러싼 관련 주가의 급등락은 한국관광공사의 발표에서 비롯됐다. 한국관광공사는지난 1일 중국 최대 여행사 트립닷컴그룹의 중국 브랜드인 씨트립(携程)과 공동으로 온라인 ‘슈퍼보스 라이브쇼’(Super BOSS Live Show)’를 통해 한국 관광상품 홍보에 나선다고 6월 30일 밝혔다. ‘슈퍼보스 라이브쇼’는 트립닷컴의 공동 창업자 중 한 명인 량젠쟝(梁建章, James Liang) 회장이 진행하는 것으로, 해외 여행 상품을 판매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지난 1일 중국 현지시간 오후 8시부터 약 40분간 진행된 ‘슈퍼보스 라이브쇼’에서는 인터콘티넨탈, 쉐라톤, 신라호텔 등 국내 호텔과 에버랜드, 남이섬, 스키장 등 60여개의 여행상품이…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임블리’, ‘하늘하늘’ 등 SNS 기반 쇼핑몰 업체들이 전자상거래법 위반으로 대거 적발됐다. 상품평이 좋은 후기만 게시판 상단에 노출하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상품 순위를 정한 것처럼 ‘베스트 아이템’ 메뉴를 운영했지만 자체 브랜드 여부와 재고량을 고려해 임의로 순위를 매긴 것이 드러났다.여기에 화장품, 의류 등과 관련해 소비자에게 알려야 하는 정보도 제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공정위, 임블리 등 7개 SNS 기반 쇼핑몰 '시정명령, 과태료' 부과 공정거래위원회는 22일 부건에프엔씨, 하늘하늘, 86프로젝트, 글랜더, 온더플로우, 룩앳민, 린느데몽드 등 SNS 기반 쇼핑몰 7곳에 전자상거래법 위반으로 시정명령과 함께 과태료 총 3,300만원 부과했다고 밝혔다. SNS 기반 쇼핑몰은 인스타그램이나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제품과 쇼핑몰 홍보가 이뤄지는 형태의 쇼핑몰로 SNS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플루언서(influencer)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된다. 부건에프엔씨가 운영하는 ‘임블리’는 유명 인플루언서 임지현(임블리)씨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으며 ‘하…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 브랜드 AHC를 보유한 카버코리아를 1조 원에 매각한 후 화장품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던 이상록 전 카버코리아 회장의 ‘다음’ 행보가 심상치 않다. 1조원 종잣돈으로 부동산 쇼핑에 이어 영화 투자배급에 나서더니 최근에는 연예 매니지먼트사와 패션 이커머스 벤처기업을 인수했다. 패션 이커머스 기업이 자체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연예 매니지먼트사와의 협업을 통해 화장품 시장에 다시 한 번 돌풍을 몰고 올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 AHC 매각 대금 1조 확보 이상록 전 회장, 패밀리오피스 ‘너브’로 전방위 투자 이상록 전 카버코리아 회장은 화장품 업계에서 ‘1조 원 매각 신화’로 유명하다. 지난 2017년 화장품 브랜드 AHC로 유명한 카버코리아를 사모펀드 운용사와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유니레버에 매각해 1조 원을 벌어들였기 때문이다. 카버코리아 매각 후 화장품 사업에서 손을 뗀 이상록 전 회장은 이후 부동산 업계의 ‘큰 손’으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어 개인 자산관리를 위해 설립한 패밀리오피스 너브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며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상록 전 회장은 영화 투자배급사 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