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장미란 기자] 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화장품 등 소비재 수출이 대응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보고서가 나와 주목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3월 17일 ‘중국의 2016년 경제운용 방향 평가와 한국의 대응’ 보고서에서 “중국의 내수와 수출 부진으로 한국은 대중 수출 둔화세를 단기간 내에 극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또 “중장기적으로도 중국의 전통제조업 국산화와 중간재 자급률 확대, 신성장동력 산업에서의 한, 중 경쟁 심화 등으로 애로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중국은 3월 15일과 16일 이틀간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제12기 4차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를 개최하고 2016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6.5~7.0%로 설정하는 한편 앞으로 5년간 연평균 6.5% 이상의 성장률을 유지한다는 내용의 ‘13차 5개년 규획(13·5 규획·2016∼2020년)’을 확정했다.
보고서는 “중국은 거시경제 운용에 있어 안정적 성장과 공급 측 구조개혁을 기본방침으로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중국이 공급 측 구조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투자둔화와 고용사정 악화에 소비부진이 나타날 것”으로 분석했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 수입 증가율 추이

▲ 자료 : KITA 한국무역통계 DB. |
또 “2016년에도 경기요인(중국 내수, 세계 경기 부진→중국 수출 부진)과 구조적 요인(한국의 가공무역 중심 수출구조)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대중 수출 부진과 관련해 보고서는 단기적으로는 한-중 FTA 활용을 위한 후속조치, 농식품, 화장품 등 소비재의 수출촉진 등으로 중국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소득향상에 따른 수요 변화, 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맞춰 공급능력을 배양하는 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대중국 수출 둔화를 극복하기는 용이하지 않은 만큼 중국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유지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한국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내구소비재를 비롯해 지리적 근접성이라는 우위를 활용할 수 있는 농식품 분야(음식료품), 화장품 등 비내구소비재 수출의 적극적인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