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사항 제2부 : 샘플링과 제어 분석 제2부에서는 화장품 제조 시 원료 또는 세척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이 미생물학적 품질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생물학적 관리 연구에서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수처리 시스템에서 샘플을 채취해야 한다. 샘플은 공장의 여러 지점에서 샘플 수와 샘플링 빈도 측면에서 결과 이력을 기반으로 정의된 샘플링 계획에 따라 채취해야 한다. 샘플링 지점은 적절한 샘플링이 가능해야 하고 샘플량은 선택한 분석 방법에 충분해야 한다. 샘플의 운송과 보관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며 샘플은 독일 음용수 조례의 방법과 같이 지정된 적절한 방법으로 분석해야 한다. 방법은 박테리아의 수(정량적)를 결정하고 발견된 미생물의 종(정성적)을 식별하고 품질 요구 사항과 관련해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의 제1부 순도 요구사항과 급수 시스템은 본지 2024년 6월호 43~48페이지에 게재됨) 제1부에서는 화장품 생산에서 원료와 세척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품질 요건에 관해 설명했다. 제1부에서는 수처리 시설 건설을 위한 기본 요건도
# 제품의 보존력 강화위한 허들 기술 2부 우리는 다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제품 보존력 효과 최적화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연이어 보고한다. 1부에서는 화장품과 가장 관련성이 높고 좁은 범위 내에서의 pH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1]. 또다기능성 성분을 강화하기 위해 배리어 기술 또는 허들 기술의 개념을 탐구하는 기술 플랫폼인 Symshield®의 일환으로 유기산과의 강력한 조합이 연구됐다. 본 논문에서는 금속이온봉쇄제(chelating agent)와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라는 두 가지 추가 매개변수를 사용한 연구 결과를 보고한다. 현대의 제품 보호(Modern Product Protection)는 종종 논란이 되는 전통적인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미생물 번식으로부터 화장품 제형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수십 년 된 보존제에 대한 규제 압력과 소비자 불신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보존제가 각광을 받고 있다. 다기능성 성분은 제품 보호 강화 뿐아니라 가용화, 에멀젼 안정화, 보습 등 제형이나 소비자에게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하는 성분이다. 이들은 ‘적을수록 더 좋다(less is more)’에 초
# 남아시아인 피부위한 선구적인 비자외선 차단 광방어 활성제 목표 : 인도에 널리 퍼져 있는 남아시아인 피부는 적도 지역의 어두운 톤(dark tone)과 높은 자외선 노출로 인해 태닝에 특히 취약하다. 이러한 피부 타입은 기존의 SPF 크림 이상의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이 필요하다. 폴리페놀이 풍부한 녹차추출물(Polyphenol-enriched green tea extract)인 CamiSooth™는 UVA로 인한 태닝과 UVB로 인한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법 : 용매 추출 공정을 통해 폴리페놀 농축 녹차추출물(CamiSooth™)을 제조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UV 분광법을 사용해 정량화했고 카테킨(catechin)과 에피갈락토카테킨 갈레이트(epigallactocatechin gallate, EGCG) 함량은 RP-HPLC로 정량화했다. 2,2-디페닐 피크릴 히드라질(2,2-diphenyl 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사용해 CamiSooth™의 항산화 잠재력을 평가했다. UVA에 노출된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CamiSooth™의 항태닝 활성을 평가하고 종양
# 천연 SPF 강화와 항산화 보호를 위한 혁신적인 콜로이드 리그닌 성분 비엔나 공과대학교(TU WIEN)와 협력해 Lignovations GmbH는 벌크 리그닌을 콜로이드 리그닌 입자(Colloidal Lignin Particles, CLPs)로 정제하면 자외선 차단 제품의 생체 내(in-vivo) SPF를 최대 50% 또는 22 SPF 포인트 높일 수 있는 화장품 등급의 다기능성 물질이 생성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LignoGuard®는 산화 스트레스를 84%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햇빛 노출은 비타민D 합성, 정신 건강 증진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1]~[3]. 그러나 보호 장치 없이 과도하게 노출되면 일광 화상, 광노화, 잠재적으로 발암과 같은 피부과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2].