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애경산업 인수전이 태광그룹과앵커에쿼티파트너스, 폴캐피탈코리아 '3파전'으로 압축됐다. 이 중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히는 태광그룹은 핵심 생산시설을 찾아 실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AK홀딩스(주)는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애경그룹의 모태 사업인 애경산업의 지분 매각과 관련해 매수 희망자의인수의향서를 접수받았으며, 현재소수의 매수 희망자와 실사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애경그룹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누적된실적 부진, 모회사 AK홀딩스의 높은 부채 비율과 재무구조 악화, 제주항공 사고 등 복합적악재가 겹치며창사 71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 이에항공(제주항공)과 화학(애경케미칼) 부문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기 위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올해 초 애경그룹은 사업 재구조화 작업의 일환으로 애경산업을 매각대상으로 결정하고, 지난 4월 매각 주관사(삼정KPMG)선정, 5월 예비입찰 등 격적인 절차에 착수했다. 매각 대상은AK홀딩스와 애경자산관리가 보유한 애경산업 주식 63.38%다. 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해명 공시 (2025.7.29.자)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현재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실리콘투(257720)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며 매출 2,0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 불확실성으로 북미 시장은 일시적으로 주춤했지만, 유럽과 중동 등 신규 지역에서의 외형 성장이 실적 모멘텀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키움증권은 2분기 실리콘투의 매출이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2,623억 원, 영업이익은 44% 늘어난 559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예상치는 매출 2,728억 원, 영업이익 575억 원으로 한 달 전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5억 원, 21억 원 상향 조정됐다. 실리콘투 국가별수출 비중 (단위: %) 지역별로 보면 북미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한 497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미국 내 K뷰티 수요는 견조하나, 최근 관세 부과 여파로 물류 이동이 일시적으로 지연되면서 단기적인 실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7월 들어 주요 파트너사와의 관세 분담 협의가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면서 물류 출하가점진적으로 정상화되고 있는 데다, K뷰티 브랜드 '조선미녀', '메디큐브', '아누아', '바이오던스', '닥터엘시아' 등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화장품 브랜드 토니모리(214420)가 2분기 매출 600억 원을 넘어서며 2018년 이후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할 전망이다. 기존에 로드샵과 중국 중심 매출 구조에서 벗어나다이소 등 신규 채널 확장, 해외 시장다변화, ODM 자회사의 고성장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토니모리 2분기 실적 요약 (단위: 십억 원, %) 하나증권은 토니모리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612억 원을 기록하며 2018년 이후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 증가한 53억 원으로 추정한다. 다만, 영업이익률은 9% 수준으로 외형 성장 대비 다소 낮은 수익성은 아쉬운 대목이다. 마진이 높은 로드샵과 유통점 매출의 하락, 해외 신규 시장 진출에 따른 투자 등이 동반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과거 국내는 로드샵과 유통점, 해외는 중국과 홍콩에 매출이 집중됐지만, 현재는 다이소 등 새로운 유통 채널과 북미·유럽 시장, 자회사 ODM 부문이 고르게 성장하며 전체 매출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토니모리 분기별 매출 추이 및 전망 (단위: 십억 원, %) 국내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네오팜(092730)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OEM 부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유통 채널 확대와 주력 브랜드의 수출 증가로 컨센서스를 소폭 상회하는 호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증권은 네오팜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321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5% 증가한 70억 원을 달성하며 컨센서스 영업이익(65억 원)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오팜 2분기연결 실적 요약 (단위: 십억 원, %)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네오팜은 