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글로벌 코스메틱 ODMOEM 전문 기업인 그린코스(주)는지난 5일‘칼라민 수중 분산 안정화 기술’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그린코스 관계자는 "이번특허를 통해 칼라민을 기반으로 한 화장료 조성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게 됐다"며 자신있게 소식을 전했다. 피부염과습진 등 다양한 피부 고민에 사용되는 칼라민 원료는뛰어난 피부 진정과보습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수중 유형 제형에서의 사용범위가 한정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그린코스의 특허 기술을 통해 칼라민의 수중 유형 화장료 범위가 확대됐다. 이번 특허의 핵심은 다당류계 점증제인 하이드롤라이즈드스클레로튬검을 사용해고함량의 칼라민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장기 안정성을 확보해다양한 화장품 제형에 칼라민 적용 범위를 확대시킨다는 것이다. 더불어 산뜻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고피부 진정과미백, 피부 톤 개선, 트러블 케어 등 다양한 효과가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코스 관계자는 “이번 특허는연구개발 역량과 혁신을 입증하는 중요한 성과이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해고객들의 다양한 니…
[코스인코리아닷컴 임종세 기자]제1회 일본화장품기술자회(SCCJ) 학술대회가 2023년 12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일본 오미야 소닉시티에서 개최됐다. 지금까지는 연 2회 연구토론회를 개최했으나 2023년부터 이를 통합해 연 1회 개최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대회는 직접 참관과 온라인을 병행해 진행됐으며 총 36편의 구두 발표와 61편의 포스터 발표 그리고 IFSCC에서 발표된 51편의 포스터 전시, 4편의 기조강연과 초청강연, 2편의 SCCJ 저널 최우수 논문 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이번 학술대회 동안 화장품원료업체 45개가 참여해 전시회도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의 최우수 발표상은 구두 발표에서는 가오의 Shunsuke Nakamura 연구원이 ‘SSL-RNA를 활용한 새로운 피부 분류 지표 개발’로 수상했으며 포스터 발표에서는 시세이도의 Yohei Takahashi 연구원이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각질층의 유연성’으로 수상했다. 본지는 2024년 1월호와 2월호에 학술대회 구두 발표 등 주요 내용을 요약해 소개한다. # 구두 발표 내용 요약 구두 발표 A-1 민감성 피부의 각질층 세라마이드 프로파일에 대한 유사 세라마이드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3년 8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3년 8월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220건으로 전월의 230건에 비해 10건 정도 감소했다. 이 가운데 해외특허는 76건으로 전월의 54건에 비해 22건 이상 크게 늘었으며비율도 35%로전월의 23%에 비해 10% 이상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2023년 8월한국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건수는 약간 감소했으나 해외특허가 차지하는 건수와 비율은 큰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23년 8월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유제근 전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교수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1984년 건국대학교 미생물공학과 공학석사(발효생산), 1993년 독일 괴팅겐대학교 생물학과 이학박사(미생물학), 1987년~1993년독일 괴팅겐대학교미생물학연구소 연구조교, 1994년~1997년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발효시스템RU 객원선임, 1997년~1999년(주)동부한농화학 식물유전공학연구소 과장, 1999년~2012년(주)넥스젠바이오텍 중앙연구소 부사장, 2013년~2014년(주)필코리아테크놀로지 기업부설연구소 연구소장, 2014년~2023년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과학과 교수, 2001년~2003년 식품의약품안전청 GMO검사법위원회 연구위원, 2006년~2008년 농촌진흥청 중앙농업산학협동심의회 전문위원…
조완구(사)대한화장품학회(SCSK) 명예회장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이학사, 1992년 충북대학교 화학과 이학석사(유기 및 생화학 전공), 1998년 University of Hull(영국), 이학박사(물리화학 전공), 2022년~현재 (사)대한화장품학회(SCSK) 명예회장, 2020년~현재 피부과학응용소재사업단 운영위원, 2020년~현재 환경부 포장재 재질∙구조 검토위원, 2014년~현재 (재)남원시화장품지원센터 이사, 2021년~현재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산업학과 박사과정 출강 * 경력 : 1980년~1984년 아모레퍼시픽 연구원, 선임연구원, 1984년~2006년 LG생활건강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위원, 연구소장(상무), 2006년~2019년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바이오기능성식품학과 부교수, 교수, 2010년~2014년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심의위원회 전문위원, 2010년~2018년 글로벌코스메틱사업단 기술자문위원, 2019년~2021년 (사)대한화장품학회(SCSK) 회장…
