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2 (목)

  • 맑음동두천 24.8℃
  • 맑음강릉 28.2℃
  • 맑음서울 25.7℃
  • 맑음대전 25.9℃
  • 맑음대구 25.7℃
  • 맑음울산 26.7℃
  • 맑음광주 26.1℃
  • 맑음부산 24.5℃
  • 맑음고창 26.3℃
  • 맑음제주 24.0℃
  • 맑음강화 22.2℃
  • 맑음보은 25.6℃
  • 맑음금산 26.3℃
  • 맑음강진군 26.0℃
  • 맑음경주시 29.4℃
  • 맑음거제 23.0℃
기상청 제공

화장품칼럼

[화장품 컬럼] 화장품 이름과 분류 바로 잡아야 할 문제

김승중 편집위원(제니코스 자문역)

화장품 업계에서는 고객과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상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각 사마다 상품의 차별화, 특징을 살려서 이름을 짓는다.

 

특히 상품의 이름은 식약처 신고 등록에 필요한 한글로 된 법적인 '화장품의 명칭'이 필요하며 업계에서는 이를 브랜드 명칭(Brand Name)’상품 명칭(Trade Name)’2개 부분을 합쳐서 사용하고 있다


이른바 브랜드는 우리들의 출생신고나 여권 기재에 접하게 되는 성(, Family Name)이며 상품명칭은 이름(, Given Name)인 것이다.

 

업계에서는 흔히 브랜드 명칭을 대개 4자 내외로 소비자들이 쉽게 기억하도록 만들며 홍보와 광고를 하고 있지만 상품 명칭은 브랜드 명칭 아래 계속되는 신상품 추가와 차별화로 이름이 복잡해지고 있다.

 

'어드밴스드 나이트 리페어 싱크로나이즈드 리커버리 콤플렉스', '리뉴트리브 인텐시브 리프팅 크림 포 쓰로트 앤 데꼴타쥬'와 같이 외래어의 상품 명칭을 한글로 쓰지만 상품 지식이 적은 사람은 무슨 제품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특히 전문 용어를 함께 사용되면 외우기 쉽지 않다.

 

외래어의 상품 명칭을 한글로 옮기다 보니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지 않고 소리나는 대로 옮겨 적기에 같은 외래어라도 '프레시 / 후레쉬', '오데토일렛 / 오두뚜왈렛' 등 각 사마다 다르게 표기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이런 현상은 여성 잡지의 상품광고에서 보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상품 명칭이 복잡해지면서 제조업자나 제조판매업자의 이름 이외에 브랜드와 상품 이름까지 포함하여 소비자가 기억하도록 알리기에는 너무 큰 비용이 든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이해를 쉽게 하는 애칭이나 약자를 사용하는 새로운 광고나 홍보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즉 '○○○마스크', '△△△세럼' 등 연예인의 이름과 이미지를 딴 상품의 애칭으로 혹은 '갈색', '빨간색' 등 용기나 포장의 색상, '달팽이'와 '콜라겐' 등 주요 성분의 쉬운 특징만으로 강조하는 추세다


더불어 'BB크림'과 'CC크림' 같이 영어로 된 정식 상품명칭은 서로 다르지만 업계 공통의 약자로 간략하게 대응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한편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종류가 많아 사용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도 궁금해 하는 사람들도 많다. 또 노안으로 글자가 잘 안 보이는 경우가 있어 '스킨', '로션'과 같이 간략한 이름이나 사용 순서의 번호를 크게 써서 사용한다는 이야기도 듣는다.

 

더욱 남성들이 자주 출입하는 골프장, 사우나의 샤워실에서는 화장품이나 미용법을 잘 모르는 성급한 분들이 얼굴용과 비슷한 용기 모습의 두발용 헤어토닉이나 헤어로션을 얼굴에 바르는 경우가 종종 있어 '얼굴용', '두발용'과 같이 별도로 용기에 크게 써 붙여 사용하는 곳도 많이 있다.


어떤 업체의 경우에는 아예 상품에 사용순서를 의미하는 번호를 크게 인쇄해 출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 사이에서 화장품의 복잡한 이름과 종류에 대해 굳이 불만을 제기하지는 않지만 젊은 층에서는 애칭으로 통용된다는 것과 상품 지식이 적은 남성들의 오용불편 사례를 접하다 보니 결코 그냥 웃고 넘어갈 일은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다.

 

올해 초 우리나라의 화장품 완제품 수출이 수입을 앞질렀다는 기분 좋은 보도가 있었다. 필자 생각에도 좋은 뉴스이긴 하지만 갑자기 화장품 수출이 급등할 리가 없어 파악해 본 결과 어느 발표기관의 데이터적 오류로 여전히 무역적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장품으로 분류하는 관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된 것으로 보인다. 화장품의 수입과 수출에는 관세, 무역 통계를 위해 국제적인 상품 분류체계(HS Code)를 사용하는데 33류에 향료와 화장품으로 분류돼 있지만 그 내부 분류에는 식음료용 향과 치약, 위생용품과 공산품 등이 포함돼 있어 화장품 항목만 추출 가공해야만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관세청의 HS분류 코드와 화장품 업계가 사용하는 분류가 서로 매칭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복잡해지는 화장품의 명칭 속에 올바르게 제품 유형을 분류해석하는 일은 점점 더 어려워져 앞으로 업계의 생산실적과 판매실적 같은 보고나 데이터 통계 처리에서도 많은 오류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경우에는 상품의 '판매 명칭'과 더불어 '종류별 명칭'을 함께 기재해 소비자들이 쉽게 구분하도록 하고 있다. 즉 아무리 길고 복잡한 어려운 상품의 판매 명칭(Trade Name)이라 해도 '화장수' 인지 '미용액' 인지 초보적인 지식이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제품의 종류별 명칭(Product Category Name)을 같이 기재하고 있다.

 

이미 시중에는 '피부'를 의미하는 '스킨(Skin)'이 엉뚱하게 '화장수' 혹은 '토너'의 통상적인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 외국과의 교신에서 스킨과 로션을 놓고 서로 다른 의미로 주고받는 웃지 못할 일도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린스(Rinse)'와 '컨디셔너(Conditioner)'는 같은 의미의 두발 관련 상품이지만 서로 다르게 받아 들이는 사람도 많다


이런 것이 업계의 현실이지만 지금이라도 엉뚱한 이름이나 젊은 층이 축약해 부르는 애칭이 화장품의 대표 명칭이 되지 않게 하려면 업계에서 소비자들이 쉽게 구분하는 화장품의 종류별 대표 명칭을 정해서 바로 잡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종류별 유형을 화장품에 일정한 크기로 기재한다면 화장품임을 명확히 할 수도 있어 의약외품이나 의약품과의 혼돈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업계와 관련 기관에서 잘 관리한다면 실적 집계에서도 쉽게 구분되어 데이터의 오류도 줄일 수 있다고 보기에 향후 데이터가 중요해지는 세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김승중 본지 편집위원 

프로필 :

제니코스 자문역, 제니코스 전 대표이사, 대한민국 화장품 OEM 협의회 총무간사, 전 기현코스메틱 상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