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4]~[6]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조사 결과 인간의 생식 해부학적 구조에 변화를 일으키고 생태와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12].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와 같은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은 일반적으로 FDA에서 안전하고
# 병 속의 햇살 : 쪽 추출물의 효능을 활용한 광채 피부와 웰빙 강화 지보단(Givaudan)사의 액티브 뷰티(Active Beauty)는 햇빛의 긍정적인 효과를 재현하기 위해 마디풀과의 식물 종인 쪽(Persicaria tinctoria)에서 추출한 성분을 개발했다. 이 혁신적인 추출물은 실제 햇빛에 노출되지 않고도 웰빙을 증진하고 태닝을 촉진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햇빛 노출이 제한되어 비타민D3 수치가 낮아지는 겨울철과 같은 환절기에 발생하는 기분 변화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뒀다. 지보단은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와 멜라닌세포(melanocyte)를 공동 배양한 in vitro(시험관 내) 모델과 ex vivo(생체 외) 모델을 사용해 pro-pigmenting(색소침착) 활성을 평가하는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추출물로 자극한 각질형성세포 배양액에서 베타-엔도르핀과 옥시토신을 정량했다. 쪽 추출물로 수일간 처리한 피부 이식편을 분쇄한 후 비타민D3 생성량을 측정했다. 마지막으로 임상 시험을 통해 추출물이 기분을 좋게 하고 피부 건강을 개선하는 능력을 입증했다. 추출물이 ‘molecular sun(분자 태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 피부자가 관리 : 자연이 생체 모방적으로 피부의 항산화 특성강화하는 방법 산화 과정으로 인한 피부 노화는 잘 알려져 있고 매우 문제가 되는 현상이다. 강력하고 공격적인 산화력을 가진 활성산소(ROS)는 지질, 단백질, DNA와 같은 많은 생물학적 분자와 과정들에 영향을 미치며 세포 사멸(apoptosis) 등을 포함한 구조적 장애를 통해 피부 노화에 크게 영향을 준다. 태양 방사(radiation)와 청색광 방사는 ROS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이 기사에서는 Natura-Tec사의 씨베리 블루(SeaBerry Blue™)가 어떻게 생체 모방적으로 태양과 청색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3]~[5]. 피부는 복잡한 구조를 가진 신진대사가 활발한 조직이다. 외부 보호층인 피부는 특히 환경의 공격과 활성산소에 노출되기 쉽다. 각 피부층은 자체 방어 분자와 시스템을 갖춘 복잡한 내인성 보호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공격에 맞서 싸우게 된다. 피부는 산화 스트레스를 막기 위해 4가지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 생물학적 부위의 안정화(막 구조) • 복구(DNA 복구 효소를 통한 복구) • 예방(ROS 생성 방지) •…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9월호는 지난해 11월 SOFW JOURNAL과 업무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1월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피부를 위한 자가 관리: 자연이 생체 모방적으로 피부의 항산화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 ▲병 속의 햇살: 쪽 추출물의 효능을 활용한 광채 피부와 웰빙 강화 ▲천연 SPF 강화와 항산화 보호를 위한 혁신적인 콜로이드 리그닌 성분 ▲남아시아인 피부를 위한 선구적인 비자외선 차단 광방어 활성제 ▲제품의 보존력 강화를 위한 허들 기술 2부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미생물학적 요구 사항 제2부: 샘플링과 제어 분석 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K-beauty 미국 시장 진출 성공전략 [테마 기획] 올해 상반기 화장품 공개기업 77개사 수출호조 실적개선 ‘뚜렷’ [퍼스널 케어] 1. 피부를 위한 자가 관리 : 자연이 생체 모방적으로 피부의 항산화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 Self-help for the Skin: How Nature Biomimetically Boosts the Skin’s Antioxidant Properties U. Marx, K…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9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지난해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그리고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9월호는 독일의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피부를 위한 자가 관리 : 자연이 생체 모방적으로 피부의 항산화 특성을 강화하는 방법 ▲병 속의 햇살 : 쪽 추출물의 효능을 활용한 광채 피부와 웰빙 강화 ▲천연 SPF 강화와 항산화 보호를 위한 혁신적인 콜로이드 리그닌 성분 ▲남아시아인 피부를 위한 선…
# Chaetomorpha torta의 추출 조건 최적화와추출물항염,미백 효과 본 논문에서는 Chaetomorpha torta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했다. C. torta는 5∼10m 수심의 암반이나 다른 해조류에 착생하는 녹조류이다. 