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0 (금)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7.2℃
  • 맑음서울 14.0℃
  • 구름조금대전 14.9℃
  • 맑음대구 17.1℃
  • 맑음울산 16.9℃
  • 구름조금광주 15.7℃
  • 맑음부산 18.3℃
  • 맑음고창 13.9℃
  • 구름많음제주 18.6℃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3.9℃
  • 맑음금산 14.1℃
  • -강진군 16.9℃
  • 맑음경주시 17.7℃
  • 맑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2023년 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

1월 192건 특허정보 공개, 해외특허 64건 공개 '복합효능, 발모육모탈모방지, 구강케어' 분야 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3년 1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3년 1월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92건으로 전월의 171건에 비해 21건 증가한 특허건수를 보였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64건으로서 전월의 32건보다 32건이 증가해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그 비율은 33%를 나타내 전월의 19%에 비해 매우 커졌으며 최근 들어 가장 높은 해외 특허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2023년 1월의 한국 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건 수가 소폭 증가했으며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비율은 크게 상승했다. 2023년 1월 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복합효능’, ‘발모육모탈모방지’, ‘구강케어’ 분야가 각 12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 건수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보습’ 분야가 10건, ‘항염증’, ‘마스크팩’ 분야가 각 9건,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세정제’ 분야가 각 8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이어서 ‘자외선 차단’, ‘피부 개선’, ‘유화물’ 분야가 각 7건의 공개건수를 보였고 ‘항균제’, ‘염모, 탈색’ 분야가 각 6건, ‘피부미백’, ‘항오염, 방진 화장 품’ 분야가 각 5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전월에 중위권에 있던 ‘복합효능’, ‘발모육모탈모방지’, ‘구강케어’ 분야가 상위권을 차지했고 전월에 상위권에 있던 ‘항염증’, ‘항노화, 항산 화’, ‘피부 미백’ 분야는 중위권 또는 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또 ‘보습’, ‘마스크팩’ 분야도 전월의 하위권에서 이번 달에는 중위권으로 올라왔다.

 

내용적으로 살펴보면 ‘피부 미백’ 분야에서는 소듐 피루베이트, 삼백초흰잎추출물,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보습’ 분야에서는 개소시랑개비추출물, 섬쑥 부쟁이추출물, 발효돌콩추출물, 쇠뿔석위추출물, 원추리추출물, 속새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8중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수딩 앰플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도 공개됐다.

 

‘주름개선’ 분야에서는 호장근뿌리추출물, 오크라발 아삼출물, 민들레씨발아추출물, 남극메켈빙어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키토산-콜라겐 고분자 복합체, 효모 유래 세포외소포 용해물 특허도 발표됐다. ‘자외선 차단’ 분야에서는 SPF 부스팅용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고 ‘항노화, 항산화’ 분야에서는 해조류 추출물, 산달로레가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메이크업 화장료 항산화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항오염, 방진 화장품’ 분야에서는 유효성분으로 오미자추출물, 애기땅빈대추출물, 바나나껍질추출물, 멸가치추출물이 보고됐고 ‘복합 효능’ 분야에서도 금화규 발효물, 피트 추출물, 누에고치 유래 세리신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햄프 줄기 발효 추출물, 귀리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발표됐다.

 

‘항염증, 아토피성’ 분야에서는 참죽나무 추출물, 토란 추출물 등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메틸설포닐메탄, Alkamide, 실리디아닌,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유효 화합물로서 공개됐다. ‘항균제’ 분야에서는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과 생물막 형성 억제용 조성물, 항균 기능성 로션 조성물 등의 특허가 발표됐다.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인삼 가공물 특허와 진세노사이드 함량과 성장을 증대시키는 새싹삼의 수경재배방법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신규 균주로서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균주의 용도특허와 남극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엑소좀의 생산방법 특허와 리그난 포접 리포좀의 제조방법 특허도 공개됐으며 화장품용 캡슐의 제조방법, 수용성 마이 크로 입자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피부 개선’ 분야에서는 천연 옹기발효 복합물, 한방 생약 추출물, 발효 두유, 고상 발효 앉은뱅이밀 누룩의 발효 추출물, 2-phloroeckol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다. 비제이바이오켐에서 항균과 보존제 조성물 특허 3건을 공개했으며 pH와 이온 응답성 큐빅상 다공성 구조체 특허와 표면 개질된 레티노이드 담지 다공성 실리카에 관한 특허도 발표됐다.

