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주의,친환경 디자인이 화장품후각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자연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 선택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제형과 시장에 접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이는 식품 분야 뿐아니라 향수, 화장품, 위생과 세정 산업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많은 브랜드가 이런 사실을 깨닫고 천연 또는 친환경 디자인 제형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제형을 만드는 것은 제한적일 수 있으며 감각 중에서도 특히 후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장품의 후각적 측면에 대한 천연물의 영향은 3가지 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다. 1. 천연 유래 또는 친환경 화학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의 후각적 품질 : 일부 화장품 원료에는 냄새가 있다. 이는 제형의 자산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품의 전반적인 후각 인식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후각 중립적인 성분을 원하는 제약 조건이 될 수도 있다. 2. 천연 향 또는 천연 유래 향의 성능 : 천연 향료가 포함되는 경우 제품 도포 시에 원하는 향의 강도나 지속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천연 성분의 악취 강도 평가 3. 불쾌한 냄새를 줄이는 천연 활성 성분의 효과 : 예를 들어 데오도란트
# 국소 도포제,미용 건강기능식품개발유효 성분 : 인사이드-아웃 시장 공략핵심 요소 소비자들은 이너뷰티를 위한 건강기능식품(dietary supplements)에 점점 더 익숙해지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커지고 있다. Lycored 설문조사에 따르면, 영국과 프랑스에서만 섭취 가능한 스킨케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비율이 2017년 14%에서 2022년 30%로 증가했다. 독일에서 dm 온라인 커뮤니티인 ‘unser dm’을 통해 실시된 dm 설문조사 결과 피부, 모발, 손톱용 제품이 비타민과 미네랄, 감기 제품에 이어 세 번째로 선호하는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시장에는 고객의 요구 사항을 성공적으로 충족하기 위해 여전히 해결해야 하는 특정 요구 사항이 있다. 공식적인 정의는 없지만 인사이드-아웃 뷰티는 건강기능식품(내면, inside), 내면에서 발산되는 아름다움(beauty-from-within))과 화장품(외부, out)을 결합한 것으로 구성되며 주로 피부와 모발 외관 개선에 중점을 둔다. 유럽 국가들의 토피컬(topical, 국소 도포) 뷰티 시장은 교육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 측면에서 상
# 티무트 후추 추출물정서적 웰빙,피부 안색개선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정서적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뷰티 루틴(routine)과 같은 셀프케어 전략이 정신 건강을 위해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뉴로코스메틱(neurocosmetics)의 잠재적 활성 성분인 티무트 후추 추출물(Timut pepper extract)이 피부 건강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티무트 후추는 감각 신경세포(뉴런, neuron)를 보호하고 각화세포 증식을 촉진해 피부 신경 분포를 지원함으로써 피부 안색(complexion)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연구에 따르면, 티무트 후추를 섭취한 지원자들은 피부색(skin tone)이 균일해지고 밝아졌으며 안전감, 이완감, 균형감, 평온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티무트 후추 추출물은 피부 개선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분을 개선해 정서적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반적으로 티무트 후추 추출물은 피부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피부 광채를 개선해 뉴로코스메틱 분야에서 유망한 개발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림 2 감각 신경세포와 각화세포의 공동 배양에서 무처리, β-엔도르핀 처리, 티무트
# 스트레스와 피부 : 심리적 웰빙과 피부 항상성 현대 삶의 생활환경은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심리적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는데 이 스트레스는 과도하지 않다면 자연스럽고 정상적이며 필요한 반응이다. 스트레스는 급성 또는 만성적일 수 있으며 특정 상황, 위험과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한 신체적 반응(신체적, 정신적 또는 감정적)으로 정의된다. 스트레스가 만성화되면 신체의 두 가지 주요 스트레스 반응 축을 통해 신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시상하부 – 뇌하수체 - 부신 축 (HPA 축) • 교감신경계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HPA axis),HPA 축에서 심리적 스트레스는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코르티코트로핀 분비 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의 생성을 유발한다. 이는 뇌하수체(pituitary gland)에서 부신 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을 방출하게 해 부신(adrenal glands)에서 코티솔(cortisol)을 분비하도록 유도한다(그림1). 코티솔은 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4월호는 지난해 11월 SOFW 저널과 업무계약을 체결하고 2024년 1월부터 SOFW 저널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스트레스와 피부 : 심리적 웰빙과 피부 항상성을 찾아서 ▲티무트 후추 추출물로 정서적 웰빙과 피부 안색의 개선 ▲국소 도포제와 미용 건강기능식품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유효 성분 : 인사이드-아웃 시장 공략의 핵심 요소와 향료를 주제로 ▲자연주의와 친환경 디자인이 화장품의 후각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향이 나는 제형: 다양한 제형에서 향의 이중 효과 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잠깐의 색다른 휴식 [기획특집] 2023년 화장품 공개기업 75개사 실적 분석 [퍼스널 케어] 1. 