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하반기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증 대비를 위한 재직자 대상 무료교육이 진행된다. 인천대학교 혁신인력개발센터는 7월 31일부터 8월 28일까지 매주 토요일5일간 인천대학교 미추홀캠퍼스 B동 4층 교육장(407호)에서 ‘맞춤형화장품 제조 실무 재직자 실무능력향상과정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교육은 하반기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증을 대비하기 위한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개인 트렌드에 맞춘 맞춤형화장품의 제조를 위해 화장품학 이해와 법규, 제도를 파악하고 제조 실무에서의 기준서 관리, 품질보증 체계 수립과 안정성 시험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천대학교 혁신인력개발센터 맞춤형화장품 제조 실무 교육 프로그램 이번 교육과정은 바이오 산업 인력양성 선도기관인 인천대학교 혁신인력개발센터의 2021년 국비전액 지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실무 경험이 풍부하고 노하우를 갖고 있는 업계 전문가를 초빙해 직접 교육을 실시한다. 교육 1일차에는 화장품 법규와 제도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고2일차에는 맞춤형화장품의 정의와 주요 규정을 비롯한 화장품학 개론 교육이 진행된다. 3일차에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 수입 업무를 담당하는 책임자나 실무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수입화장품 제도와 환경부 포장재질 규정의 이해를 돕는 전문교육이 열린다. 코스인은 화장품 수입제도 전문교육 시리즈로 9월 8일 서울 가산동에 위치한 스타밸리 902호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수입화장품 제도 규정과 환경부 포장재질 규정 이해 전문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전문교육은 수입 화장품회사와 유통회사에 종사하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화장품 수입에 관련된 전문 교육이다. 코로나19에 따라 모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교육 참여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ZOOM)를 동시에 진행한다. √ 수입화장품 제도, 규정, 절차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 √ 2021년 달라진 화장품 표시, 광고 상세한 규정 설명 √식약처의 자율점검보고 작성 요령 등과 수입절차 해설 √수입화장품 광고주의할 점해설, 화장품 수입에서 알아야 할 환경부 규정 √ 환경부 분리배출표시, 포장공간, 포장횟수, 포장재 재질평가 관련 이해 교육에서는 화장품법과 시행규칙 등 일반적인 규정사항에 대한 이해를 돕고 수입화장품 제도와 규정, 절차 등을 공유한다. 식약처의 자율점…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아모레퍼시픽은 2021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건강을 위한 녹차∙인삼 열매 소재와 성분의 새로운 가치 발굴(Green Tea & Ginseng Berry : Health Benefits in the Post-COVID-19 Era)’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8일 열었다. 이 자리는 우리나라 식품 분야에서 개최하는 가장 큰 국제학술대회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K-푸드 : 건강과 편의’를 주요 주제로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진행해 9일 종료했다. 심포지엄에서는 활발히 활동하는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식품 과학에 관한 최신 연구 성과를 선보이고지견을 나눴다. 세종대학교 심순미 교수는 녹차 유래 소재인 카테킨 농축액에 수용성 다당체와 플라보놀을 혼합한 조성물(CATEPLUSTM)의 전분 소화와당 흡수 억제 효능과 기전을 규명하고이를 탄수화물 함유 식품과 함께 섭취할 때 혈당 저하 효능(Strategies to maximize bioacitivty of green tea on glucose metabolism)에 대해 알렸다. 서울대학교 이윤희 교수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를 활용…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화장품 해외 수출, 특히 중국으로의 온라인 진출을 진행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화장품 업체 수출업무 책임자, 담당자를 위한 실무자 교육이 열린다. 코스인은 화장품 해외수출 전문교육 시리즈로 7월 21일 서울 가산동에 위치한 스타밸리 902호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중국 화장품시장 온라인 진출 실무자 교육’을 실시한다. 이번 전문교육은 화장품업체, 유통업체 등 화장품 수출 업무 경력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전교육이다. 코로나19에 따라 모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오프라인 교육 참여인원을 최소화하고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ZOOM)를 동시에 진행한다. ‘중국 화장품시장 온라인 진출 실무자 교육’은 중국 화장품 시장 채널, 상품, 홍보, 사례분석 등을 통해 실질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우선 채널분석은 중국 온라인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고 B2C 플랫폼 현황과 C2C 플랫폼, B2B 플랫폼 현황을 공유한다. 나아가 중국 온라인 플랫폼 활용 전략을 제시한다. 