지난해부터 국내에서는 올리브영, 다이소 등 유통 채널에 집중하는 한편, 해외에서는 아마존과면세점을 중심으로판로를 넓혀 왔다"며 "이 같은 전략이 실적에 본격 반영되며 2분기 외형 성장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OEM 매출이 급감하며 부진했지만, 자체 화장품 브랜드의견조한 성장세가 전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증권은 국내 매출을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251억 원, 해외는 20% 증가한 53억 원, OEM은 60% 하락한 16억 원으로 각각 추정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콜마그룹 창업주윤동한 회장이 아들 윤상현 콜마홀딩스(주)(024520) 부회장 겸 대표이사를 상대로 법원에 검사인 선임을 신청하며, 그룹 내 경영권 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22일 콜마홀딩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윤동한 회장이 지난 21일 대전지방법원에 콜마홀딩스를 상대로 '상법 제467조'에 따른검사인 선임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검사인 선임 제도는 기업의 업무 및 재산 상황을 외부 전문가가 조사해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는 절차로, 조사 결과에 따라 이사 해임, 주주대표소송 등 법적 조치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윤상현 부회장은콜마홀딩스의 최대주주로 지분 31.75%를 확보하고 있으며 윤 회장은 주요 주주로서 지분 5.59%를 보유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윤 회장이 제기한 청구 내용에는 △ 콜마비앤에이치 임시주주총회 소집 청구(2025.4.25.자) 및 법원 소집허가 신청(2025.5.2.자) 관련 사항 △ 2025.6.26.자 이사회에서의 사후 추진 결의관련 사항 △ 콜마비앤에이치 및 그 계열회사 매각 또는 리포지셔닝 계획 관련 사항 등이 포함됐다. 소송 등의 제기·신청 공시 (2025.7.22.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클리오(237880)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외 주요 채널의 경쟁 심화, 브랜드 뉴니스(Newness) 약화와 수요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3분기 연속마이너스 성장했다. 하나증권은 클리오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하락한 812억 원, 영업이익은62% 감소한 37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매출 879억 원, 영업이익 58억 원)를 크게 하회하는 '어닝 쇼크'다. 클리오의 2분기 연결 실적 요약 (단위: 십억 원, %) 실적은 국내와 해외 모두 부진했다. 국내 매출은 같은 기간 17% 줄어든419억 원으로 예상된다. H&B 스토어 매출은 230억 원으로 18% 감소했고, 온라인 매출은 120억 원으로 2% 줄어들 전망이다. 홈쇼핑 매출은 50억 원으로 30% 감소하지만, '효율 우선전략'으로 시간당 매출은 오히려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다이소 등 기타 채널은 신제품 출시 지연으로 매출이 5억 원 수준에 머물렀다. 해외 매출은 7% 감소한 392억 원으로 예상된다. 다만 저점을 찍은 직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에스씨엠생명과학(주)(298060)가 김유정 신임 대표이사 선임과 함께 새로운 경영진 체제를 공식 출범시켰다. 3년 가까이 이어진 경영권 분쟁과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 신사업과 글로벌 확장을 통해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18일 에스씨엠생명과학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송기령 대표이사 사임에 따라 김유정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고 공시했다. 김신임 대표는 토론토대학교와 성균관대 MBA를 졸업한 경영 전문가로현재 코스닥 상장사 (주)네오팩트의 사업총괄 상무로 재직 중이다. 대표이사 변경 공시 (2025.7.18.자) 같은 날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는 김대표를 포함해 백종욱, 박소림 등 3명의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모두 가결됐다. 백종욱 신임 이사는 풍전약품(주)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며, 박소림 신임이사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엔지온 메디칼(Angeion Medical International)의 한국 지사장을 맡고 있다. 이번 경영진 교체는 2022년부터 지속돼 온 경영권 분쟁과 이에 따른 경영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2022년 3월 창업주인 고(故) 송순옥 대표가 별세하자,창업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동성제약(002211)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경영권 분쟁이 장기화 국면에 진입한 가운데, 임원진의 횡령·배임 고발, 법정관리 돌입 등으로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는 동성제약을제35조 및 제38조의2에 따른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하고 벌점 8.5점과 공시위반제재금 8,500만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지난달 23일 경영권 분쟁 관련 풍문에 대해 해명 공시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한 것이다. 