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박상현 기자] "이제 더이상 돈과 꽌시로는 통하지 않습니다. 중국이 각종 제도와 규정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편하고 있습니다. 또 지역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도 필요합니다."
중국은 한국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장이다. 한국 화장품 수출의 대부분이 중국 시장에서 이뤄진다. 최근에는 시장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중국 시장을 무시하고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갈수록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에 대한 애로사항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화장품 시장 현황과 진출 성공전략을 공유하는 세미나가 열려 성황을 이뤘다.
인천테크노파크는 8월 30일 인천 송도컨벤시아 전시장 세미나홀에서 '2019 중국 화장품 시장 현황과 진출 성공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는 가기경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중국 상해지원 지원장과 김훈 라인투비 대표, 김기태 신단주 크리에이티브그룹 이사가 강연자로 나서 중국 화장품 시장 정보와 성공적인 진출 전략를 공유했다.
# 한국 화장품 '인기' 여전하지만, 사드 이전 열풍은 옛말 "바이어 기대감 많이 낮아졌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중국 상해지원 가기경 지원장은 2017년 사드 이전과 이후의 시장 상황에 대해 설명하면서 절대로 사드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가기경 지원장은 "한국 화장품의 중국 시장 진출은 사드 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는데, 사드 이전은 한류열풍으로 한국 화장품을 무작위로 수입하면서 중국 시장에 뿌리던 시기였다"라며, "지금은 한국 화장품 인기는 여전하지만 바이어들의 기대감이 많이 낮아졌다. 소비자 실수요도 줄어서 매출이 감소하거나 시장이 사라져 한국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제는 제도와 규정이 달라졌기 때문에 사드 이전으로는 되돌아갈 수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5단계
가 지원장은 "지금 중국 바이어들은 실수요가 있는 제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특성에 맞는 제품인지를 따지기 시작했다"며, "여기에 맞춰 한국 화장품 기업들도 어떤 소비자를 타깃으로 제품을 만들 것인지, 지역 특성에 어떻게 맞출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중국 시장은 워낙 크고 다양한 옵션이 있기 때문에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만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소비자 중심 실수요 '타깃 제품' 만들고 지역, 기후 특성 맞는 마케팅 실시해야 '가능성'
가 지원장은 중국을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장강삼각주'와 심천, 광저우 등이 있는 '주강삼각주', 청두, 산둥, 베이징의 '환보하이만', 청두와 충칭, 장강 중류지역 등 5대 도시권으로 나누며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강삼각주와 주강삼각주는 시장이 거대하고 이미 전세계 유명 브랜드의 각축장이 되어 있다"며, "아직 브랜드 수준이나 경쟁이 상대적으로 낮은 청두와 충칭, 장강 중류지역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가 지원장은 "현재 중국은 일대일로 정책을 쓰고 있는데 청두와 충칭이 바로 일로의 중심이다. 10%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꾸준히 보이는 지역으로 향후 5년 동안 시장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 지역이다. 소비 수준이 아직 낮아서 저렴한 제품을 많이 원한다"며, "장강중류 지역은 청두와 충칭 이후 10년을 이끌어갈 곳으로 날로 시장에 성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와 함께 가 지원장은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가 지원장은 "중국은 다양한 기후가 있어 소비자 수요도 제각각이다.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요구는 보습에 맞춰져 있다"며, "또 보습은 여름과 겨울도 다르다. 각 지역의 기후와 시기에 맞춘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화장품 인증제도 '무역장벽', 중국 선진화 흐름 뚜렷 관련 규정 준수해야 할 과제
가 지원장은 중국이 더이상 꽌시와 돈으로 공략할 수 있는 시장이 아님을 강조했다. 중국의 인증과 통관 트렌드가 선진국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꽌시와 돈은 이제 처벌대상이라는 것이다.
가 지원장은 "인증이라는 것은 사람이 해외여행을 갈 때 비자와 같은 것이다. 인증은 소비자들이 안전성, 기능성, 효능 측면에서 문제없이 쓸 수 있다고 인정해 주는 것이다"라며, "관세에서 무역장벽은 날로 낮아지는 대신 기술규정이나 표준에 의한 무역장벽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중국이 점점 선진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드 사태 진정이나 꽌시를 기대해선 안된다"고 밝혔다.
한국 기업 중국 화장품 시장 대응 전략
가 지원장은 "현재 중국 인증 조직이 개편되고 일원화되고 있고 기능성이 없는 일반 화장품에 대해서는 등록 간소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수입 비특수화장품에 대해서는 경내책임자를 선임해야 한다. 경내책임자는 유통제품에 문제가 생길 때도 무한책임을 져야 하는 법인이어서 사실상 해당 품목에 대해서는 중국지사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독점권을 가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 한국 직배송 '해외직구' 단속대상 불포함, 보세구 '해외직구' 인증 면제 정책 당분간 지속
가 지원장은 최근 중국의 전자상거래법 개편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그는 "단속 사각지대였던 웨이상, 왕홍을 비롯한 개인판매자와 온라인쇼핑몰과 홈쇼핑 등 판매 플랫폼 모두 사업자 등록을 하고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이 전자상거래법의 기본이다"라며, "한국 화장품을 중국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왕홍이든 웨이상이든 인증을 받아야 한다. 다만 판매 플랫폼을 한국에 만들어 놓고 한국에서 직배송하는 것은 해외직구여서 아직까지 단속 대상이 아니다. 보세구 해외직구 인증 면제 정책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중국화장품시장 인천테크노파크 인증제도 경내책임자 전자상거래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