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정부재 기자] 화장품 기업 CEO 대부분이 경기침체와 사드 등 불확실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화장품 경기전망을 비교적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행 화장품 표시광고 규정이 지나치게 엄격해 화장품 기업 연구개발 의욕을 떨어드리는 만큼 국제기준으로 개정하고 화장품 제조업 신고제로 인한 무분별한 시장진입에 대해서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CEO가 많았다.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서는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에 기여한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고시성분만을 활용한 무분별한 제품 생산으로 기능성 화장품의 하향 평준화를 초래한 만큼 화장품 영역확대 등 제도개선을 시도할 때 라는 지적이다.
특히 올 하반기 '사드' 등 국내외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 증대가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중국 위생허가 규제 완화 등 중국 규제당국과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중소 화장품 기업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코스인이 창간 4주년 특별기획으로 45개 화장품 기업 CEO를 대상으로 지난 7월부터 8월초까지 한달동안 진행한 ‘화장품 기업 CEO 설문조사’ 결과다.
설문조사는 경영, 제도정책, 유통, 해외시장, R&D 등 5개 분야에 걸쳐 23개 단답형, 서술형 질문별로 항목을 세분화해 진행됐다.
설문조사 집계결과 ‘올 하반기 화장품 경기를 어떻게 전망하십니까’라는 질문에 55.6%인 25명의 CEO가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고 ‘다소 좋아진다’라고 답한 CEO는 35.6%로 긍정적 의견이 많았다.
반면 하반기 화장품 경기가 ‘나빠진다’고 생각하는 CEO는 6.1%, ‘확실히 좋아진다’고 응답한 경우는 2.2%에 불과해 CEO 들간 하반기 화장품 경기 전망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하반기 화장품 경기 전망을 낙관하는 이유에 대해 35.6%의 CEO들이 내수침체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관광객 등 방한 외국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면세점 시장이 활기를 띄는 가운데 대중국 화장품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또 국내 화장품 브랜드들이 해외 시장에도 선전하는 가운데 대형 외국자본의 국내 화장품 기업 M&A 등 투자확대와 함께 화장품 산업에 대한 정부의 과감한 정책지원이 지속되는 등 국내 화장품 산업 경쟁력과 인프라가 산업 외적 불확실성을 압도할 것이란 반응이다.
반면 올 하반기 화장품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드 한국 배치로 촉발된 한중 양국간 긴장관계가 중국 한류 컨텐츠 산업과 화장품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란 의견이 많았다. 응답률은 22.2% 수준이다.
하반기 매출전망에 대해서도 CEO 대부분이 비교적 낙관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올 하반기 매출 전망은 어떻습니까’란 질문에 28.9%인 13명의 CEO들이 ‘상반기 보다 많이 좋아진다’고 응답해 상반기에 이미 올해 매출 목표를 달성했거나 신제품 출시 등 공격적 경영으로 불확실성에 대비한 경영전략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어 ‘상반기 보다 약간 좋아진다’고 답한 경우도 무려 47.8%에 달했다. 전체 조사대상 CEO중 무려 66.7%인 30명이 경기침체와 사드 등 불확실한 경제상황에도 하반기 매출 전망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반면 ‘알수 없다’ 또는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CEO는 26.7%, ‘상반기 보다 약간 악화된다’고 답한 경우는 6.7%로 나타나 하반기 매출전망치에 대한 기업간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양상이다.
하반기 매출전망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 화장품 수출액 감소’라고 답한 CEO가 17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37.8%를 차지해 경제 사회적 변수 등 시장상황 변화를 지켜봐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법규와 제도, 정책에 대한 CEO들의 생각은 어떨까? ‘현행 화장품 법규와 제도 중 규제라고 생각하는 부분은 무엇입니까’란 질문에 조사 대상 CEO 45명 중 무려 60%인 25명이 ‘화장품 표시광고 표현 문구 제한으로 인한 연구개발 한계’를 꼽았다.
