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감작성시험대체법(h-CLAT)의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화와 그 응용
皮膚感作性試験代替法(h-CLAT)の OECD テストガイドライン化とその応用
h-CLAT:a new OECD test guideline for skin sensitization and its application to the integrated strategy
▲ 그림1 피부감작의 메커니즘과 대응하는 시험법
![]() |
|
최근 안심과 안전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가면서 안전성평가에 관한 기업의 책임이 커져가고 있어 화장품기업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편,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동물실험은 법규적으로도 윤리적으로도 실시가 곤란해졌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이제까지 여러 가지 동물실험대체법(이하 대체법)이 개발됐지만 안전성평가는 사회의 중요한 기반이므로 공적인 검증이 더욱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피부감작성은 화학물질을 직접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품에 있어서의 평가는 피할 수 없는 안전성 항목이므로 많은 화장품 기업이 대체법 개발에 몰두하고 있으며 최근 몇 가지의 대체법이 OECD(경제협력기구)의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에 수록됐다.
여기 본고에서는 가오(주)와 (주)시세이도를 중심으로 하여 일본의 화장품기업이 그 개발에서 공정화(公定化)까지 일관되게 관련한 피부감작성시험 대체법human Cell Line Activation Test(h-CLAT)에 대하여 개요부터 OECD 테스트 가이드라인화까지 폭 넓게 소개한다. 특히 h-CLAT는 개발기업 뿐만이 아니라 많은 기업이 공동으로 글로벌에 적용하는 공정화를 취한 점에서 일본의 화장품산업에 있어서도 대체법 연구에서 하나의 도달점이라고 필자는 생각하고 있으며 그 관점에서도 개발을 되돌아 보고 싶다.
※ 이 기사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에 수록된 기사입니다. 이 기사의 전체 내용은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 2017년 8월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