#NICT 투과 물질과 결합된 FGF2, EGF 성장인자, Type A Light chain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BTX)의 피부, 세포 투과 능력 검증과 효능 평가 본 연구는 네오리젠바이오텍이 개발한 혁신적인 NICT 투과기술과 그 응용에 대해 고찰한다. 네오리젠바이오텍은 양친매성 Natural Cyclic CPP를 기반으로 하는 NICT Platform 기술을 통해 세포막과의 결합 능력을 강화하고 투과 효율을 높여 다양한 치료 물질을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 기술은 단백질, 플라스미드 DNA, RNA, 리포좀, 그리고 항암제 등의 물질 전달에 있어 타사 보유 물질 대비 단위 세포당 유입되는 분자 수에서 월등한 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뛰어난 투과 능력은 치료제와 화장품 분야의 다양한 unmet needs에 대응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의 중점은 네오리젠바이오텍이 INCI에 등재한 혁신적 성분인 NR-FGF2, NR-EGF, 그리고 NR-보툴리늄 톡신(BTX)의 효과와 기능에 있다. EGF, FGF2와 같은 성장인자들은 세포 외막에 존재하는 특이적 수용체(receptor)와 상호작용해 세포 내 신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성분지보단 액티브 뷰티 포트폴리오 지보단 액티브 뷰티는 microbiomics(마이크로바이옴학) 분야에서의 다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skin microbita(피부 미생물군)을 활성화, 보호 또는 균형을 유지하는 활성 화장품 성분 개발을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지보단은 이를 위해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과 소비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계속 도입하고자 한다. 지보단의 최신 제품에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이상적인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성분들이 포함돼 있으며 지속가능하게 생산되고 Green Fractionation(녹색 분획) 또는 white biotechnolgy(백색 생명 공학기술)로 만들어졌다. 여기에는 강력하고 지속가능한 히알루론산 PrimalHyal™ Hydra[+], 피지 조절을 위한 Mangixyl™, 지속가능한 원료에서 추출한 천연 유화제 Xyliance™가 포함된다. 이 포트폴리오는 지속가능한 기술을 통해 스킨케어를 발전시키며 피부의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혁신적 뷰티 솔루션을 촉진하려는 지보단의 노력을 반영한다. 표1 식물성 오일과 실리콘을 유화시키는 능력 지보단의 혁신
#제품보존력 강화위한 허들 기술 1부 Symshield®는장벽(차단) 기술 또는 허들(장애물) 기술이라고도 하며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여러가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요소를 결합하는 것이다. 이 체계적인 접근 방식은 화장품 제형의 미생물학적 제품 보존 시스템을 강화해 장기적인 제품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하므로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됐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다기능 성분은 종종 보존제 또는 기타 항균 강화제와 함께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제품 보존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유기산,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등 화학 성분이 이러한 조합에서 장벽으로 사용되지만 물리적 매개변수의 잠재적인 유익한 효과를 간과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광범위한 접근 방식은 보다 강력한 제품 보존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제형에서 기존 항균 화합물의 필요 사용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시리즈에서는 제품 보존 강화제로 알려진 다기능 화장품 성분의 항균 제품 보존 효과를 pH, 수분 활성도, 유기산, 킬레이트제 등과 같은 추가 장벽들과 결합해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입증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시리즈의 첫 번째 파트에서는 pH와 유기산의 효과
#미세전류장치서 영감얻은 차세대 얼굴 인식 기술 변화하는 세상에서 기술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개인 맞춤형, 편의성, 가정용 솔루션을 제공하는 성능 중심의 피부 도구나 기기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높은 비용과 피부 손상, 자극, 따끔거림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소비자에게 단점 또는 높은 진입장벽이 될 수 있으며 소비자는 효율 적이고 부드러운 방법으로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더욱 편리한 국소 대체제를 찾게 될 것이다. 미세 전류 장치는 낮은 전기 신호(1000μA 미만)를 사용해 얼굴 처짐, 주름과 같은 노화 징후에 대응하며 인상적인 결과를 제공한다. 조직 수준에서 피부 세포는 피부의 여러 층에서 미세 전류에 반응하며 진피에서 미세 전류는 세포외 기질 생성과 진피의 수축 능력을 향상시키고 근육층에서는 안면 근육의 토닝 상태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전체적으로 미세 전류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얼굴 처짐에 대응한다. 진피층과 근육층 모두에서 미세 전류로 유도되는 메커니즘의 중심에는 섬유아세포가 수축 능력이 더 높은 세포 유형인 근섬유아 세포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RNA 결합 단백질인 MBNL1이 있다. 또미세…