스트레스와 피부 : 심리적 웰빙과 피부 항상성을 찾아서 Stress and Skin: in Search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utaneous Homeostasis 이네스 뒤빌리에, 액셀 페레 2. 티무트 후추 추출물로 정서적 웰빙과 피부 안색의 개선 Enhancement of Emotional Wellbeing and Skin Complexion wit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4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되어 15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그리고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4년 4월호는 독일의 퍼스널 케어 최신 연구를 주제로 ▲스트레스와 피부 : 심리적 웰빙과 피부 항상성을 찾아서 ▲티무트 후추 추출물로 정서적 웰빙과 피부 안색의 개선 ▲국소 도포제와 미용 건강기능식품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유효 성분 : 인사이드-아웃 시장 공략의 핵심 요소와 향료를 주제로 ▲자연주의와 친환
# 분홍바늘꽃, 편백종자,팥배나무추출물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 최근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또는 여드름 완화에 도움을 주는 등 특정 기능이 강조된 기능성 화장품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식물 등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기능성 물질들을 원료로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은 화장품과 의약품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제품이라 볼 수 있으며 이들을 일컫는 표현으로 화장품(cosmetics)과 의약(pharmaceuticals)의 합성어에 해당하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이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 화장품이 안전성을 강조한 제품임에 비해 기능성 화장품은 안전성 외에 특히 효능효과를 강조한 제품이다. 최근에는 천연 유래 원료를 사용한 보습과 피부 안전성 위주의 단순한 기능의 천연 화장품에 만족하지 않고 주름개선과 미백 등의 기능을 갖춘 기능성 천연 화장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사진 여드름 질환에 관련된 S. epidermidis 및 C. acnes그리고 충치 질환에 관련된 S. mutans에대한 항균 활성 실험 결과 본
# 모발 화장품서 무환자사포닌과 HP-β-CD Complex암모니아 소취 효과 본 연구는 무환자사포닌,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β-CD, HP-βCD의 소취 효과 비교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대기환경의 오염으로 악취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일상생활과 관련된 악취는 8개 종류다. 그중 가장 악취가 높고 화장품 분야와 밀접한 기체는 암모니아 기체로서 이에 대한 소취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취 효과 실험을 위한 HP-β-CD는 β-CD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가한 후 고압 반응기를 사용해 알칼리 조건에서 반응해 얻었다. 용해성을 비교한 결과 HP-β-CD는 β-CD에 비해 높은 수용해성을 나타냈다. 일상생활과 관련된 대표적인 악취 8종 중에서 염색이나 퍼머넌트등 발생하기 쉬운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효과의 측정은 각 시료를 테들러백에 각각 포집한 후 가스 검지관법으로 비교 측정했다. 이와 함께 최근 화장품 천연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무환자사포닌,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β-CD, HP-β-CD 등을 이용해 소취 효과를 평가했다. 소취율 측정의 표준물질로 사용된 활성탄은 대표적인 흡착제로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 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 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 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 번역하고 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3년 10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3년 10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특허는 총 203건으로 전월 94건에 비해 109건이 늘어나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해외 화장품 특허는 40건으로 전월 23건에 비해 17건이 늘었으나 비율은 19%로 전월의 24%에 비해 약간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2023년 10월 한국 특허는 전월에 비해 공개 건수는 2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건수도 소폭 증가했으나 비율은 약간 감소하는 추세
# 고농도 농축 용존 산소수안정화 원료 소재 개발 이 연구는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해 겔네트워크 안에 용존산소를 패킹해 안정화하는 기술로써 한국의 6종류의 물인 제주삼다수, 온천수, 심층수, 음용수, 해수, 정제수에 존재하는 용존산소량을 측정하고 정제수를 가지고 산소발생기를 사용해 물리적으로 용존산소량을 높여 화장품 처방에 활용 가능성을 실험한 결과를 보고했다. 6종의 물에 존재하는 산소농도는 4.0~5.8ppm이었다. 정제수에 용존 산소를 용해할 수 있는 양은 30ppm 정도가 가능했다. 정제수를 사용해 pH 변화에 따른 용존산소량은 26~28ppm으로 큰 변화는 없었으나 pH5~7 범위에서 안정한 결과를 얻었다. 염(NaCl)의 농도 변화에 다른 용존산소량은 26~28ppm으로 차이는 없었다. 임상시험으로 용존산소가 10ppm 함유된 스킨 토너의 처방을 개발해 보습 효과의 임상시험을 평가한 결과, 사용 전보다 2.37%, Control-G는 7.85%, Formula-1에서는 25.87% 보습력이 개선됐다. 이 결과를 통해 산소의 농도를 높인 물을 사용해 화장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장품에 정제수 대신
#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의 멀티 스킨케어 효과 ESG경영과 지속가능성이 산업 전반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가운데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태양에너지만을 이용해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는 지속가능 원료이자 차세대 바이오매스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세조류의 일종인 클로렐라는 베타글루칸, 필수 아미노산, 오메가-3 등 다양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압 분산처리를 통해 저분자 펩타이드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클로렐라를 효소처리해 저분자 펩타이드를 얻는 연구가 진행됐다. 효소처리 조건 최적화 단계에서는 한외여과를 통해 핵심 기능 성분으로 기대되는 저분자 펩타이드 비중을 높여 사용했으며 원료화와 인체적용시험 단계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해 한외여과 공정을 생략했다. 이후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클로렐라 펩타이드 함유 세럼의 뛰어난 피부 개선 효능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그림5. 클로렐라 저분자 펩타이드의 주름개선 효과 클린뷰티를 넘어 지속가능뷰티라는 가치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은 현재 미세조류는 지속가능 소재이자 차세대 바이오