 

‘발모육모탈모방지’ 분야에서는 하이드란제놀, 중대가리풀 유래의 추출물, 연자육과 쇠비름 복합추출물, 토사자, 괴화와 맥문동 복합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보고됐고 천연재료에서 추출한 발모제, 모낭치료 미라클 발모제, 산소 기체 서방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 특허도 발표됐다. ‘모발 화장료’ 분야에서는 실리콘-프리의 모발 개선용 화장료,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모발 발색용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고 ‘염모, 탈색’ 분야에서는 쑥 또는 다시마 포함 분말 염모제, 에멀젼 방법을 이용한 모발 염색용 조성물,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 특허가 발표됐다.

 

‘세정제’ 분야에서는 우뭇가사리 추출물과 귤피 추출 물을 함유하는 비누, 기능성 유색 세정제, 펄프층으로 보호되는 클렌징 시트에 관한 특허가 발표됐다. 또 듀얼(아이라이너, 리무버) 각도 조절 아이라이너 특허, 파운 데이션 겸용 컨실러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마스크 팩’ 분야에서는 하이드록시에틸우레아를 함유해 즉각적인 피부 리프팅과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누룩 듀얼 마스크팩, 벨벳 콜라겐 마스크 시트, 다층 구조의 피부미용 패치, 클레이 팩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이종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구획 형성된 마스크 팩, 개선된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약산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특허와 통기성을 갖는 스포츠 패치에 관한 특허,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으며 ‘구강 케어’ 분야에서는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참나물 추출물, 쑥갓 추출물, 돌콩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특허 4건을 발표됐다.

 

치아 미백용 나노 에멀젼 조성물, 배박 효소 처리 물을 포함하는 치약 연마재 조성물, 솔잎 추출물과 식이 유황을 이용한 기능성 치약 조성물, 히노키티올을 함유 하는 구강용 조성물, 레시틴 효소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건강 소재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한편, 2023년 1월 공개된 해외 특허는 총 64건으로 일본과 미국이 각 14건으로 가장 많은 특허를 공개했으며 이어서 프랑스가 13건, 중국과 독일이 각 4건의 특허를 공개했고 이스라엘 3건, 스웨덴과 덴마크 각 2건, 이외의 나라들은 모두 1건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외 특허내용을 살펴보면 일본에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표면 개질 산화아연 입자에 관한 특허 2건이 보고됐고 NR 또는 NMN과 세사민류를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특허 1건과 사용감이 개선된 화장료 특허 1건, 그리고 유화 조성물 특허 3건이 발표됐다.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특허, 에어로졸 스프레이 모발 화장료 특허, 세정 조성물에 관한 특허가 발표됐고 미용용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 관한 특허와 페이스 마스크와 시트상 기재에 관한 특허와 피부용 점착 시트 특허, 그리고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특허도 공개됐다.

 

미국에서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광안정화 화합물 특허와 선스크린 화장품용 조성물 특허기 발표됐고 바이오 기반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의 제조법 특허와 새로운 캡슐화된 화장료 조성물, 무수실키 화장품, 단백질 매트릭스 배합 스킨케어 제품, 전단-박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특허가 보고됐다. 필름 형성제로서 특정 폴리 락트산 수지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허와 유전자 형질도입에 의한 눈 색깔 변화에 관한 특허, 피부질환의 미생물 치료를 위한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프랑스에서는 쉘-프리 안정한 분산액, 비혼화성 유상을 포함하는 다상 화장품 조성물, 전분과 검에 기반한 유화와 텍스처화 조성물에 관한 특허와 화장 조성물을 위한 바이오-기반 수지의 제조방법, 에스테르 에스톨라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또 로레알에서 불포화 탄화수소계 사슬을 갖는 폴리 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공중합체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특허 2건과 특정 헤테로시클릭 염을 포함하는 케라틴 섬유의 동시 탈색과 염색을 위한 조성물 특허 2건을 발표했다.

