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길태윤 기자] 화장품에 자주 사용되는 에스터 화합물 가운데 다이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등은 유기계 결정 자외선 필터를 가용화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이 화합물이 BDC(Brain Degenerative Concern, ‘뇌 기능 저하 우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다. 때문에 FDA 심사에서 유기계 필터가 무기 필터를 대체하긴 어렵다는 주장이다.
코스인이 발행하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7월호에 게재된 ‘새로운 먹구름 아래에 놓인 태양과 피부, BDC?’라는 기사에서 저자인 알라인 세인트론드(Alain Saintrond)는 유기계 필터가 엄격한 SPF 보호규칙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그는 어떤 유기계 필터도 MusT(Malnutrition Universal Screening Tool) 프로세스에 따라 테스트 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BDC는 유럽화학물질청(ECHA)에서 의학적 또는 독성학적 평가에서 뇌 퇴행성 영향을 우려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공식적인 규제 용어가 아니며, SVHC(Substance of Very High Concern, 고위험물질)처럼 명확한 법적 정의나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자외선 차단제의 안정화와 사용감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다이부틸아디페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가 BDC 물질이라고 우려한다.
저자는 “현재 유럽에서는 매년 89만건 이상의 새로운 알츠하이머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신경 퇴화는 남성(35%)과 달리 여성(65%)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유기 워싱(organic washing, 유기계를 내세워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행위) 비판이 여전히 제기되더라도 친환경적인 TiO2는 아연과 마찬가지로 자연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즉 무기(mineral) 필터는 항상 그리고 앞으로도 인간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자외선 차단제(UVR)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CJK 7월호에서 인용)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78 가산퍼블릭 B동 1103호 전화 02-2068-3413 팩스 : 02-2068-3414 이메일 : cosinkorea@cosinkorea.com 사업자등록번호 : 107-87-7047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3-서울영등포-1210호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박지현 코스인코리아닷컴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