상품전략으로 중국 온라인 인기 트래픽 상품이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분석하며, 인기 상품이 되기 위한 기본 요건과 지속적인 인기를 위한 상품의 유지보수, 인기 상품 구축 3…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는 오는 8월 3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미국 OTC Drug 제도 및 인허가 절차에 대한 웨비나'를 개최한다. OTC Drug는 FDA 등록 대상 제품이며자외선차단제, 비듬 샴푸, 여드름 제품, 제한제, Astringent 효과가 있는 Skin Protectant(Salicylic acid가 들어간 제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번 웨비나는 미국 현지에 소재한 인허가 컨설팅 회사인 International Cosmetics & Regulatory Specialists LLC 의 Janet Winter 대표가 강의할 예정이다.Janet Winter 대표는 17년간 퍼스널케어 제품과OTC Drug OEM 제조공장의 R&D 부서에서 근무한 전문가다. 1997년컨설팅 회사인 International Cosmetics & Regulatory Specialists LLC을 설립했으며미국의 화장품, OTC Drug, 경계영역 물품(boarderline) 등의 품질 보증과 미생물, R&D, FDA의 OTC Drug 제조소 실사 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주)H&A파마켐 지홍근 박사가 7월 7일부터 9일까지 킨텍스에서 열린 나노 코리아 전시회에서 '친환경소재 산업화 전략 워크숍 2021'에서 '나노셀룰로오즈의 화장품 응용'이란 주제로 발표했다. 셀룰로오스는 자연계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 고분자 물질로서주로 목재와비목재 식물 원료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박테리아를 통해 합성해얻을 수 있다. 목재의 경우 셀룰로오스 함량이 전체 구성 성분의 약 40~55%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펄핑 공정을 통해 상당량의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오스를 제거함으로써 약 80% 가량이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펄프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나노 셀룰로오스는 폭 또는 길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차원이 100nm 미만인 나노 수준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의미하며일반적으로 산 가수분해인 화학적인 처리 방법, 생물학적인 처리 방법, 그리고 기계적인 처리 방법을 통해 제조한다. 이러한 천연에서 얻어진 셀룰로오즈는 화장품에 보습제, 점증제, 필름강화제 등 사용되고있었는데 특히 박테리아를 이용한 셀룰로오즈는 마스크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날(주)H&A 파마켐은강한 보습력으로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하고유동학적 특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중국 시장 전문가들로부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중국 화장품 시장 현황을 공유받고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생존방법과 전략적 접근 방안 등 대응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코스인과 코스인TV는 9월 14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서울 가산동에 위치한 스타밸리 902호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중국 화장품 시장의 진출 전략과 최신 트렌드 이해를 주제로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성공전략과 최신 NMPA 법규, 이해 세미나’를 실시한다. 이번 세미나는 중국 NMPA 제도 변경사항과 한국 기업의 구체적인 대응 방향, 중국 Z세대 소비성향과 중국 화장품 시장 트렌드, 중국향 제품개발, 소비자 동향 분석, 유통채널, 마케팅 필수사항, 중국 바이어 상품소싱 기준과 실시간 시장조사 기법 등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핫이슈를 공유하고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대응 방향을 제시한다. 중국 화장품 시장 진출 성공전략과 최신 NMPA 법규, 이해 세미나 프로그램 세미나에는 박승찬 중국경제연구소장, 오기석 중국 쑤닝그룹 한국&일본대표, 신윤창 전 종근당건강 중국법인장, 백미라 CCIC KOREA 부사장, 함서영 중국 나비쿠(상해)화…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프리미엄 기능성 브랜드 라네즈가 ‘슬리핑 뷰티’를 주제로 국제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라네즈의 뷰티 & 라이프 연구소가 주최한 이번 심포지엄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과 슬리핑 뷰티의 새로운 세대’라는 타이틀 아래 지난 5일 웨비나(온라인 학술대회)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심포지엄에 참석한 국내외 전문가들은 수면, 일주기 리듬, 마이크로바이옴 등 슬리핑 뷰티 관점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발표했다. 라네즈는 2002년 ‘워터 슬리핑 마스크’를 출시하며 ‘슬리핑 뷰티’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제시한 바 있다. 이후 라네즈는 잠자는 사이 지친 피부를 맑고 건강하게 관리한다는 컨셉의 다양한 슬리핑 뷰티 제품들을 선보여 왔다. 이번 심포지엄은 오랜 시간 수면 피부 과학을 연구해온 라네즈가 한층 진화된 연구 동향들을 공유하기 위해 진행한 것이다. 