 

커플링된 테르펜 컨쥬게이트에 관한 특허와 2,5-디 포르밀푸란이 풍부한 모링가 페레그리나 종자 추출물 특허, 그리고 니아신아미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서 광을 조사하는 통합 방식에 의한 미용 치료 방법에 관한 특허도 공개됐다. 독일에서는 마이 크로-미립자 유기 UV 흡수제, 친수성 유기폴리실록산 겔의 제조방법, Cys-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피부 에서 나노입자의 오염제거를 위한 제품과 공정에 관한 특허가 발표됐다.

 

중국에서는 전통 한약 조성물, 포밍 메이크업 리무버, 항 광노화, 진정과 쿨링 효과를 가지는 발효 조성물 특허가 공개됐다. 캐놀라 추출물을 사용한 피부의 미백(캐나다), 주름 개선을 위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에 기초한 조성물(스위스), 드래그라인 스파이더 실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스라엘), 단층 리포좀에서 친수성 화합 물의 고효율 캡슐화(폴란드),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방부제(영국), 모낭으로 생물활성제를 전달하기 위한 조성물(이스라엘)에 관한 특허가 공개됐다.

 

# 피부미백

 

22. 삼백초흰잎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공 개번호 : 10-2023-0009735, 코스맥스(주), 2023.1.17) https://doi.org/10.8080/1020210090492

 

이 발명은 삼백초(Asian lizard's tail, Saururus chinensis)흰잎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삼백초흰잎추출물은 삼백초초록잎추출물에 비해 멜라닌 생성, 분비 억제 효능과 피부 색소 침착 억제 효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삼백초흰잎추 출물과 삼백초초록잎추출물의 LC-QTOF-MS 분석 결과, 삼백초초록잎보다 흰잎에 더 많이 함유돼 있다고 보이는 4개의 피크는 모두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로 예상됐으며 그 중, 2개의 주요 피크는 퀘르시트린과 아프젤린으로 확인됐다(그림1~3, 표1, 실험예 1).

 

삼백초흰잎과 초록잎추출물, 그리고 지표성분인 퀘르시트린의 멜라노마 세포에서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능을 측정한 결과, 삼백초흰잎과 초록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α-MSH로 인해 증가된 단위 세포당 멜라닌 생성율과 분비율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삼백초흰잎에탄올추출물이 초록 잎에탄올추출물보다 멜라닌 생성과 분비 저해 효능이 뛰어났다. 또 지표성분인 퀘르시트린도 멜라닌 생합 성과 분비 저해에 의한 미백 효능을 나타냈다. 한편,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감소 효과가 더욱 우수했다(표5~8, 그림7~10, 실험예 4).

 

그림1 삼백초흰잎추출물과 삼백초초록잎추출물의 LC-QTOF-MS 분석 결과

 

 

# 주름개선

 

105.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 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3-001047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외, 2023.1.19)https://doi.org/10.8080/1020210091068

 

이 발명은 남극 메켈 빙어(Champsocephalus gunnari, CG)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Notothenia rossii, N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콜라겐 생합성 증대 효과와 MMP-1 저해 활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주름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남극 어류에서 유래한 천연 소재이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해 제형화할 수도 있으며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유효성분의 용해도와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기대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남극어류 추출물을 제조해 주름 개선 효과로서 MMP-1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UVB를 처리하면 MMP-1이 현저히 증대됐으나 8종류의 남극 어류 추출물로 처리하면 유의미하게 감소됐다(그림1, 표2, 실험예 1).