# 지속가능한 혁신실현: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 AURIST AGC가 헤어케어와 바디워시용도혁신방법 기후 변화로 인한 소비자와 규제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지속가능한 소재의 중요성이 커지고 천연 또는 바이오 기반 성분이 시장에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효능이다. 성분을 조사하는 소비자들은 제품의 효능을 더 잘 이해하고자 한다. 제품 성능은 재구매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생명공학적으로 개발된 성분은 소비자에게 향상된 제품 성능과 원하는 지속가능성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는 강력한 설명 도구를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IFF사의 설계된 효소 바이오폴리머(Designed Enzymatic Biopolymer, DEB) 기술로 구현된 수상 경력에 빛나는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인 AURIST™ AGC가 바이오 기반이며 쉽게 생분해 되는 동시에 어떻게 다양한 제품 형태에 컨디셔닝과 감각 변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명한다. 표1 AURIST™ AGC 모발 빗질 용이성 테스트에 사용된 모델 샴푸 제형 과학과 미용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소비자들은 제품 성능에 대한 검증을 위해 과학에 더 많이 의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핵심 퍼스널 케어 산업은 물론 광범위한 화학 산업은 지속가능한 관행을 채택하고 탄소 발자국을 줄여야 하는 시급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제품 탄소 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s, PCF)의 계산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ASF(바스프)사는 PCF를 계산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알고리즘 기반 솔루션을 구현해 대부분의 제품 포트폴리오의 탄소 발자국을 제공한다. 환경 보호에 대한 시급한 필요성으로 인해 전 세계 정부는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더 엄격한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1]. 오늘날 퍼스널 케어 업계의 많은 기업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 배출 량을 줄이기 위해 야심찬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소비자들이 퍼스널 케어 제품을 선택할 때 점점 더 기후 친화성을 우선 시하고 있다는 사실에 힘입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2]. 매일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고 기업들은 원료 물질과 성분을 얻기 위해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기에 환경 영향을 측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표준을 설정하는 것도 퍼스널 케어 업계가 직면한 과제이다. 각 제품마다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월호는 지난해 11월 SOFW JOUNAL과 업무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1월부터 SOFW JOUNAL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한다.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의 핵심 ▲지속가능한 혁신의 실현 :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 AURIST AGC가 헤어케어와 바디워시의 용도를 혁신하는 방법 ▲미세 전류 장치에서 영감을 얻은 차세대 얼굴 인식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친화적 성분과 함께 성장하는 지보단 액티브 뷰티 포트폴리오 ▲제품의 보존력 강화를 위한 허들 기술 1부 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당신의 브랜드는 미래를 위한 대비가 되어 있는가? [테마기획] 2024년 국내외 화장품 연구개발(R&D) 트렌드 이슈 설문조사 [퍼스널케어] 1. 제품 탄소 발자국 : 효과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의 핵심 Product Carbon Footprint: A Key to Effective Sustainability Strategies 비앙카 실리그 박사, 얀 쇼네붐 박사 2. 지속가능한 혁신의 실현 : 컨디셔닝 바이오폴리머 AURIST AGC가 헤어케어와 바디워시의 용도를 혁신하는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