이어 ‘화장품 제조업 신고제로 인한 무분별한 시장 진입’을 선택한 응답자도 26.7%인 12명에 이른다.
화장품업이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전환된 이후 제약, 유통 등 이종산업체에서 너도나도 화장품 시장에 뛰어들면서 시장 포화에 따른 과당경쟁이 심화되고 이 과정에서 불거진 공격적인 표시광고 마케팅에 따른 정부의 광고업무 정지 등 행정처분에 불만이 표현된 결과로 보인다.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서는 긍정과 부정,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는 모습이다. ‘기능성 화장품 심사제도가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31.3%인 14명의 CEO가 ‘고시 성분을 활용한 무분별한 제품 생산으로 기능성 제품 하향 평준화 초래’라고 응답해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복합하고 까다로운 기능성 심사자료 제출로 인한 민원 발생’을 꼽은 CEO가 15.6%로 2위를 차지했고 ‘서류심사만으로 안전성 유효성 등을 심사평가’하는 것이 문제라고 보는 CEO도 6.7%로 전체 조사대상 CEO의 절반이 넘는 53.6%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능성 화장품 심사제도를 긍정적으로 보는 CEO도 46.6%로 비교적 많았다. 기능성 화장품 심사제도가 ‘화장품 기업 연구개발 의욕을 자극해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고 응답한 CEO는 22.2%로 나타났다.
또 ‘기능성 신원료 등 화장품 원료 산업 발전 리드’라고 답한 경우도 24.4%에 달해 조사대상 CEO 중 절반 가까이가 기능성 화장품이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약처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 ‘식약처에 바라는 정책이 있다면?’이란 질문에는 ‘중국 위생허가 규제 완화 등 해외 기관 교류협력 강화’ 답변이 무려 57.8%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안전과 무관한 불필요한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이 24.4%, ‘화장품 제조업 허가제 등 무분별한 시장 진입 규제’ 6.7%, ‘기능성 화장품 심사서류 간소화’ 4.4%로 조사됐다.
국내 화장품 시장포화에 따른 과당경쟁을 피해 중국 등 해외 시장 진출로 미래의 기업 신성장 동력을 찾으려는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 등 해외시장에 순조롭게 진출할 수 있도록 다빈도 화장품 수출 국가에 대한 법규와 제도, 시장 동향과 트렌드 정보 제공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 대목이다.
상반기 경영성과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모습이다. 올 상반기 매출 실적을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 응답자 중 31.3%가 ‘목표 달성했다“고 답한 가운데 ‘목표의 90% 달성했다’고 응답한 CEO도 20%에 달해 전체 CEO 중 51.3%가 상반기 매출성과에 만족하는 모습이다.
이번 설문조사 참여기업 연간 매출규모는 1조원 이상이 2.2%, 2천억 이상 기업이 4.4%, 1천억 이상 2천억 미만이 2.2%, 800억 이상 1천억 미만 6.7%, 200억 이상 300억 미만 8.9%, 100억원 미만이 11.1%, 50억 미만 51.1% 등이다.
[화장품 CEO 설문조사 참여기업]
국제피앤비, 굿마인드코리아, 나우코스, 네이처리퍼블릭, 다미화학, 다빈홀딩스, 단정바이오, 대봉엘에스, 두웰씨앤아이, 르벨 코스메틱스, 백제홍삼, 보신지케이, 비에스티, 세화피앤씨,솔티패밀리그룹, 스킨아이, 스킨푸드, 씨에이치하모니, 아모레퍼시픽, 아이미스킨랩, 아이원 브라더즈, 앤코스메슈, 엠제이테크, 오앤영코스메틱, 우리무역, 우신화장품, 웰코스, 유쎌, 정동산업, 정진호이팩트, 조이코스, 좋은씨앗, 진코스텍, 참존, 코떼랑,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 콧데, 클럽4070, 태영씨앤피, 하이솔, 한국코스모, 한국화장품제조, 허브패밀리, SK바이오랜드 (이상 45개 업체, 가나다순)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