앞서 동성제약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최대주주 변경 및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되자 '해당 사항은 사실 무근'이라며 부인했다. 그러나 이후 실제최대주주변경이 이뤄지고 경영권 분쟁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거래소 측은 해당 해명이 허위이거나 중대한 오해를 유발한 것으로 봤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2025.7.17.자) 과거 1년 이내에 벌점이 15점 이상 누적되면 동성제약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거쳐 상장폐지까지 이어질 수 있어향후 공시관련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양구 전 회장과 조카 나원균 대표이사 간의 경영권 분쟁도 투자자들의 우려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펌텍코리아(251970)가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K뷰티의 수출 호조에 따른 고객사 수주 확대와 더불어 생산설비 증설 효과까지 더해지며 연간 기준으로도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하나증권은 펌텍코리아의 2분기 실적을매출은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1,021억 원, 영업이익은 21% 늘어난 154억 원으로 추정했다.분기 기준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매출 1,000억 원과 영업이익 150억 원을 동시에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펌텍코리아의 2분기 연결 실적 전망 (단위: 십억 원, %) DB증권은 같은 기간 매출 973억 원, 영업이익 146억 원을 제시했다. 증권사 실적컨센서스는 매출982억 원, 영업이익 149억 원 수준으로 3개월 전과 비교해 각각 24억 원, 4억 원 상향됐다. K뷰티의 글로벌 확장과 이에 따른수주 강세 흐름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호실적의 핵심 동력은 펌프사업부다. 펌프사업부의2분기 매출은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798억 원, 영업이익은 28% 증가한12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높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주요 고객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한국콜마·코스맥스·코스메카코리아 등 국내 대표 화장품 ODM 3사가 2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예고했다. 국내 수주 흐름이 견조한 가운데, 글로벌 고객사 확대와 생산 효율 개선이 외형 성장과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진 결과다.하반기에는 북미 법인의 본격적인 반등과 중국 시장의 회복세가 더해지며 연간 실적 역시 최고치 경신이 유력할 전망이다. 한국콜마의 2분기 연결 실적 전망 (단위: 십억 원, %) 하나증권은 한국콜마의 2분기 실적이매출은전년 대비 12% 증가한 7,400억 원, 영업이익은 13% 증가한 810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권가컨센서스는 매출이 7,387억 원, 영업이익 822억 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 실적 성장의 핵심 동력은 국내와 미국 법인의 성장세다. 국내매출은 수출 중심 브랜드의 수주 집중과 글로벌 고객사 확대가 맞물리며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3,40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한다. 선제품 비중 확대로 수익성도 개선돼, 영업이익은 5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한 매출 228억 원을 예상한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에이피알(278470)이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이커머스 전략이성과를 나타내기 시작한 데다 오프라인 유통망 확장도 속도를 내면서 고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에이피알이 아모레퍼시픽에 이어 화장품 기업 시가총액 2위에 오르면서 주주환원을 위한 조치로 중간 배당을단행하기로 했다.글로벌 실적 호조와 주주가치 제고가 맞물리면서 투자 매력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다. 증권사들도 이를 반영해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에이피알의 2분기연결 실적 요약 (단위: 십억 원, %) 하나증권은에이피알의 2분기 매출이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3,00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영업이익은 135% 늘어난 657억 원으로 컨센서스(575억 원)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했다. 키움증권은 매출 3,158억 원, 영업이익 620억 원을 제시했고, 교보증권은 각각 2,964억 원, 637억 원으로 추정했다. 증권사 평균 실적 추정치는 매출 2,860억 원, 영업이익 586억 원으로 집계됐다. 