 

또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UVB로 처리하면 PIP(Procollagen type-IC peptide)양이 현저히 감소됐으나 8종류의 남극 어류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 추출물 5(NR피부), 추출물 7(NR간)와 추출물 8(NR위)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유의미하게 PIP 양이 증가했다(그림2, 표3, 실험예 1). 또 상기 남극 어류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그림3~4, 실험예 2)와 함유된 지방산 종류도 분석했다(표4, 실험예 3).

 

그림1 본 발명의 남극 어류 추출물(25 μ g/ml)의 MMP-1 저해 활성

 

 

 

# 신규 균주

 

178. 남극 미생물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3-0003710, (주)라비오, 2023.1.6) https://doi.org/10.8080/1020210084867

 

이 발명은 슈도지마 안타티카(Pseudozyma antarctica) 균주(수탁번호 : KCTC 14550BP), 이의 발효액, 파쇄액, 추출액 또는 배양액과 슈도알테로모나스 뉴스토니카 (Pseudoalteromonas neustonica) 균주(수탁번호 : KCTC 14549BP), 이의 발효액, 파쇄액, 추출액 또는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국내의 한 지역(지리산 얼음골)에서 수득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남극에서 유래한 슈도지마 안타티카 균주와 슈도알테로모나스 뉴스토니카 균주임을 확인했으며 종래의 남극 미생물과 비교해 더욱 우수한 피부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했다.

 

상기 두 균주를 분리, 동정한 후, 배양액과 추출액을 제조해 멜라닌 생성량을 평가한 결과, 상기 두 균주의 배양액 또는 추출액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6은 단일 균주 배양액 또는 추출액보다 효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했다. 또 단일 균주 간을 비교해도 본 발명의 균주 배양액이나 추출액(비교예 1~4)은 종래의 남극 미생물 배양액 또는 추출액(비교예 5~8)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우수했다(표2, 실험예 1).

 

피부 보습 활성 평가 결과도 멜라닌 생성 억제능의 평가 결과와 비슷했다(표3, 실험예 2).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피부톤 개선 활성을 평가한 결과, 실시예 5의 시료를 사용한 시험 부위는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피부 밝기가 증가했다(표4, 실험예 3).

 

# 방부, 보존제

 

147. 항균와 보존제 조성물 (공개번호 : 10-2023-0004973, (주)비제이바이오켐, 2023.1.9) https://doi.org/10.8080/1020210084966

 

이 발명은 의류나 접시, 주거공간의 세정 또는 발향 제품, 물티슈,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물을 함유하는 제품들에 있어 부패를 방지하고 물성을 보존하는 목적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위생용품, 생활화학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용 조성 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 되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 유해성, 피부 자극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면서 항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비교예 그리고 제조예 조성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항균용 조성물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각각의 생활화 학제품 조성물에 대해 세균, 사상균, 효모 각각에 대한 항균 시험을 수행한 결과, 표1~8과 같이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한 화장품, 위생용품, 생활화학제품 조성물들은 세균, 사상균, 효모를 효과적으로 제어했다(실험예).

 

# 약물전달

 

11. 표면 개질된 레티노이드 담지 다공성 실리카 (공개번호 : 10-2023-0001874, (주)엘지생활건강, 2023.1.5) https://doi.org/10.8080/1020210084952

 

이 발명은 폴리에톡실화된 형태의 레티노이드를 다공성 실리카에 담지한 후,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레티노이드의 담지 효율을 높이고 서방성 방출 효율을 개선해 안정성과 안전성이 개선된 기능성 화장 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레티노이드의 방출 거동은 O/W 제형에 본 발명의 표면 개질된 레티노이드 담지 다공성 실리카와 다공성실리 카에 담지하지 않은 레티노이드를 프란쯔 확산셀을 이용해 비교했다. 그 결과, 25℃와 40℃에서 표면 개질된 레티노이드 담지 다공성 실리카 파우더 적용 제형은 16주에서도 안정했으며(표4, 실험예 2) 실란계 화합물의 농도 의존 적으로 레티노이드 용출량이 감소해 레티노이드를 서서히 용출시킴으로써 서방형 제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했다(표5~7, 그림3~4, 실험예 3).

