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탈모인구가 늘어나면서 중국 발모제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탈모증 발병률이 연간 약 15%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향후 중국 발모제품 시장 규모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건강증진교육협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중국 탈모인구는 약 2억 5,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0.8%를 차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남성 탈모인구가 1억 3,000만 명에 달했으며 다이어트, 염색 등의 영향으로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7월 23일 중국 화장품 전문신문 화장품관찰, 핀관왕(hzpgc.com)이 주최한 제10회 중국화장품대회에서 연구개발 트렌드 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핀관왕 덩민(邓敏) 대표가 연구개발 분야 중요 계획인 '신메이옌(新美研)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화장품학회(IFSCC) 전 회장인 Jadir Nunes는 '혁신 시스템', '신계획 전망',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와 관련해 강연을 했다. 치에란그룹(伽蓝) CEO인 류위량(刘玉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7월 23일 중국 화장품 전문신문 화장품관찰, 핀관왕(hzpgc.com)이 주최한 제10회 중국화장품대회에서 색조 트렌드 포럼이 개최됐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각성'이었다. 아모레퍼시픽(상하이) 연구개발유한공사의 연재호 대표, 로레알 차이나 조르지오 아르마니 뷰티, 슈에무라 등에서 대표를 맡았던 얀 안드레아(Yann ANDREA) 등이 강연을 했다. 핀관왕 덩민(邓敏) 대표는 이날 포럼 인사말에서 "메이크업 소비의 급발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7월 22일 중국 화장품 전문신문 화장품관찰, 핀관왕(hzpgc.com)이 주최한 제10회 중국화장품대회에서 란메이 시상식(蓝玫奖, Bluerose Awards)이 실시됐다. 란메이 시상식은 업계에서 디자인, 마케팅, 원료배합, 연구기관 등 전문가로 이뤄진 심사위원단이 산업 혁신 추진, 브랜드 구도를 향상시킨 기업, 업종별 전략적 우위를 갖춘 리더형 기업, 혁신 능력으로 타기업에 모범을 보이고 산업 전반에 창의력을 발휘한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7월 21~23일 중국 화장품 전문신문 화장품관찰, 핀관왕(hzpgc.com)이 주최한 제10회 중국화장품대회가 중국 북경 중국대호텔(中国大饭店)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매년 7월에 개최되는 이 대회는 2008년 1회를 시작으로 올해 10주년을 맞이했으며 화장품 업계의 '다보스 포럼'이라고도 불리는 권위있는 행사다. 높은 수준의 주제를 다루며 업계 리더 등 실력 있는 연사를 초청해 강연을 진행한 결과 1,000여명에 달하
[코스인코리아닷컴 갈렙 유 베트남 통신원] 전세계 화장품 업계의 가격 파괴자인 Miss A가 베트남 afamily에 소개됐다. Miss A는 미국의 Jean Baik이 그녀의 남편인 Kenneth Baik과 함께 2013년 창업한 업체로 온라인을 통해 메이크업, 액서사리 등 미용과 관련된 제품을 1달러에 고객에게 공급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했다. 이러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은 전세계의 제조사와 직접 거래를 유지하고 마케팅과 광고 등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중국은 한국 화장품의 최대 수출시장이다. 중국의 한국 화장품 수입은 6년 연속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최근 2년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한류 문화 수출 등의 영향으로 한국 화장품 수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 매체 대중망(大众网)은 한국 화장품의 거침없는 중국 진출과 더불어 다양한 문제도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동남아시아 통신원 나성민] 한국 뷰티 브랜드 더블유랩(W.Lab)이 싱가포르 런칭 행사를 열어 K-뷰티 팬들의 주목을 받았다. 싱가포르 뷰티 전문 매체 마이팻포켓(Myfatpocket)은 지난 4월에 열린 더블유랩 런칭 이벤트 행사에 많은 싱가포르 뷰티 인플루언서들이 방문해 자리를 빛냈다고 보도했다. 마이팻포켓은 K-팝 팬이 아니더라도 한국 화장품의 우수성과 혁신성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K-뷰티 소비자들에게 더블유랩 브랜드 런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최근 소득 증가, 브랜드 인식 강화 등의 영향으로 중국 화장품 인평균 소비수준이 큰 폭으로 향상됐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해마다 그 규모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화장품 업계 전문가는 "2016~2020년 중국 화장품 업계가 5.05% 속도로 성장할 것이며, 2021년에 이르면 업계(피부보호/모발보호/목욕/메이크업/향수) 규모가 3499억 위안에 달할 것"이라 전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소득상승, 해외 여행 증가 등의 영향으로 빠른 성장을 하게 된 중국 선케어 시장은 화장품 외에 양산, 립 밤 등 제품의 종류도 다양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계절에 관계없이 선케어 제품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향후 유망 미용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중국에서 선케어용품 중 인기 아이템으로 떠오르는 제품은 선스크린(자외선 차단제)이다. 선스크린은 크림 타입, 로션타입, 젤 타입, 스프레이 타입 등으로 나뉘는데 티
[코스인코리아닷컴 전윤상 기자] 7월 18일 중국 현지 언론 무시상중문망(无时尚中文网)에 따르면 샤샤국제가 "회사 소득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홍콩과 마카오 시장 매출액이 2.5%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6월 한국 화장품 열풍이 사그라들고 불안정한 날씨가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샤샤국제는 화장품 매장 샤샤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기간 홍콩과 마카오 시장의 현지 소비자와 중국 본토 소비자의 거래 규모는 연간 기준 각 4.1%와 6.4%가 줄어들었
[코스인코리아닷컴 동남아시아 통신원 나성민] 말레이시아 라이프 스타일 유력 매체 스타투(Star2)가 꼭 알아야 할 말레이시아 립스틱 브랜드 5가지를 소개했다. 스타투가 뽑은 립스틱 브랜드는 트렌디한 컬러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말레이시아 소비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들이다. 말레이시아 인기 5개 립스틱 브랜드들을 정리했다. 니타는 설립자의 이름 아즈니타 아즈만(Aznita Azman)을 본떠 만든 브랜드이다. 말레이시아 전통과 문화유산을 반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