실적 호조의 주요 요인으로는 미국,일본 등 주력 시장의 성장과 B2B 부문 확장이 꼽힌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콜마홀딩스((024720) 오너 일가가 보유 지분의 약 90%를 금융기관 등에 담보로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향후 주가 하락이나 반대매매 발생 시, 오너 일가의 경영권 방어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콜마홀딩스가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에 따르면, 오너 일가가 보유한 콜마홀딩스 주식 중 약 41%(총 1,407만 2,000주)가 다수의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됐다.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2025.7.11.자 공시) 윤상현부회장 명의로담보 제공된 주식은 △한국증권금융 594만 주 △NH투자증권 191만 5,817주 △한국투자증권 92만 7,644주 △DB금융투자 77만 7,237주 △현대차증권 18만 5,392주 등 900만 주 등총 974만 6,090주다. 이는 윤 부회장이 보유한 콜마홀딩스 주식1,089만9,316주(지분율 31.75%)의 89.4%에 해당하는 규모다. 3대 주주인 윤여원콜마비앤에이치 대표는 보유 주식 260만 6,000주(지분율 7.60%) 중 98.1%(255만 5,999주)를담보로 제공했다. 현재까지 대출 규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달바글로벌(483650)이 일본, 러시아, 북미 등 핵심 시장의 본격적인 성장에 힘입어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 제품 중심의 ‘2+1 전략’과 프리미엄 포지셔닝이 글로벌 시장에서통했다는 분석이다.증권가는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하면서 실적 성장에 대한기대감을 반영했다. 하나증권은2분기 달바글로벌의 매출이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1,407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업이익은 126% 증가한 397억 원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364억 원)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키움증권은 매출은 58% 증가한 1,168억 원, 영업이익은 72% 증가한 302억 원을 제시했다.증권사 평균 추정치는 매출 1,259억 원, 영업이익356억 원으로 집계됐다. 달바글로벌의 2분기 연결 실적 요약 (단위: 십억 원, %) 실적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는 이익 체력 개선과 일본·러시아·북미 등 핵심 해외 시장에서의 본격적인 매출 확장이 꼽힌다. 달바글로벌의 대표 제품은‘트러플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미스트)'와 ‘워터풀 선크림(선제품)'으로 두 제품은 계절성이 상반되는 특성이 매출 구조에 반영돼 연중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비올(335890)이 최대주주 변경,주요주주의 지분 매각 등을 통해 지배구조 개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8월에는 임시주주총회를 열어 자진 상장폐지, 신임 임원 선임 등의 절차를 마무리할것으로 예상된다. 비올의 주요 주주인 디엠에스(DMS)는 10일 한국거래소를 통해자사 및 특별관계인의 지분율이 기존 36.05%에서 34.76%로 1.29%포인트 감소했다고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비올의 기존 최대주주였던 DMS는이달 초 장내 매도와 공개매수 청약을 통해 총 75만7,640주를 처분했다. 최대주주 변경 공시 (2025.7.9.자) 같은 기간 DMS는 남은 보유 지분 전량(34.76%,2,030만4,675주)을사모펀드 VIG파트너스의 특수목적법인(SPC) 비엔나투자목적회사에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며 경영권을 넘겼다. 양사 간 주식매매계약(SPA)은 6월 17일부터 이달 7일까지, 20일에 걸쳐 진행됐다. 매각 가격은 주당 1만2,500원으로경영권 프리미엄이 반영됐으며, 대금은 현금 및 현물출자 방식으로 지급됐다. 이와 함께 VIG 측은 6월 18일부터 7월 7일까지 일반 및 소액주주를 대상으로 공개매수를 진행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유로핀즈C&PC(Eurofins Cosmetic & Personal Care)가7월9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미용기기의 임상시험과 의료기기 규제 전략'을 주제로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날 웨비나에는미용기기, 기능성화장품 제조업체, 의료기기 스타트업, RA, R&D, 마케팅, 임상기획 실무자 등 120여 명이 참석해 규제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웨비나에는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의 안전성, 효능, 품질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글로벌 시험·분석 기관유로핀즈와, 의료기기 및 뷰티 디바이스 분야에서 글로벌 인허가·규제 컨설팅을 제공하는 이머고 by UL(Emergo by UL)의 전문가가 참여해 해당 분야의 최신 정보를 공유했다. 첫 번째 발표는 임재욱유로핀즈 C&PC 이사가'기능성화장품과 미용기기의 임상시험 전략'에 대해발표했다. 이날 임 이사는 한국, 유럽, 미국 등 주요국의 분류 기준과 규제 차이를 비교하며 "제품의 작용 메커니즘과 표현 방식에 따라 의료기기로 간주될 수 있는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국가별 규제 기준에 따른 클레임 전략의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