 

레티노이드의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해 표면 개질된 레티노이드 담지 다공성 실리카 파우더의 HET-CAM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다공성 실리카 담지와 표면 개질된 실시예3 샘플의 자극 지수가 비교예1의 자극 지수대비 낮음을 확인했다(표8, 실험예 4). 소비자 품평을 통해 자극 지수를 확인한 결과, 비교예5와 실시예4 둘 다 2점 이하로 자극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5, 실험예 4).

 

그림1 표면 개질된 레티노이드 담지 다공성 실리카의 제조공정

 

 

# 소포체, 엑소좀

 

192.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엑소좀의 생산방법 (공개번호 : 10-2023-0000614, ㈜퓨젠바이오, 2023.1.3) https://doi.org/10.8080/1020210082926

 

이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 균사체에 의해 생성되는 엑소좀 또는 세포외 소포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세포 활성을 증진시키므로 기능성 건강식품, 피부보호용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균사체 배양과 엑소좀 생산단계는 (a)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단계, (b) 세포좀(엔 도좀) 생성단계, (c) 세포좀(엑소좀) 분비단계, 엑소좀의 분리와 정제단계는 (a) 배양액 분산단계, (b) 배양액 원심분리단계, (c) 엑소좀 필터링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로부터 배출된 엑소좀 시료와 UF 필터링 전(엑소좀 포함)과 필터링 후 배양 액(엑소좀 미포함) 시료의 항산화 능력을 조사한 결과, 엑소좀을 함유한 시료와 함유하지 않은 시료 모두 저농도 구간(0.25x)에서 1μg/mL ascorbic acid에 비해약 57% 높은 항산화율을 나타냈으며(그림4) 면역세포 (RAW 264.7 macrophage) 활성효과를 비교한 결과, 엑소좀을 함유한 시료가 함유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약 27% 증진된 면역 활성율을 나타냈다(그림5).

 

또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유래 엑소좀 시료의 자외선B에 의한 세포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시료(필터 전, 후)를 0.5, 1, 5mg/mL로 전처리한 후, UVB 를 20mJ/cm2를 조사 시, 69.4%의 생존율을 보여 엑소좀 함유 시료 처리의 경우, 모든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을 보호하는 결과를 보였다(약 15%)(그림6 (a)).

 

반면, UF 필터링에 의해 엑소좀이 제거된 시료로 전처리한 그룹의 세포생존율은 57.7~59.3%로 UVB 단독 조사 군보다 다소 낮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엑소 좀을 함유하지 않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은 UVB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 보호 효과가 없음을 확인했다(그림6 (b)).

 

그림2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로부터 배출된 엑소좀이 포함된 배양액의 0.45 μ m 필터링 전후 시료 사진(왼쪽)과 필터링 후 수득한 엑소좀이 포함된 시료의 현미경 사진(오른쪽)

 

 

# 발림성, 사용감

 

45. 화장료 (공개번호 : 10-2023-001534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일본), 2023.1.31) https://doi.org/10.8080/1020227040663

 