먼저 연사로 나선 카이스트와 기초과학연구원의 김재경 교수는 ‘웨어러블 장치에 기반한 일주기 리듬(Circadian rhythm) 맞춤형 시간 치료법’을 주제로 일주기 리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여기서 김 교수는 “피부 역시 24시간 주기의 리듬을 만들어내는데, 이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한국무역협회(회장 구자열)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30일 삼성동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디지털 전환 시대, 수출기업 혁신현황과 대응전략 포럼’을 개최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된 이날 행사에는 서울대학교 차상균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 LS일렉트릭 이정준 최고기술경영자(CTO), 더인벤션랩 김진영 대표, 유니티테크놀로지코리아 김범주 에반젤리즘본부장, 삼성SDS 문신정 첼로스퀘어 전략그룹장 등 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이 대거 참가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출기업의 지속성장과 물류·마케팅 등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무역협회 이관섭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새로운 기술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보다는 이를 통해 나타날 미래의 모습을 예측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노핏파트너스의 윤정원 대표는 “기업은 자신이 보유한 정보통신(IT) 역량을 감안해 자체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문제와 아웃소싱을 통해 해결할 문제를 구분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삼성SDS 문신정 첼로스퀘어 전략그룹장은 “앞으로는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인공지…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제7회 국제 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의 다섯 번째 마지막 주제발표는‘스테이플 펩타이드 및 대사체 신규 화장품 소재응용 가능성 탐색’이 발표됐다. 6월 23일 코스인(대표 길기우)이 주관하고 대한화장품학회, 일본 프레그런스저널(FJ)이 후원해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줌(ZOOM)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로 개최된 제7회 국제 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의 다섯번째주제발표에나선 금영삼동국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는 스테이플 펩타이드 및 대사체 신규 화장품 소재응용 가능성 탐색을 주제로신규 약물 소재이자 바이오 뷰티의 원료로주목받고 있는 ‘스테이플 펩타이드’를소개했다. 금영삼 교수는 ‘스테이플 펩타이드 및 대사체 신규 화장품 소재응용 가능성 탐색’을 주제로 관련 과학적 개념을 제시했다.특히 금 교수는 펩타이드를 소재로 한 뷰티 바이오 분야 등에서의 연구진의 실험결과를 제시하며, “최근 연구동향과 소재원료로서의 가능성을 더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 교수는 서두에서 화장품법제2조 제1호 단서와약사법제2조 제4호를 언급하며, '화장품'에 대한 정의에 대해“화장품은 현재 법적으로 피부에 무…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올해초 미국과 중남미 등 대마(CBD) 사용 합법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지면서이를 기반한 산업계의 다양한 행보와 시장 진출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빠른 반응이 인 것은 바로 화장품산업이다. 일찌감치 대마합법화와 관련 산업군이 발달한 국가들을 대상으로한 원료, 소재 생산개발 협력제휴가 활발히 이뤄지고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대마 화장품’의 생산과 소비 여부를 둔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현 시점, 산업계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는‘대마’ 즉 ‘칸나비노이드(CBD)‘와 ’헴프오일‘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연구개발 현황과전망을 다루는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제7회 국제 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의 네번째 주제발표는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화장품 원료로서 칸나비노이드(CBD)의 연구개발 현황과 전망'의주제발표가 이어졌다. 6월 23일 코스인(대표 길기우)이 주관하고 대한화장품학회, 일본 프레그런스저널(FJ)이 후원해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줌(ZOOM)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로 개최된 제7회 국제 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의 네번째주제발표에나선…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제7회 국제 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의 세번째 주제발표는‘화장품 소재로서의 세라믹 원료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살펴보는 ‘화장품에서의 세라믹 소재활용 및 encapsulation 기술 현황’의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6월 23일 코스인(대표 길기우)이 주관하고 대한화장품학회, 일본 프레그런스저널(FJ)이 후원해 코스인화장품교육센터에서 줌(ZOOM) 온라인 실시간 화상회의로 개최된 제7회 국제 화장품 연구개발(R&D) 이노베이션 포럼의 세번째주제발표에나선 장정호 한국세라믹 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화장품에서의 세라믹 소재활용 및 encapsulation 기술 현황’을 발표했다. 장정호 수석연구원은 이날 주제를 통해 “세라믹 소재가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현황과 원료의 가능성이 점차 미래지향적인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세라믹의 화장품 원료의 안전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한 세라믹 하이브리드 encapsulation 관련 제형기술과 이를 이용한 방출제어형 소재개발 관련 내용을 소개했다. 여기에 세라믹 코스메틱 섬유와 안티폴루션 화장품 개발 현황도 제시했다. ‘세라믹(ceramic)'은 최근 3년 사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