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업 종사자 수 14만명 시대, 미용 산업 규모가 커지며 막연히 헤어미용 영역에 속했던 피부미용, 네일, 메이크업은 최근 고유의 전문성을 인정받으며 특성화 체계를 굳히고 있다. 특히 피부미용이 지난 2008년 국가자격증 신설에 성공한데 이어 네일도 올해 7월부터 국가자격증 시행을 앞두고 있어 분야별 전문화 작업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런칭 당시 위조품이라면 110% 보상이라는 오픈마켓 최초 파격적인 보상을 걸어 큰 화제가 되었던 11번가. 11번가는 2008년 2월 런칭해 연평균 성장률 52%의 높은 성장률을 바탕으로 국내 2위의 오픈마켓 시장으로 도약했다. 이와 같은 성장은 국내 유통업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가파른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11번가의 원년멤버인 김명식 화장품그룹 그룹장을 만나 성장비결과 앞으로의 행보를 들어 봤다.
1990년대 초반 에어리스 펌프를 국내 최초로 개발한 화장품 용기 자재기업 (주)민진(대표 기근서)이 최근 화성시 양감면 소재로 자리를 옮기고 제2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민진이 주도적으로 추진한 화성코스메틱협동화사업단지는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경기도가 지원하는 협동화 사업으로서 중소업체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교육, 문화, 경제, 사회발전과 더불어 각자의 개성이 중요시 되면서 여성들의 패션문화에도 많은 변화가 있으며 그 중 헤어스타일은 그 사람의 인상과 이미지에 75%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헤어스타일의 변화는 미용기술 발전과 더불어 더욱더 과감하게 시도 되고 있다. 그 중 개성과 변화를 가장 손쉽게 표현하기 위해 대부분 가발을 많이 사용한다. 이미 유럽과 북남미 가까이 일본에서도 가발은 패션문화이고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다.
천연오일을 이용한 아로마테라피, 칼라를 이용한 칼라테라피, 인도의 아유르베다 등 자연의 재료를 이용한 미의 추구는 현대사회에서 각광받는 미용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2004년 9월 창립한 (사)한국헤나협회는 헤나교육 개발과 함께 보급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현재 한국헤나협회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세미나를 통해 테크닉 보급과 대회, 작품 전시회를…
취임식에서 선보인 대통령의 의상 색깔, 기업의 이미지와 가치를 형상화한 특정 색깔 등 이제 컬러는 개인을 벗어나 국가, 기업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만드는 주요 코드가 됐다. 2013년 5월 창립한 (사)한국CPI협회는 산업계의 퍼스널 아이덴티티 이미지 구축을 목표로 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단체다.…
국내 메이크업 산업의 시장 규모는 약 1조8000억원으로 추정된다. 또 전체 미용시장의 26%를 약 13만명의 메이크업 전문 종사자가 차지하고 있어 메이크업은 이제 국내 뷰티산업을 이끄는 중심축이 되었다. 하지만 2013년 자격기본법 개정안 실행으로 민간자격증 발급에 발목이 잡히며 메이크업 업계는 국가자격 신설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내 유기농 화장품 시장은 물론 한국의 유기농 화장품을 세계화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소비자들에게 유기농 화장품의 올바른 이해를 도와주는 것 뿐 아니라 화장품 영역에서 만큼은 최고가 되겠다는 콧데 구창섭 유기농천연물연구소장을 만나 유기농 화장품과 회사의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다.…
세계적인 경기 불황 속에도 화장품 업계는 꾸준한 성장으로 국내 산업의 새로운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2012년 화장품법 개정 이후 800여개에서 4000여개로 늘어난 화장품 제조판매업체들은 국내 화장품업계의 희망이자 또 다른 고민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국제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제조판매업자의 급속한 증가로 중소 규모의 기업들이 시장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대한화장품협회 안정림 부회장을 1월 13일 본지 길기우 발행인
국내 유일의 화장품 전문 연구기관으로 세계 수준의 연구기관을 목표로 2014년을 준비하고 있는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신현두 원장을 만나 올해 계획을 들어봤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내수 위주의 화장품 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2010년 7월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화장품 안전성 연구조사와 수출입 정보 제공, 화장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연구개발 등을 수행함으로써 화장품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국민보건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화장품과 달리 90% 이상이 중소기업인 미용 산업은 대기업 중심의 산업 환경, 각종 법규 규제와 내수 시장 침체 등 악재가 맞물리며 어려움을 겪어 왔다. 미용 산업 종사자의 권익 보호와 활동 지원을 목표로 지난 2005년 태동한 (사)한국미용산업협회는 올해 해외 교류 확대를 통한 신성장동력 모색, 교육 사업의 저변 확대, 뷰티산업진흥법 개정 등을 목표로 2014년 회무를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다양한 먹거리가 많은 요즘 소비자들은 항상 좋은 음식,식재료,먹거리를 찾고 건강을 위해서 섭취한다.그 중에서도Food,Biomedical,Beauty 이 세가지를 책임 지는 감자, 이제는 꾸준히 챙겨 먹어서 피부와 건강 다 챙기자. 올해 3000억원 규모로 추정되는 이너뷰티 시장에 다양한 먹는 화장품들이 많지만 감자 자체만 꾸준히 섭취해 피부와 건강을 다 챙길 수 있다. 앞으로는 감자가 미래의 식량,희망의 감자라고 말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