엽체는 짙은 녹색을 띠며길이는 10∼20cm이다. 제주도, 울릉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 해역에 서식하며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미국, 칠레, 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 항염증 활성, 미백 활성을 측정했다. 먼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활성과 함량을 기준으로 어성초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했다. 추출 용매로는 수성 에탄올 혼합물을 사용했다. 그 결과 70% 에탄올로 제조한 C. 토르타 추출물이 최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C. 토르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대한 EC 50은 4.68mg/mL,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에 대한 EC 50은 8.99mg/mL였다.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65mg 갈산/g, 2.93mg 케르세틴/g이었다. 또C. 토르타 추출물의 미백 활성과 항염증 활성은 각각 B16F10 세포와 생 264.7 세포로 조사
# 고초균발효Dendropanax morbiferus 열수추출물천연 보존제,기능성 소재응용연구 본 연구에서는 고초균으로 발효 처리한 황칠나무 열수추출물(FDME)의 항산화, 항염효과 뿐아니라 안전성과 안정성 평가를 통해 천연 보존제와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수행했다. 먼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전자공여능, ABTS + radical 소거능을 측정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tannic acid을 사용해 표준곡선을 작성했으며 FDME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121.2 ± 3.59mg/g으로 확인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을 사용해 표준곡선을 작성했고 FDME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평균 59.8 ± 1.92mg/g으로 확인했다. 발효된 덴드로파낙스 모비페루스 추출물로 처리한 RAW 264.7 세포 FDME에 대한 안전성 평가로 안점막 자극 대체시험법인 BCOP assay를 진행한 결과 혼탁도는 각막의 initial opacity와 final opacity를 이용해 계산했고 FDME를 처치한 각막의 혼탁도는 모든 농도에서 음성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4년 2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4년 2월 공개된 한국 특허는 총 180건으로 전월의 195건에 비교해 15건 감소했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52건으로 전월의 40건에 비해 12건 증가했으며 비율도 28%로 전월의 20%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2024년 2월 한국 특허는 전월에 비해 특허 공개 건수가 다소 감소했으나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4년 2월 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
# 아토피성 피부염 관리코나루스 세미데칸드루스 잎 추출물(CONNAPIC)효능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 발적, 태선화, 피부 감염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이는 필라그린과 같은 유전적 돌연변이와 면역체계 유발 요인을 포함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일반적인 치료법은 피부 수분 유지와 항염증제에 중점을 두지만 부작용이나 효능 부족으로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캄보디아가 원산지인 동남아시아 약용 식물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루스의 잎에서 추출한 옵트바이오의 CONNAPIC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리에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 식물의 전통적인 용도에는 발열 감소가 포함되며 최근 연구에서는 항알러지와 항산화 특성이 강조됐다. 본 연구에서 CONNAPIC의 처리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감소시켜 염증 매개체의 감소를 나타내는 항염증 활성을 나타냈다. 또CONNAPIC은 비만 세포에서 β-hexosaminidase의 방출을 감소시켜 알러지 반응으로 인한 가려움증을 완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ARC 수준을 낮추고 각질형성세포에서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아토피성 피부염의 염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