# 칼라민분산 안정화시킨 수중형 화장료 조성물특허 기술 본 연구에서는 칼라민(Calamine)을 분산 안정화시킨 수중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그 효능을 평가했다. 칼라민의 피부 진정효과와 보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당류계 점증제인 하이드롤라이즈드스클레로튬검(Hydrolyzed Sclerotium Gum)을 이용해 고함량의 칼라민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칼라민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사용감을 개선하는 동시에 장기간의 제품 안정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실험 결과 개발된 조성물은 우수한 분산 안정성과 피부 친화성을 보여줬으며 장기간 저장 후에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특허 출원과 등록을 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칼라민을 포함한 수중형 화장료의 개발과제조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칼라민(Calamine)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와 산화철(III)(Iron oxide, FeO)을 혼합해 얻어진 담홍색 분말로 소염과 피부 보호 효과로 인해 의약외품과 화장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특히 염증, 가려움, 습
# 엘포틴 유산균 Lactobacillus L-14 유래 추출물과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세포외 다당체(Exopolysaccharide, EPS)의 항염증 효능과 작용기전 규명 유산균 유래 화장품은 최근 몇 년간 뷰티 산업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유산균과 그 배양물이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부터다. 유산균 유래 성분은 피부의 미생물군을 조화롭게 유지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며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피부 과학에 대한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브랜드들이 마이크로바이옴에 기반한 화장품을 개발해 피부의 자연스러운 방어 체계를 지원하고 강화하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선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유도된 염증 반응을 가진 대식세포(RAW 264.7)에 EPS를 처리했을 때 염증 매개 물질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인터류킨-6(IL-6),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인터류킨-1베타(IL-1β)의 발현이 억제됐다는 점을 발견했다. 더욱이 EPS는 TLR4(Toll-like receptor 4)와의 상호작용을 차단해 항염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염
# 피부 속 옥시토신, 긴장완화 효과발휘하는 탁월한 성분 심리적 스트레스는 우리 삶에 만성적으로 존재하며 장벽 기능과 안색(complexion) 광채 매개변수를 변화시켜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SILAB사는 피부와 신경계가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며 매개체와 수용체가 동일하게 발현된다는 점에서 피부와 신경계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에 관심을 갖게 됐다. ‘행복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옥시토신(Oxytocin, OXT)은 스트레스 감소에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옥시토신은 각화세포에서 분비되며 각화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 OXT 신호 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수용체는 미네랄 성분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SILAB사는 미네랄이 풍부한 천연 원료를 선택해 최신 긴장 완화 활성 성분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사회의 진정한 재앙인 심리적 스트레스는 세기의 고질병이 됐다. 스트레스는 위험하거나 예상치 못한 상황 또는 걱정스러운 상황을 빠르게 극복하기 위한 신체의 모든 심리적 반응과 신체적 반응으로 정의된다. 과거에 스트레스는 우리 조상들이 포식자의 발톱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해주었고 따라서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 인류의 생존에 기여했다. 오늘날 심리적
# 여드름 메커니즘과 발생에서 표준화 블랙씨드오일과 비표준화 블랙씨드오일의 우수성 트라이뉴트라(TriNutra® Ltd.)사 뷰티퀸(B’utyQuin™) 브랜드의 블랙커민씨오일(Nigella Sativa Seed Oil)은 3% 티모퀴논(thymoquinone)과 2% 미만의 유리지방산으로 표준화된 안정적인 냉압착 블랙씨드오일(black seed oil)이다. 티모퀴논은 지방 대사와 ATP 생성 그리고 세포 호흡을 포함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최적화하고 염증 반응의 균형을 맞추며 항산화와 항균 효과가 있는 화장품 활성 성분이다. 이러한 기능은 이전 연구에서 지루와 비듬을 완화하고 노화 방지와 두피 진정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글에서는 뷰티퀸이 비표준화 블랙씨드오일보다 우수한 방식으로 여드름의 특정 원인을 완화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전에는 지루와 기타 피부 질환과 관련된 기회성 병원균인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입증된 바 있다. 이 연구는 뷰티퀸이 여드름과 지성 피부와 관련된 많은 기회성 병원균 특히 Propionibacterium acnes를 비표준화 블랙씨드오일보다 우수한 방식으로 현저히 억제하는 능력에 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