이 발명은 일반식(1)로 표시되고 비점이 205~255℃의 범위에 있으며 점도가 5mm 2 /s(25℃) 미만인 오가노 실록산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는 가벼운 감촉이며 발림이 좋고 발수성이 우수하며 화장막이 균일하고 유성감이 강하게 느껴지지 않아 양호한 사용감을 달성할 수 있으며 실리콘, 탄화수소유와 에스테르 등의 각종 유제, 유기자외선흡수제, 혹은 25℃에서 고체상인 유성 성분을 배합한 경우에도 우수한 경시안정성과 화장 지속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오가노실록산인 3,5-디에틸-1,1,1,3,5,7, 7,7-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을 제조한 후(제조예1), 제조예1의 오가노실록산과 기타 오가노실록산의 유기자외 선흡수제와의 용해성을 평가한 결과, 제조예1의 오가노 실록산은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운데카메틸펜타실록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데카메틸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헥사실록산에 비해 메톡시계피산에틸헥실의 용해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표1). 제조예1의 오가노실록산과 기타 오가노실록산의 25℃에서 고체인 유성 성분의 용해성과 결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본 발명의 오가노실록산은 어떠한 고체의 유성 성분도 양호하게 용해시켰다(표2).

 

# 발모, 육모, 탈모방지

 

31. 산소 기체 서방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공개번호 : 10-2023-0000400, ㈜아모레퍼시픽 외, 2023.1.2) https://doi.org/10.8080/1020210179674

 

이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상기 수상부에 분산되고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로 이루어지는 유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산소 기체를 포함하며 서방형으로 방출되는 산소 기체 서방형 나노 에멀젼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구에 공급되는 산소 기체의 양과 방출 시간을 증가시켜 탈모를 방지하거나 육모를 촉진할수 있다. 산소 서방성 나노입자의 제조에 있어 주 계면활성제와 보조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함량비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크기(시험예 1~2)와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의 함량에 따른 나노에멀젼 조성물의 산소 봉입률과 산소 방출도를 평가했다(시험예 3~4).

 

또 세포 성장성을 평가한 결과, 모유두 세포의 성장에 있어 혈청의 유무에 비해 산소의 공급 여부가 선행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며(그림6~7, 시험예 7) 모낭 성장성을 평가한 결과, 산소를 100ppm의 농도로 포집시킨 나노 에멀젼 조성물을 처리할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모낭의 길이 성장능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그림8~9, 시험예 8). 또 나노 에멀젼 조성물의 산소 봉입률과 산소 방출도도 평가했다(시험예 20~21).

 

# 염모, 탈색

 

86.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과 이의 용도 (공개번호 : 10-2023-0012482, (주)엘지생활건강, 2023.1.26) https://doi.org/10.8080/1020227039183

 

이 발명은 흰머리의 발생 억제 효과가 우수한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과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은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해 모발에서 멜라닌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흰머리(백모증)의 억제, 예방, 개선, 완화, 지연, 또는 치료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다.

 

TCF/LEF Responsive Luciferase Reporter HEK293A 안정화세포주를 사용해 본 발명의 에스신, 27-디옥시액테인, 리시오노틴, 니티딘클로라이드, 라노스테롤, 엔젤레틴, 스펙누에제나이드, 프레이럽토린 B, 로툰산, 세사모사이드, 폴리갈라신 D, 모모르딘 Ic, 발레클로린, 투실라곤, 페리플로신, 폴리필린 VII, 플라티코딘 D2를 각각 표1과 같이 처리한 후, Wnt/β-카테닌 신호 전달 증가 효과를 확인했다(표1, 실험예 1).

 

Wnt 신호전달 증가 효과를 보이는 실험예 1의 화합물들을 마우스 유래 멜라노마 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해 세포 수준에서 멜라닌 생성 효과를 실험한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상기 화합물 중 에스신의 멜라닌 합성 결과를 그림1~2에 나타냈다(실험예 2). 본 발명의 화합물 중 에스신과 27-디옥시액테인을 포함하는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헤어토닉)을 제조해 흰머리 발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표3에 나타냈다(실험예 3).

 

그림1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에스신에 의한 멜라닌 합성 증가 효과

 

관련태그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화장품 #코스메틱  #2023년6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화장품최신특허정보 #2023년1월공개 #한국화장품최신특허출원현황(KIPRIS)  #복합효능 #발모 #육모 #탈모 #구강케어 #12건최다 #해외특허64건 #미국14건 #일본14건 #프랑스13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