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수입 트렌드가 고위 기술과 고급 소비재 중심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 제품은 메모리 반도체와 화장품을 제외하면 중국에서 뚜렷한 경쟁우위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발표한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 및 시사점’에 따르면, 중국의 1차산품 수입비중은 2001년 12.2%에서 2018년 24.1%로 11.9%p 증가한 반면 중간재는 62.5%에서 52.5%로 10.0%p 감소했다. 최종재는 24.5%에서 22.1%로 2.4%p 소폭 줄었다.
2008년~2018년 중국의 중간재 수입시장을 기술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부가가치가 낮은 저·중위 기술제품의 비중이 3.8%p와 6.3%p 감소하고 고위 기술제품은 5.2%p 증가했다. 고위 기술제품은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을 중심으로 급증했고 저·중위 기술제품은 화학과 전기·전자제품을 중심으로 수입이 두드러지게 둔화됐다. 고위 기술 중간재 수입시장의 주요 국가별 점유율은 한국이 21.1%로 일본(6.8%), 미국(4.2%), 독일(1.8%) 등을 압도했다.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를 제외할 경우 올해 상반기 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9.7%로 일본(7.0%)과의 격차가 2.7%p에 불과했다. 특히 중간재 전체 수입시장 점유율은 지난해부터 일본에 역전당했다.
중국의 소비재 수입시장도 고급 제품의 비중이 지난 10년간 14.7%에서 21.0%로 성장해 고급화와 고부가가치화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동시에 한국으로부터 화장품 수입도 급격히 늘어나 지난해 한국 소비재 총 수입 중 화장품의 비중이 39.1%나 됐다. 그러나 전체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3.4%에 불과하고 독일(12.0%), 미국(11.4%), 일본(10.0%) 등 경쟁국과의 격차도 계속 벌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