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이승관 성남산업단지관리공단 수석전문위원은 “경기 뷰티 바이오 코스메틱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K-뷰티 산업의 혁신적 제품 개발과 한류의 확산을 토대로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K-뷰티 산업의 메카로 전략적 포지셔닝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승관 수석전문위원은 1월 27일 온라인 실시간 웹엑스(Webex)로 진행된 ‘2021 경기 뷰티·바이오 코스메틱 산업 육성 전문가 포럼’에서 ‘한국 화장품산업 선도견인체로서의 경기 화장품 산업육성 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성균관대학교 LINC+, 바이오코스메틱학과, 바이오코스메틱 유니크, 생체분자제어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디지털 혁신과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경기도의 뷰티, 바이오 코스메틱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승관 수석전문위원은 “화장품 산업은 기술집약적이며 제품 교체 주기가 짧고 혁신적인 사업화 아이템에 대해 ODM 등 위탁생산을 활용시 시장진입이 용이한 점 등이 강점으로 전주기 가치사슬(Seamless Value Chain)을 연계한 클러스터의 전략적 구축과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경기도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화장품 기업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상생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과의 연계성을 강화해 K-뷰티 산업 육성 거점 기반 마련을 확대해야 한다.” 김주덕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1월 27일 온라인 실시간 웹엑스(Webex)로 진행된 ‘2021 경기 뷰티·바이오 코스메틱 산업 육성 전문가 포럼’에서 ‘한국 화장품 산업의 견인과 기존 지역산업과의 연계성’에 대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성균관대학교 LINC+, 바이오코스메틱학과, 바이오코스메틱 유니크, 생체분자제어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디지털 혁신과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경기도의 뷰티, 바이오 코스메틱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주덕 교수는 “화장품 산업은 잠재력이 높은 미래 유망산업이다”며 “정부도 화장품 수출 세계 3대 강국(G3) 도약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해 수출 지원과 기술 개발 지원,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 등에 나서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충북, 경북, 전북 지역에 총 175억 원을 지원해 ▲충북 오송 ‘글로벌코스메슈티컬센터’…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정부가 화장품 산업 육성을 위해 ‘K-뷰티 클러스터’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가 최근 내놓은 ‘화장품 산업 K-뷰티 혁신 종합전략’에는 기존 화장품 기업 집적 산업단지를 2022년부터는 산·학·연, 문화·관광·브랜드 체험까지 갖춘 ‘K-뷰티 클러스터’로 확대, 개편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에 충북과 경기도, 인천 등이 ‘K-뷰티 클러스터’ 유치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경기도의 K-뷰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클러스터 정책에서 벗어나 플랫폼 정책으로의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남기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교수는 1월 27일 온라인 실시간 웹엑스(Webex)로 진행된 ‘2021 경기 뷰티·바이오 코스메틱 산업 육성 전문가 포럼’에서 ‘화장품 산업 클러스터의 구축과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성균관대학교 LINC+, 바이오코스메틱학과, 바이오코스메틱 유니크, 생체분자제어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디지털 혁신과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경기도의 뷰티, 바이오 코스메틱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남기범 교수는 “클러스터라는 정부의 산업 정책이 혁신지구, 다시 혁신 플랫폼으…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한국 화장품 산업은 지난해 코로나19에 따른 우려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중화권으로의 수출이 전체의 60%가 넘고 수출 상위 3개국 의존도가 76%에 달하는 점은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코로나19 이후 변화한 해외 화장품 시장과 글로벌 K-뷰티 현황을 파악하고 2021년 K-뷰티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신혜영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기획조사팀 연구원은 1월 27일 온라인 실시간 웹엑스(Webex)로 진행된 ‘2021 경기 뷰티·바이오 코스메틱 산업 육성 전문가 포럼’에서 ‘2020년 K-Beauty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성균관대학교 LINC+, 바이오코스메틱학과, 바이오코스메틱 유니크, 생체분자제어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포럼은 디지털 혁신과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경기도의 뷰티, 바이오 코스메틱 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서 신혜영 연구원은 “K-뷰티 발전 방향을 찾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 화장품 기업의 수출 구조와 한국 화장품 해외시장 진출 현황, 해외 화장품 트렌드 이슈 등을 살펴 우…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 브랜드의 크라우드펀딩이 이어지면서 성공 사례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기업에 크라우드펀딩은 낯선 도전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어떻게 펀딩을 진행해야 하며 펀딩에 성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고민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화장품 기업과 상품기획, 마케팅 등 실무자들을 위해 대표적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와디즈의 뷰티카테고리 파트장과 함께 하는 크라우드펀딩 강연이 마련됐다. 코스인은 화장품 영업, 마케팅 전문교육 시리즈로 2월 17일 서울시 가산동에 위치한 스타밸리 902호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와디즈 뷰티 PD와 함께하는 크라우드펀딩 강연’을 실시한다. 이번 전문교육 시리즈는 화장품 기획, 영업, 마케팅, 기획개발 분야에 종사하는 화장품회사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으로 코로나19에 따라 모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교육 참여 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ZOOM)를 동시에 진행한다. 와디즈 뷰티 PD와 함께하는 크라우드펀딩 강연 프로그램 이번 교육은 코스메쉐프(흑당고) 프로젝트 외 400여 개의 프로젝트 디렉팅을 실시한 우창성 PD가 직접 실시한다. 와디즈…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제조업자의 생산관리 분야를 비롯해 화장품책임판매업자의 상품조달과 운영을 맡고 있는 현직 실무자 대상으로 한 전문교육이 마련됐다. 화장품의 생산, 판매, 운영에 따른 재고와 결품의 문제, 그로 인한 원가와 손익의 문제는 화장품사업에서 매우 중요한 관리지표이지만 화장품 특성에 맞는 생산관리를 제대로 배울 수 있는 기회는 적었던 만큼 현직에서 일하고 있는 실무자들의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스인은 화장품 생산관리 전문교육 시리즈로 3월 18일 서울시 가산동에 위치한 스타밸리 513호 코스메틱 아카데미에서 ‘효율적인 화장품 생산관리 전략 혁신과정’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모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교육 참여 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ZOOM)를 동시에 진행한다. 화장품 생산관리 전문교육 시리즈인 ‘효율적인 화장품 생산관리 전략’에 대한 교육은 3회로 나누어 진행된다. 마지막 세번째 교육 내용은 향상과정으로 ▲화장품 제조원가의 구조와 특성 ▲제조 원가율의 개선과 효율적 관리를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 ▲전사적 원가, 손익 관리에 대해 소개한다. 공장이…
…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화장품 비임상시험의 역할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화장품 기업들에도 임상시험에 대한 이해도가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화장품 비임상시험을 생소하고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 관련 분야 또는 유사 분야 업무를 하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비임상시험에 대해 설명하는 화장품 임상시험 분야 전문교육이 마련됐다. 코스인은 화장품 임상시험 분야 전문교육 시리즈로 2월 25일 서울 가산동에 위치한 스타밸리 513호 코스메틱 아카데미에서 ‘화장품 비임상시험 개요와 시험방법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코로나19에 따라 모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교육 참여 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ZOOM)를 동시에 진행한다. 이번 교육은 피부와 비임상시험에 대한 개요로 피부 구조와 피부 세포에 관한 개요, 비임상시험에 대한 개요, 비임상시험의 필요성, 비임상시험의 향후 가치를 공유한다. 비임상시험에 대한 정리로 식약처 가이드라인 시험법 기준인 미백시험과 주름개선시험법을 교육한다. 또 항균 시험법과 항염 시험법, 세포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